한국에서 느낀 행복들 - 국제 문학 에이전트, 대한민국에 빠지다
바버라 지트워 지음 / 문학수첩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 느낀 행복들


기분 좋은 책이다. 책을 읽는 동안 그냥 기분이 좋아진다. 이유가 무엇일까. 조용히 되묻는다.

책은 파란 눈을 가진 외국인의 한국사랑 에세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저자 바버라 지트워는 소설을 출간한 작가인 동시에 국제 출판 에이전트로 활동하고 있는 뼛속까지 뉴욕커인 외국인이다. 그녀의 시선에 비친 한국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외국인의 시선에서 그려진 한국의 모습은 어떤 색깔로 그려지고 있을까.


내일부터 설 연휴가 시작된다. 한국의 최대 명절중 하나인 설이다. 바버라가 곁에 있었다면 그녀는 무슨 이야기로 좌중의 시선을 모았을까. 책은 10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가 한국에 와서 보고 듣고 느끼고 배워왔던 이야기들과 그녀만의 생각들이 아롱지게 담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흔한 말로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했던 말이 생각나는 순간이다. 책의 저자 바버라 지트워는 그 말을 넘치고도 넘치게 잘 수행해온 이웃이지 않은가. 그녀가 풀어가는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친근감이 뚝뚝 묻어나는 것이 낯가림일랑은 잠시 내려놓고 기꺼이 그녀를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싶어진다.


그녀는 한국 사회의 전통과 예절을 담고 있는 문화와 사회에 관심이 많아보였다. 외국인의 시선에 포착된? 한국인만의 예의범절 혹은 한국인만의 정서적 문화적 특성들이 그녀의 책 속에 고스란히 소개되고 있다. 직업이 출판 에이전트인만큼 저자와 한국 작가들과의 인연을 소개하는 가운데 유독 신경숙 작가와의 일화들이 많이 선보이고 있기도 하다. 에이전트와 작가와의 인연을 뛰어넘어 이들 관계는 오래된 친구처럼 오래된 지인처럼 편안한 관계를 지켜가는 듯 보였다. 또한 그녀가 한국에서 만나는 지인들과 함께 찾았던 곳곳마다 주소를 소개하고 있어, 책을 접하는 독자에게 요긴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저자가 한국에서 맛보았던 음식들을 소개하고 요리법을 소개하고 있는 것도 친절한 배려가 아닌가.


책은 외국인의 입장에서 들여다보는 한국사회의 면모들이 다양하게 배치한다. 저자의 시선은 진지하고 다정다감하다. 역사 그리고 사회 문화에까지 이르는 배경지식도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도 그녀의 시선은 늘 따뜻하다. 그 따뜻함의 힘은 어디에서부터 나오는 걸까. 그녀 스스로는 오히려 한국의 종교(불교)에서 위안과 성찰의 시간을 마주했다고 회로하고 있으나, 그녀가 본인이 지니는 근성 또한 긍정적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던 것 같다. 모든 외국인의 시선이 다 이와 같지는 않지 않을까. 잘 모르겠다. 여튼. 그녀는 긍정적이다. 한국의 모든 것들을 생각함에 있어 다 긍정적이다. 어떻게 보면 내국인으로서는 정말이지 행복한 일이다.


한편 책 속에는 다양한 가르침이 정리되어 있기도 하다. 한국 문화를 직접 경험하며 자연스럽게 배우게 된 정보들을 ‘가르침’ 이라는 대목으로 요약정리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미래의 한국을 방문하게 될 또다른 외국인들에게 어떤 방향성 내지는 지식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는 것도 같다. 각설하고 저자가 외국인이라는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친밀감과 깊이감으로 낯선 곳의 문화를 배워가고 있다는 사실이 그저 고맙고 놀라운 일이라는 말을 하고 싶어지는 것도 사실이다.


잠시 그녀가 책 속에 정리해둔 자신만의 생각들을 정리해둔 ‘가르침’의 일부를 들여다보자.

-상호성은 한국 문화의 근간이다. 선물을 줄 때는 상대가 나에게 답례할 때 금액에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준이 되도록 신경 써라.

-방문하는 나라의 예법을 따라라. 초대해 준 사람에 대한 존경과 존중을 보여줄 수 있다.

-좀 불편하더라도 사람을 솔직하게 대하라. 그래야 신뢰가 쌓이고 진정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한국식 인사법과 의사소통에서 얻은 가르침의 일부 인용)p39


-바닥에 앉는 연습을 해보라. 코어가 잡히고 강해질 것이다!

-발을 해방시키자. 집에 있을 때나 다른 사람 집을 방문할 때 반드시 신발을 벗어야 한다. 바깥의 더러운 흙을 안으로 들여올 필요는 없다.

-일 년 내내 창문을 열어두라. 맑은 공기를 마시면 젊어진다.

(한국의 집에서 얻은 가르침의 일부 인용)p67


-해녀는 육체적 작업이나 운동에서 얻을 수 있는 만족 그리고 ‘한’의 훌륭한 본보기다.

-나이 드는 것을 축복으로 여겨라. 인생 최고의 순간은 아직 오지 않았다. 해녀는 80대가 되어도 바다에 들어간다! 나이 들어가는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워라.

(자매애가 준 행복으로부터 얻은 가르침의 일부 인용)p151


다양한 한국 문화를 접하는 작가의 긍정적 시선을 통해 우리는 내국인이라는 자리에서 또 많은 것들을 생각하고 배워가는 듯하다. 三人行이면 必有我師라 했는데 이번 스승은 파란 눈의 스승 바버라 지트워였던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