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프릴은 노래한다
엘리 라킨 지음, 김현수 옮김 / 문학사상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이프릴은 노래한다

 


우린 서로가 서로에게 기댈 수 있어야 해.

그게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야.

 


책 뒷장에 실린 문구다. 서로가 서로에게 기댈 수 있어야 한다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이번 책은 엘리 라킨의 장편소설이다. 그녀의 작품은 예전에도 봤던 것 같다. 그때의 기억을 소집해보면 따스함. 희망적인 메시지로 요약가능하지 않을까. 첫인상은 그렇게 강하게 남는 것일까. 엘리 라킨의 첫인상은 여전히 자유. 희망. 긍정적 에너지 그리고 무엇보다도 온전하고 충만한 인간애로 각인되었던 것 같다.

 


이번 작품을 접한 후에 나는 몇 가지 생각들을 줄지어 늘어놓고 있었다. 무한 긍정의 에너지를 장착한 이후에 작품을 생각해야 할지, 뭐랄까. 다소 보수적인 입장에서 꼰대의 시선을 유지한 채 대해야 할지. 그도 아니면 적당히 양단간의 것들을 버무려 중간자의 시선에서 바라봐야 할지. 그런데 다시 생각해보면 참 어처구니없는 고민이 아닐 수 없다. 대체 한편의 문학작품을 가운데 놓고 보수적 꼰대의 시선은 무엇이며, 적당하게 버무려진 시선은 또 무엇이란 말인지.

 


작가는 책 속 주인공을 열여섯 살 소녀로 정했다. 불우한 가정환경. 반강제적인 선택에 의한 독립. 어쩌면 그녀의 인생은 그때까지 떠밀려서 살아왔는지도 모른다. 어린 에이프릴을 두고 새로운 인생을 찾아 떠난 엄마. 낡은 인생을 버리고 새로운 삶으로 점프하듯 뛰어오르기를 원했던 아빠. 에이프릴은 혼자 남겨졌으며 가족으로부터 소외 받았으며 이 때문에 외로웠다. 그녀에게 한가지 희망이 있었다면 음악을 하는 예술가가 되는 일이 아니었을까.

그녀에게는 음악이. 기타가 그녀 가족의 전부였고 친구였다. 아빠로부터 생일선물로 받은 그 기타가 공교롭게도 아빠의 분노 표출의 대상이 되고 말았지만, 어쩌면 그 일이 주인공 에이프릴에게 새로운 인생을 찾아가는 전환점으로 다가오는 순간이기도 하다.

 


영화로 치면 로드무비라고 할 수 있을까. 그녀는 한곳에 잠시 머물렀다가 다시 여정을 떠난다. 그 과정에서 많은 이들을 만나게 된다. 낯선 공간, 잘 알지 못하는 타인으로부터 받게 되는 어떤 공포감, 불안감, 심리적 위축들이 분명 존재하지만, 묘하게도 주인공 에이프릴은 매 순간 잘 적응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그녀의 여정에서 이어지는 사람들과의 만남이다. 처음에는 스스로가 원해서 탈출하듯 떠났고, 어느 순간에는 정말 도망치듯 좋은 사람들과 멀어져가는 길을 선택해 떠났으며, 또 그녀만의 음악을 하기 위해 여러 곳을 다니는 그녀였다. 그렇지만 매순간 사람들과 엮이며 잔잔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는 것에 집중해야한다.

 


작품에서 등장하는 부수적 주변 인물들은 동성애자 혹은 아동 성폭력등. 다양한 이유로 상처받고 위축된 모습들로 다가온다. 함께 한다는 것의 힘은 얼마나 크게 작용하는 것일까.

주인공은 그들과 함께 생활하며 더 강해지고 자연스럽게 성숙해져 가면서도, 서로가 서로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듯하다. 에이프릴에게는 그럴만한 에너지와 힘이 있다고, 함께 있으면 좋다고... 많은 이들이 공감하는 대목이 기억나는 순간이다.

 


어쩌면 작가는 그런 것들을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한 어린 소녀의 긍정적 에너지. 역경을 무작정 힘차게 건너뛰기보다는 그 안에 따뜻하게 녹아드는 성장기를 보여주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작가의 마지막 선택이 과연 다 옳았을까? 뜬금없는 의구심 하나가 남는다.

이건..어쩌면 지극히 개인적인 독자의 상상력의 발현이다.

고전과 같은 탄탄한 구성과 진중한 스토리는 아니더라도 가볍게 읽어볼만한 책인가 싶다. 이 또한 일개 독자의 생각일 뿐이다.

오랜만에 쓰다보니 두서없이 정신이 없다. 쓰는 일도 쉼없이 써야 하는 일인데..

게으름이 길어지는 순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