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의 철학적 기초 중원문화 아카데미 신서 36
한스 라이헨바흐 지음, 김회빈 옮김 / 중원문화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초중반을 풍미한 논리경험주의의 기본적인 철학적 관점을 적당한 수준과 난이도로 개관하고 있는 책이다. 저자 서언은 물론이요 역자 후기만을 읽어보아도 책의 전반적인 성격 및 저자가 표방하고 있는 근본 관점을 명료하게 파악할 수 있다: "나는 사변으로서의 철학이란 철학적 문제들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논리적 도구들이 마련되지 않았던 구시대의 유물이라 주장하고 싶다. … 학문으로서의 철학은 철학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도구들을 오늘날의 여러 과학에서 발견하였다. … 언젠가는 철학이 다른 과학만큼 설득력 있고 강력한 과학이 될 것…" (머리말); "이 책은 과학의 전제조건이나 방법을 본격적으로 연구하는 철학 분야인 과학철학에 관한 책이 아니다. 저자는 새로운 철학이 20세기에 꽃핀 과학의 성과들을 근거로 하여 전통철학의 문제들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 얻은 해답들을 제시하고자 이 책을 썼다. … 따라서 이 책은 철학을 전공하는 사람을 위한 전문서라기보다는 학문다운 철학을 시작하려는 사람을 위한 입분서의 성격을 띤 것이다." (옮긴이의 말) 

 이렇듯 제목에서 짐작되는바 통상적인 과학철학 저서라기보다는 지식론적 논의를 축으로 한 철학일반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차라리 영어원제를 직역하여 "과학주의적 철학의 발흥" 정도로 번역했으면 더 낫지 않았을까 감히 생각해보았다.) 1부에서는 저자가 '사변철학' 내지 '이성주의철학'이라 칭하는 전통철학을 비판하면서 그 문제와 한계점을 밝히고, 2부에서는 현대 자연과학이 밝혀낸 사실들을 곁들이면서 이를 사고의 토대로 삼는 '학문으로서의 철학'이란 무엇인지를 적극적으로 개진한다. 그러니 전통철학사 전반에 대한 지식과 현대 자연과학에 대한 지식 양자를 교양 수준으로나마 숙지하고 있다면 좀 더 수월하게 읽을 수 있겠으나, 분량이 많지 않으니 끈기 있게 찬찬히 읽을 자신이 있다면 역자의 평가처럼 초심자가 철학일반에 대한 입문서로 읽기에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논리경험주의 풍의 철학적 관점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이라면 달갑지 않게 여겨지는 부분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으레 '철학' 하면 심오하고 사변적이고 거대한 이론체계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는 실태를 감안할진대, 이런 관점을 음미해봄으로써 사고의 균형을 갖추는 것도 한 번쯤 해봄 직한 일이라 생각한다. 큰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읽고 보니 라이혠바흐의 명료한 문장력과 강인한 철학적 기풍에 매료되어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었다. 특히 그가 천착했던 분야인 확률론을 귀납문제에 적용하는 시도가 개인적으로 흥미롭게 여겨졌다. 읽는 소득도 많고 느낀 재미도 많은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그린비 인물시리즈 he-story 9
박찬국 지음 / 그린비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이데거의 전후기 철학 전반을 평이하게 풀어내고 있는 입문서이다. 각 장 초입마다 하이데거의 생애를 간략히 다룬 뒤 난해하고 생소한 하이데거의 사유를 비교적 쉬운 언어로 전달하고 있어, 초심자도 지치지 않고 논의를 따라갈 수 있다. 논의에 필요한 개념이나 큰 틀에서나마 파악해야 할 핵심 줄기를 놓치지 않고 평이하게 반복적으로 풀어서 전달하기에, 하이데거 철학을 전연 접해본 적 없는 독자여도 그의 사유의 골자를 어렴풋하게나마 접해볼 수 있다. 반면, 입문서로 의도되었기에 당연한 말이겠지만,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나 흥미로운 연구를 원하는 숙달자라면 논의가 다소 반복적이라고 여겨져 지루하게 느껴지고 읽는 소득이 많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구매소장을 굳이 권할 정도는 아니되, 단행본으로 된 적당한 입문서를 찾는 초심자에게는 일독을 적극 권할 만하다. 다만 하이데거 사상의 주된 줄기 중 하나가 전통 형이상학과의 대결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아무리 입문자라도 정석적인 철학사 한두 권 정도는 읽어 놓은 상태여야 이 책을 좀 더 수월하고 유의미하게 이해할 수 있을 듯하다. 


