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 스토리콜렉터 49
데이비드 발다치 지음, 황소연 옮김 / 북로드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

 [책장파먹기9-8]


남자는 경찰이었다. 어느날 갑자기 그는 누군가에 의해 가족을 살해당하고 탐정의 신분으로 범인을 찾아나서게 되는데. 모든 것을 기억하는 남자의 이름은 데커였다.

신의 축복일까. 아니면 외면일까. 모든 기억을 끌어안는 것은 감당하기 어려운 일이다. 적어도 평범한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말이다.

 


미식축구 선수였던 그는 충돌사고로 인해 후천적 과잉기억증후군에 걸리게 된다. 그의 뇌세포 어딘가에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는 설정이다. 그로 인해 소설 속 주인공 이 사람은 좋은 기억은 물론이거니와 나쁜 기억 하나하나까지 빠짐없이 스캔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하게 된다.

소설은 의심 가는 사람을 먼저 공개한다. 이런 설정을 뭐라고 했던 것 같은데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미스터리가 아닌 뭐라고 하던데...

범인을 먼저 공개하고 사건을 풀어가는 방식과 범인을 공개하지 않으면서 나중에 공개하는 방식이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만 어렴풋이 기억난다. 어쨌든, 애매하게도 이번 소설은 범인인 듯, 아닌 듯한 한 인물을 초반에 공개하며 이야기를 끌고간다.

아내와 딸 그리고 처남의 죽음을 알고 있던, 범인이라고 자백한 세바스찬 레오폴드는 확실한 알리바이가 있었다. 범인으로 주목되는 레오폴드와 데커와의 두뇌싸움이라고 할까.


 

데커 가족의 살해사건과 그가 졸업한 고등학교에서의 총기난사사건의 연관성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소설의 재미가 돋보인다는 생각을 했었다. 소설은 전개속도가 빠르고 짧은 진행의 반복으로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었다고 본다.

반면 개인적으로는 깊이 파고드는 성향을 좋아하는데, 이번 소설은 뭐랄까 주변으로 자주 확장되어만 간다는 느낌을 받았던 것 같기도 하다(성의 없이 등장했다가 빠지는 인물들이 너무 많다) 빠른 속도감과 확장력은 주위를 환기하는데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도 하다. 그렇지만 때로는 산만하다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것 같기도 하다는 건 개인적인 생각이다.

영화로 치자면 뭐랄까. 깊이감이나 작품성보다는 흥미 위주의 헐리우드 식의 스릴러나 미스터리 영화 한편을 본 것 같은 기분이라고 하면 정리가 될 듯싶다.

 


또 한가지 소설을 읽으면서 생각했던 것은 바로 번역이었다. 원문 자체를 보지 못했기 때문에 원작의 느낌과 번역의 느낌이 어떻게 다가올지는 알지 못한다. 다만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맛깔스러운 번역이 좋았다는 점이다. 같은 대화체를 번역할 때도 역자마다 분위기가 다를법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소설은 뭐랄까, 번역만으로도 쉼없이 가열차게 달려가는 에너지가 넘치는 듯한 인상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적고 싶다. 물론 개인의 취향이다.


 

과잉기억증후군이라. 차라리 선택적 기억상실증을 앓고 사는 게 더 낫지 않을까. 시험에 나올 것들을 외워야 할 시기도 지나갔다. 아이들 핸드폰 번호라든지 현관문 자동화 장치의 숫자들이라든지, 주민번호 같은 번호만. 아니다. 그 외 몇가지 더..를 가져오자니 여전히 기억해야 할 것들이 많아보이기는하다. 그래도 우리의 뇌는 비워낸 만큼 다시 채울 수 있다는 그 말을 나는 여전히 믿는다. 완전한 리셋까지야 필요없겠지만 말이다.

 


미세먼지가 극성이지만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한다. 나름 신선한 척?하는 공기가 들어온다. 언제부터인지 순간순간 의미를 부여하며 살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바람이 참 고마운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