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가 사라지던 밤 1 나비사냥 3
박영광 지음 / 매드픽션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녀가 사라지던 밤 1.2

 


작가는 현직 형사라고 했다. 현직 형사가 쓰는 범죄소설이라. 생동감이 생생하게 전해질 것 같다는 기대감이 앞섰던 것 같기도 하다. 작품의 구성 혹은 인물의 개성과 사건의 개연성보다는, 현직에 있는 형사가 쓴 소설이기에 리얼리티와 생동감을 더 느껴보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소설은 실종자와 관련해 해결되지 못한 사건들을 소재로 가져왔다. 작품에서는 이를 COLD CASE 라고 설명한다. 소설은 각각의 미해결 실종사건을 소개하면서 이야기를 끌어가는 형식을 갖췄다.

 


소설의 주인공은 하태석. 그는 7년 전 미해결 사건으로 결정된 두 소녀의 실종사건과 연루되어 고향으로 좌천성 인사이동을 하게 된 인물이다. 당시 사건을 맡았던 그는 범인이 김동수라는 확신이 있었지만, 물적 증거의 미비와 윗선의 압력으로 사건을 깨끗하게 마무리하지 못하고 쫒겨난다. 그랬던 그가 다시 COLD CASE 전담반의 팀장 자격으로 다시 서울로 복귀하면서 이야기는 구체화 된다.

 


사실 스토리상 하태석의 복귀와 함께 급하게 다시 꾸려진 전담반과 그 안의 구성원 케릭터와 연관성을 보고 있으면, 몇 년 전 즐겨보던 드라마 한 편이 생각나곤 했었다. 드라마 왓쳐가 바로 그 작품이다. 전담반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을 누군가에게 일일이 다 보고하는 이야기도 그렇고, 부정과 부패의 연결고리가 줄줄이 이어지는 관계도도 어쩐지 닮았다는 인상을 받기도 했다. 범인이 누구인가에 대해 서로 의심하고, 내부 첩자가 누구일까 계속 고민하게 했던 그 드라마가 계속 생각났던 것은 솔솔한 덤이었다.

 


다시 소설로 돌아가자. 7년 전 사건의 범인이었던 김동수가 죽게 되고, 범인인 임춘석이 그 때 실종되었던 두 소녀의 아버지 중 한 명이라는 설정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한다.

소설은 거기서부터 뻗어나간다고 보면 좋을 것 같다. 범죄자를 죽인 가해자가 실은 피해자의 가족이었다는 점 말이다. 소설에서는 미해결 사건 즉 미제전담팀(사이버 성범죄 포함 다양한 범죄)의 피해자 가족들의 복수가 그려진다. 복수를 하려는 자와 그 복수를 지원해주는 자들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을까. 그러나 따지고 보면 이들 모두는 피해자를 둔 가족이라는 이름의 상처를 떠안은 이들이었다. 여기에 경찰 고위층의 연결고리가 묘하게 이어져 사건의 재미를 더한다.

 


1권에서는 주로 하태석과 7년전 사건. 그리고 새로 출발한 미해결사건에 대한 전담반 신설 내용과 7년 전 범인으로 지목했던 김동수의 죽음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개되는 반면, 2권에서는 김동수와 변호사 최우석, 한경철 형사과장, 유영한의 관계. 그리고 이들을 현실적으로 이어주는 범죄피해실종자협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이야기가 속도감 있게 진행된다. 마지막에 등장하는 범인과 관련된 사건은 7년 전 사건과는 별개지만 소설 전체를 끌어안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어떻게 보면 COLD CASE 소설의 핵심이자 베이스가 되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어쩐지 살짝 어색하다는 인상을 받는다.

 


생각해보면 이런 류의 소설이 작품으로 세상에 나오게 되는 현실이 안타깝기도 하다. 현실은 그렇게 잔인한가보다. 아니다. 잔인하다. 이 잔인함이 극에 달하는 부분을 접하면서 인간의 이중성에 대해 생각했던 것 같기도 하다. 범죄 관련 전문가 혹은 심리분석자들은 이러한 인간의 잔혹성에 대해 어떻게 설명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딴은 모든 이들이 야누스의 얼굴을 갖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중 몇몇의 사람들이 특별하게 더 잔인함으로 무장한 날것의 가면을 감추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위로의 말과 경고를 함께 싣고 있다. 책을 접하면서 혹시 모를 내적 불안에 휘둘리는 이들을 염려했던 것일까. 사회는 점점 더 안전해지고 있으며, 과학수사의 발달, 높아진 시민의식, 곳곳에 설치된 CCTV, 블랙박스, 등과 같이 사회안전망 시스템이 우리를 보호한다고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범죄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경고를 잊지 않는다.

 


단순한 소설로 읽기에는 흥미로울지 모르나, 현실적인 문제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는 없어 보인다. 소설 작품의 소재와 주제를 인지할 때, 이번 소설의 무게감이 한없이 무겁게 다가오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