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대국의 입지가 흔들리다 - 냉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세계통찰 시리즈 15
한솔교육연구모임 지음 / 솔과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통찰

초강대국의 입지가 흔들리다 (냉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한솔교육연구모임에서 기획한 시리즈물이다. 미국의 다양한 면모를 알아갈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 열여섯 권으로 인물, 사회 문화 그리고 산업과 전쟁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번 책 초강대국의 입지가 흔들리다는 전쟁 편에 네 번째 속하는 책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번 책은 미소 냉전 그리고 한국과 베트남 전쟁을 큰 골자로 다룬다. 처음 기획부터 청소년들을 염두에 두고 있었기에, 내용과 어휘 선택과 같은 부분에서도 세심하게 배려한 부분이 눈에 띈다. 전반적으로 쉽게 풀어쓰고 있다는 느낌을 받기도 한다.

 


우리가 아는 냉전은 어떤 것일까. 책은 세계대전 이후의 냉전을 논하지만, 어찌보면 지금 현재까지도 냉전은 계속 진행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 시절 혼돈의 나락으로 많은 이들을 밀어내던 사상의 대립이,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은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불쑥 드는 생각은 이런 것들이다. 냉전과 전쟁의 주체가 되었던 것은 늘 인간이라는 생각? 냉전도 전쟁도 모두 사람이 만들어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딴은 말이다. 여전히 변하지 않는 인간의 이기적 사고와 결부해 이 문제를 생각하다보면, 지금도 진행형으로 남아있는 신냉전 시대를 바라보는 일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결과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책은 모두 세 가지 내용을 담고 있다. 미소 냉전과 한국 그리고 베트남 전쟁에 관한 부분들이다. 먼저 냉전 파트에서 책은 소련과 미국을 중심으로 분리된 독일을 먼저 언급한다. 독일이 왜 동서로 나누어져야 했는지에 대한 원인과 그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는 동시에 이 시기에 있었던 중요한 사건들을 언급한다. 이와 함께 주변국들과의 관계를 포함한 대내외적인 상황까지 꼼꼼하게 기술한다. 소련과 미국의 스탈린과 해리 트루먼의 등장과 트루먼 독트린’ ‘마셜플랜안전보장기구 나토의 설립이라든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코메콘(COMECON)’ 과 같은 당대의 현실을 잘 반영해 조직되었던 기구들을 소개하며 냉전 시대가 만들어낸 정치와 경제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책은 역사의 흐름을 따라가는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앞에서도 잠시 언급한 대로 두 번의 세계대전 이후 등장했던 미국과 소련의 냉전, 또 그 결과로 이어지는 한국 전쟁과 1970년대까지 이어지는 베트남 전쟁이 사실은 모두 하나의 공통된 맥락으로 끌어모을 수 있는 부분들이다. 냉전 시대의 후반에 등장하는 중국의 존재감 역시 이에 포함된다.


 

두 번째 파트는 한국전쟁이다. 익숙한 듯하면서도 막상 마주하기에는 어려운 고단했던 우리의 현대사다. 책 속에는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아니 미처 알려고 하지 않았던 이야기들도 함께 실렸다. 일본의 패망, 김일성의 등장, 소련 스탈린의 야망과 계략, 스탈린의 설득에 의한 중국의 개입, 미국의 사회주의 반대정책 등이 함께 뒤엉킨 결과물이 바로 한국 전쟁이 아니었을까.

이 장에서는 우리에게도 잘 알려져있는 맥아더 장군과 함께 유엔군 소속으로 함께 참전했던 터키군과 에티오피아군 이야기도 싣고 있는다. 터키 군을 생각하면 우리에게는 영화 아일라라는 작품으로 잘 알려진 터키군과 전쟁고아였던 어린 소녀의 이야기가 연상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흥남 철수 작전같은 차가운 전쟁의 이면에 남겨진 따뜻함을 엿볼 수 있는 이야기도 만날 수 있다.


 

책에서 이야기하는 한국 전쟁에 대한 이야기 중에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전쟁이 발발하기 전 신탁통치에 관한 미국과 소련의 인식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극동 문제에 있어서 미국은 일본의 오랜 식민지 치하에 있던 한국인이 해방 뒤 독립 국가를 운영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미국은 한반도를 해방시킨 이후 곧바로 독립 국가를 세우는 대신, 일정기간 승전국의 신탁통치를 통해 국가 운영의 비결을 전수해 주려고 했습니다- P116

 


사실 이와 같은 내용은 미국이 소련 측에 먼저 제안했다고 책은 기록한다. 이쯤에서 만약 신탁통치를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라는 질문 하나를 해보고도 싶다. 처음부터 주권국가로서 자리를 잡아갈 수 있었더라면 한국 전쟁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미국의 실수였을까? 라는 생각과 의구심이 드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러나 사실 마지막 장에 등장하는 베트남 전쟁의 역사를 읽어가면서, 당시 국가들의 이해관계에 의한 결과라는 측면으로 더 많이 수긍하게 되는 게 솔직한 생각이다.

 


아픈 역사의 시발점이 되었던 신탁통치는 비슷한 형식과 모양새로 베트남에서도 이어져갔었다. 한국 전쟁에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남과 북이 갈리는 것처럼, 베트남 역시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을 거쳐야만 했다. 사상적 대립과 이웃 강대국의 위력과 강압에서 허우적거려야 했던 점이 우리와 무척이나 닮은 역사였다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초기 제국주의 그림자에서조차 벗어날 수 없었던 베트남은 프랑스와 영국 등 서양 외세의 힘에 자주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더욱이 자유주의를 선봉하는 미국의 이중적?인 입장으로, 흔들릴 수밖에 없었던 베트남의 존재는 너무나 나약해 보였다. 세상 그 어떤 것이 완벽할 수 있을까. 그 어떤 나라도 하물며 미국이라는 나라조차도 완벽할 수는 없었던가보다. 미국은 여러 가지 정치적 입장을 고려해 의해 베트남의 공산화를 막으려 했지만, 결국 베트남 전쟁을 시작했고 그 전쟁에서 패했다. 마지막 자국민을 철수하고 난 이후 베트남은 북베트남에 의해 완전한 공산화가 되었다고 한다.


책은 중요한 세계사적 역사적 흐름을 시대순으로 잘 보여주고 있어서, 서로 연관성을 갖고 연이어 읽어보는 재미가 있다.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에 이르기까지 세계사와 관련한 그들의 지적인 호기심을 채워줄 수 있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