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반일 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반일 종족주의> 비판
김종성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2월
평점 :
반일 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냉철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기를 기대했다. 우리는 역사를 어떻게 받아들이며 살고 있는 것일까.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을 이야기 할 때, 과연 얼마나 냉철한 시선으로 이야기할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감정에 치우치지 않을 것. 역사를 역사 그 자체의 사실로서 받아들일 것. 생각 같아서는 말 그대로 따르고 싶다. 그러나 현실은 이다지도 혼란스럽다. 한편으로는 바로 앞 문장에서 혼란스럽다, 라는 표현을 썼지만, 사실 혼돈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도 생각했다. 뭐 비슷비슷한 말이긴하지만 말이다.
반일 종족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라는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불편하게 다가온 책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 책이 반격하고 있는 텍스트 ‘반일 종족주의’ 관련한 책을 아직 읽어보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서로 비교하고 비판할 수 있는 근거가 전무하다고 봐야한다. 이와 같은 상황이라면 일방적으로 한쪽의 비판적 논거만을 접했을 때 자연스럽게 처하게 되는 위험성까지 끌어안고 가야 한다는 말이 된다. 더 들어볼 가치도 없으며 살펴볼 건더기조차 없어 보인다고해도 반대편 입장의 한줄 변명은 들어봐야 하는 게 마땅하다는 생각이다. 기본적인 이론은 그렇다는 말이다.
책은 반일 종족주의를 주창하는 뉴라이트들의 잘못된 사상과 이론 그들의 행보에 대한 생생한 비판과 논리적 반박을 조목조목 싣고 있다. 솔직히 개인적으로는 뉴라이트라는 표현조차 생경스러웠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그 표현이 새롭게 업그레이드? 식으로 달라졌을 뿐이지, 우리 삶 속에 뉴라이트라는 존재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공존하지 않았던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한가지 확실하게 달라진 게 있다면 과거보다 현재에 들어와서 이러한 존재성과 문제의식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진위를 가려내고자하는 의도들이 활발해져가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저자 김종성이 준비한 사료와 다양한 예증을 통해서 우리는 반일 종족주의의 부끄러운 민낯과 만나게 된다. 위안부 문제, 독도 문제, 종군과 징용 문제 등 많은 이야기가 도마 위에 올라온다. 그들이 언급하고 있는 위의 각각의 문제들에 대한 관점과 해석이 불편한 까닭은, 많은 대중들의 호응에 융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유로 이들은 비난의 화살을 온 몸으로 받는 사태를 초래하고 있다. 저자 김종성의 주장을 살펴보면 이들의 문제인식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오류의 근원은, 여전히 일본으로부터 자발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있는 구태의연한 인식 때문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객관적 시선을 유지해야만 한다. 불편한 시선을 잠시 내려놓고 거리감을 두며 생각해봐야 한다. 책을 읽는 동안 뉴라이트들의 주장과 이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또 다른 주장 모두 불편한 시선으로 지켜봐야 했던 것이 사실이다. 책의 분위기는 지나치게 격양되어 있다. 때론 비판을 위한 비판마저도 일방적인 합리화의 단면을 보는 듯해서, 객관적 시선과 판단력으로 중무장한 채 책을 읽어야만 했던 이야기를 하고 싶어진다.
정말이지 불편하다는 표현을 얼마나 자주 언급하는지 잘 모르겠다. 고장난 의식과 비판들. 마치 또다른 서슬퍼런 이념의 칼날을 보는 듯하다.
저자는 에필로그에서 신념이라는 말을 남겼다. 잘못된 것을 지적하고 수정하며 옳은 방향으로 끌어가기 위한 의식 역시 신념에서 나오는 것이며, 행동화하는 것 역시 신념이 없으면 진행하기 어렵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딴은 저자가 언급한 신념을 차치하고서, 개개인이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역시 하나의 신념이 존재해야만 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신념은 개인의 사상과 정서적 밑바탕에 깊이 파고들어가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또한 신념은 기준을 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그 기준은 나아가 행동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어떠한 신념을 갖는가가 관건이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