대학 1학년 1학기 서양철학개론 강의 말미에 하이데거라는 이름을 듣게 되었다. 갑작스레 막연히 든 관심에 도서관에서 관련 저서들을 이것저것 뒤적이던 중 단행본으로서는 처음 완독한 물건이 이 책이었다. 존재와 존재자, 현존재의 피투성과 기투성, 현존재의 실존론적 분석론, 세계-내-존재, 근본 기분으로서의 불안, 죽음으로의 선구 등 흥미롭고 신선한 개념과 사유를 접하고 나니 하이데거 철학에 강하게 매료되어, 해얄 공부는 안하고 학기의 남은 기간 및 그 해 여름방학을 줄곧 현대철학사, 하이데거 관련 저서들, 그의 "존재와 시간"을 붙들고 씨름하며 보냈던 기억이 여즉 뚜렷하다. 시간이 많이 지나고 생각도 많이 바뀌어 지금은 그의 철학의 많은 부분에(특히 예나 지금이나 후기 철학에) 동의하지 않지만, 당시 이 책은 지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많은 충격과 깨달음을 줌과 동시에 하이데거를 위시한 대륙 현대철학자들에게 관심을 갖게 해주었던바, 개인적으로는 참 추억이 많이 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튜링 & 괴델 : 추상적 사유의 위대한 힘 지식인마을 36
박정일 지음 / 김영사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등록된 100자평과 리뷰들을 그대로 신뢰해도 될 만큼, 재미있고 잘 읽히게끔 쓰인 입문서이자 교양서이다. 현대 컴퓨터가 개발된 이론적 모태를 튜링과 괴델의 철학적 업적을 중심으로 간략하고 평이하게 살펴보고 있다. 그 과정에서 기초적이거나 교양 수준의 논리학, 논리철학, 수학철학, 심리철학적 지식들을 쉽고도 알차게 풀어낸다. 혹자가 100자평에서 언급했듯이 세세하거나 심층적인 부분은 다소 간략화되거나 생략되어 있어, 초심자라면 의문이 해소되지 않거나 매끄럽게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 싶은 느낌이 간혹 들긴 했었는데, 교양 수준의 저서로 의도된 이상 어쩔 수 없는 부분인 듯하다. 그러니 흥미를 느낀 사람이라면 이 책만으로 독서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다. 해당 분야에 대한 관심을 키우고 차후 더 풍부한 독서를 위한 발판으로 삼기에 더없이 좋은 책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대학교 학부생은 물론이요 끈기 있게 읽어나갈 자신이 있다면 고등학생들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Semantic Tradition from Kant to Carnap : To the Vienna Station (Paperback)
J. Alberto Coffa / Cambridge Univ Pr / 199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로운 주제를 특이한 관점에서 다채롭고 풍부하게 풀어내고 있는 전문 학술서이다. 칸트 이후 전개된 인식론, 지식론적 흐름에서부터 논리실증주의자들의 다양하고 활발한 철학적 논쟁에 이르기까지의 철학사를, 선험성 개념을 둘러싸고 전개된 의미론적 전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축으로 삼아 살펴보고 있다. 외견상으로는 부분적인 철학사 내지 철학사조에 관한 서적이지만, 각 장이나 주제에 따라 인식론적, 형이상학적, 논리철학적 수학철학적, 언어철학적, 과학철학적인 측면에서 논의가 전개되기도 하기에, 내용 면에서 여타 통상적인 철학사 책들과는 조금 다르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렇다 보니 언급된 다양한 철학분야들은 물론이요, 칸트철학 및 그 이후 20세기 초까지의 일반적인 철학사에도 다소 숙달해 있지 않은 이상, 초심자가 무턱대고 읽기에는 매우 버거울 듯하다. 다뤄지는 인물들의 범위 역시 다채로운바 칸트, 신칸트학파, 후썰, 카시러, 프레게, 러셀, 초중기 비트겐슈타인, 카르납, 포퍼 등 철학사에서 메이저한 인물들부터, 볼차노, 헬름홀츠, 브렌타노, 푸앵까레, 힐베르트, 슐릭, 노이라트 라이혠바흐 등 철학사에서 약간 마이너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철학사에 맞닿아 있는 인물들까지도 망라한다. 

 이렇듯 진입장벽이 매우 높긴 하지만, 철학사에서의 의미론적 전통이라는 생소하고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기에, 끈기 있게 붙든다면 재미도 느끼고 얻는 바도 많은 독서가 될 것이다. 대부분의 철학사 서적에서 논리실증주의에 대해 의미 검증주의와 그 반박만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논리실증주의가 지나치게 단순화되고 도식화된 형태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이 책의 2장 후반부를 읽다 보면 그러한 일반적인 규정이나 통념이 과도하고 부당한 단순화에 기인한 것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볼프강 스테그뮐러의 "현대 경험주의와 분석철학"이라는 책을 통해서도 이러한 점을 깨달은 적이 있다.)


