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고바야시 서점에 갑니다
가와카미 데쓰야 지음, 송지현 옮김 / 현익출판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도 고바야시 서점에 갑니다


 

한동안 잊고 살았던가 보다. 작은 서점의 이야기들 말이다. 누구나 한번은 삐걱거리는 유리문을 열고 들어가 본 적이 있지 않을까. 그리하여 허리 정도 높이의 매대에 진열되어 있는 책들 사이로 부드럽게 미끄러지듯 유영하던 그런 순간들을 추억처럼 간직하고 있지는 않을까.

작은 서점에서 책을 살 때면 책방 아저씨가 늘 손수 책 포장을 해주시곤 했었다. 그리고 책갈피도 잊지 않고 한 개씩 꼭 꽂아주곤 하셨지.

그 시절에 생각하기로는 책방 주인을 하려거든 책 포장도 반듯반듯 잘 해야 될 것만 같았다. 한 시절 작은 책방들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아쉬웠다. 지나간 시간이 그리웠던가. 그러다 언제부터인지 마치 신성한 그리스도의 부활처럼 작은 책방들이 특색을 갖고 다시 문을 열기 시작하는 것 같았다. 지금은 어떤가? 내가 사는 소도시에 작은 책방은 진정한 책방의 기능을 잃은지 오래다. 학생들의 수험책 관련 책들이 거의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도 주문을 하면 구매할 수는 있는 모양이다.


 

고바야시 서점에 대한 소설은 뭐랄까 잊고 있던 것들을 소급하고, 느끼며, 또 그렇게 되새기는 시간을 만들어간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오래된 것들... 아니다, 다시 이어지고 있는 것들을 상기하게 되는 것 같기도 하다. 그 힘의 원천은 무엇일까.

주인공 오모리 리카는 대형 출판유통회사 다이한에서 신입사원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불행인지 행운인지 다른 동기들과 떨어져 멀리 연고지가 없는 지역 오사카의 지점으로 발령을 받게 되면서 그녀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형식의 책이다.


 

소설의 구성은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선 오모리의 서사와 그녀의 스토리가 첫 번째이고, 그녀가 알게 된 작고 오래된 동네 서점인 고바야시 서점의 주인인 유미코씨가 오모리에게 다양한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형식을 갖춘 것이 두번째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리카는 자주 고바야시 서점의 유미코씨에게 상담을 하면서 도움을 얻게 된다. 그 도움이란 서점을 운영하면서 삶의 지혜와 연륜을 고루 갖춘 유미코씨의 이야기에서 점철되어 흘러간다.


 

전반적으로 무난한 스토리가 이어지는 과정에 출판사와 서점 홍보와 관련된 주인공과 주변인들의 에피소드가 시선을 끈다. 소설 속에서 언급되고 있는 백인문고라든지 책 미팅과 같은 이벤트는 실제로 시행되었던 적이 있음을 작가 가와카미 데쓰야가 책 말미에서 설명하고 있다. 좋은 아이디어가 책 문화와 더불어 책을 읽는 이들에게까지 긍정의 힘으로 다가오는 것을 증명하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책 속에 잠시 등장하는 출판유통과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가 신선하게 다가온다.

 


여기서 잠시 하고 싶은 말은 이런 것들이다. 삶의 고비고비마다 진정한 조언을 해줄 수 있는 사람이 내 곁에 있을까? 라는 의문. 그것이 책이어도 좋겠고 또 그 대상이 화려하지 않아도 겸손하여 때마다 고개 숙일 줄 아는 내 곁에 누군가이면 더없이 좋겠다는 그런 생각이 드는 건 소박한 욕심인가.


 

그런저런 욕심으로 책 속에서 더 침잠하는 깊이감을 찾아보고 싶었지만, 고바야시 서점 이야기는 꼭 이만큼의 깊이와 무게를 감당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무겁지 않은 무게감으로 잔잔하게 곁을 내어주는 책이다. 이런 류의 책들이 많이 발간되는 까닭은 어인 일인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은 여전히 힐링의 매개체가 아닌가.

 


바람이 서늘해진다. 책 보기에 좋은 날씨라는 뻔한 이야기는 잠시 접어두고.. 그저 하늘이 이쁘다는 감탄으로 마무리를 한다. 그냥 이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