 다른 저서들의 서지사항에서 몇 번 본 바 있고, 특히 샤피로의 수학철학책에서 자꾸 언급되는 책이길래, 도시 어떤 책인가 하는 막연한 궁금함만으로 무턱대고 사서 펼쳐들었다. 읽고 보니 개인적인 취향에도 수준에도 적당히 들어맞는 책이었으니 다행한 일이다. 다만 내용이 워낙 풍부하고 세밀한 데다가 독해실력마저 좋지 못해 모든 내용들을 속속들이 논증적으로 이해하지는 못하였다. 유관 문헌들을 더 읽고 숙달한 뒤 여러 번 재독하고 번역해가면서 언젠가는 더욱 온전하게 이해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5장, 구문론으로의 도정, '단일언어 프로젝트' 절 중)


 ...Carnap이 칭한바 논리-수학적 표현에 대한 "구성주의적constructivist" 해석과 "절대주의적absolutistic" 해석 간의 충돌... (중략) 비록 Carnap은 수학적 진술에 관한 구성주의적 해석이 옳다고 생각하긴 했지만, 이 사안에 관해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려 하였다. 그에 따라 각각의 메타수학적 개념들에 대해 a-버전(절대주의적 버전)과 c-버전(구성주의적 버전) 모두를 도입한 뒤(대체로 c-버전에는 c-접두어가 붙는 반면 a-버전에는 그렇지 아니하다), 어느 해석을 활용할지에 대한 결정은 독자의 손에 맡겨두었다. 

 첫 번째로 설명되는 개념은 한 공리체계axiom system(이하 'AS'로 약칭)에 대한 모형model 개념이다. f(R, S, T)를 하나의 AS라 해보자(여기서 'R', 'S'. 'T'는 그 체계 내의 유일한 원초용어primitive 내지는 자유변항free variable이다). 그 경우, R1, S1, T1이 PM 내에서 정의 가능한 적절한 유형의 관계들이고 f(R1, S1, T1)가 "참"일 때, 우리는 관계체계relation system (R1, S1, T1)이 f(R, S, T)의 모형이라고 말한다("탐구Untersuchungen", 44쪽). (PM 내에서의(혹은 여타 올바른 논리체계 내에서의) 참 개념과 증명가능성 개념을 Carnap이 적절히 구분했는지 여부는 다소 의심스럽다.) 非-추상적인 대상들을 관계항으로 갖는 관계체계 역시 f(R, S, T)을 참이게 만들긴 하지만, Carnap은 '모형'이라는 용어를 오로지 수학적인 관계체계로만 제한하고, 그러한 비-추상적 구조는 별도로 "실현realization"이라 칭하였다. 

 어떤 공리체계 f(R)이 모형을 갖는 경우 즉 (E)f인 경우 그 체계는 "만족된다satisfied(erfuellt)". 그에 따라서, 그 체계에 대한 모형이 제시될present 수 있는 경우 그 체계는 "c-만족된다c-satisfied". f(R)이 아무런 모형도 갖지 않을 경우 즉 ~(E)f일 경우 그 체계는 '공허하다empty'. (Carnap의 표기법에서 '(E)f'는 '(ER1) ... (ERn)f(R1 ... Rn)'의 축약형이다; "탐구", 46쪽) 非-일관적 명제함수란 하나의 명제함수와 그 부정의 연언이다. "어떤 AS가 모순적인 귀결을 가질 경우 즉 (Eh)(f → (h & ~h))일 경우, 그 체계는 '비-일관적inconsistent'이라 말해진다. 그에 따라서, 그러한 모순적인 귀결이 제시될 수 있는 경우 그 체계는 'c-비일관적이다c-inconsistent'[강조는 인용자]. ... 어떤 AS가 비-일관적 귀결을 갖지 않을 경우 즉 ~(Eh)(f → (h & ~h))일 경우, 우리는 그 체계를 '일관적consistent'이라 칭한다." (46-7쪽)

 다음으로 Carnap은 여러 정리들을 증명하는데, 개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a) 비-일관적 공리체계는 공허하다, (b) 공허한 공리체계는 비일관적이다, (c) c-공허한 AS는 c-비일관적이다, (d) 그 역도 성립한다. 이에 대한 흥미로운 증명절차는 다음 절에서 탐구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