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과학과 철학 - 마음 뇌 통합 과학을 위하여
패트리샤 처칠랜드 지음, 박제윤 옮김 / 철학과현실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상세하고 전문적이어서 수월하게 읽히지는 않지만, 많은 생각거리들과 사유의 전환점을 제시해주는 흥미로운 학술서이다. 1부에서는 신경과학의 역사와 방대한 연구성과를 기술하고, 2부에서는 현대의 과학철학, 심리철학, 인식론 등을 개관 및 평하가며, 3부에서는 저자가 설득력 있다고 여기는 신경과학 이론과 연결주의 모델에 입각한 마음-뇌 통합과학의 전망을 개략적으로 소묘해 보이는데, 이 모든 방대하고 상세한 내용들을 제시하면서 저자는 책 전체를 통틀어 자신의 주장을 끈질기고 일이관지하게 관철해낸다. 심리철학이 종래의 선험적인 개념분석방법을 미련 없이 탈피하고 신경과학과 뇌과학의 연구성과에 기반하여 탐구되어야 하는 동시에, 신경과학, 뇌과학 역시 혼란스럽고 미숙한 초기단계에서 적절하고 성과 있는 방향을 잡기 위해 철학적, 심리학적 상위 차원의 물음 및 이론들과 연계하면서 연구의 큰 틀을 잡아나가야 하는바, 추상적 마음이론과 물리적 뇌신경 이론의 공진화를 도모해야 하며 또 필시 사태가 그렇게 흘러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내가 파악한 이 책의 요지이다(물론 상향적 접근에 더 역점을 두는 물리주의자로서 저자는 철학에 대해 전자를 더 강조하는 듯하다). 


2. 읽어가며 전반적으로 내가 받은 인상은, 이러한 주장을 <철학적으로> 세련되고 설득력 있게 논증해 낸다기 보다는, 현대과학 및 그것이 기대고 있는 물리주의에 대해 우리가 직관적, 초견적, 총체적으로 부여하는 인식론적 우위성에 부수하는 설득력에 기대어 논증 내지 논의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는 느낌이다. 물론 저자는 종래의 선험적, 분석철학적 방법 자체를 거부하면서 그 방법론의 테두리 내에서 제기되는 문제와 그를 해결하려는 논증들 자체도 원리적으로 오도된 것으로서 거부한다. 그러니 이런 인상을 근거로 이 책을 비평하는 것은 적절치도 않을 뿐더러, 책의 요지를 그저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억지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이런 인상비평을 언급함은, 심리철학에는 개론 수준의 지식만을 갖고 있고, 신경생리학이나 뇌과학에 대해 배경지식이 전무한 나로서는, 통상적이고 만만한 심리철학서 내지 과학철학서를 기대하며 읽었다가 이런 인상을 받게 되어 당혹스러운 한편, 그 중심주장을 거부하기 쉽지 않은 설득력도 느꼈다는 점을 명시적으로 정리 및 시인하기 위함이다. 현대과학의 성과를 인식론적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살아가는 현대인들로서는, 이 세계를 이루는 가구들, 즉 존재하는 모든 것들과 그것들이 예화하는 속성들이 전부 물리적 기반을 갖는다는 점을 어떻게든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 처칠랜드가 미묘하면서도 신랄하게 비판하는 60, 70년대의 기능주의 역시, 결국은 이러한 인식론적 직관을 기본 틀로 잡은 채, 마음에 대한 우리의 직관적, 통속심리학적 개념체계를 그 틀에 어떤 식으로든 정합적으로 꿰어맞추려던 이론적인 시도이다. 이 책에서 그녀가 거듭 환기시키는 점은 그 이론적 시도가 낡고 오도적인 선험적, 개념적, 하향적 방법이었던바, 이를 더욱 철저한 물리주의적, 자연주의적 테두리 내에서 시도할 시기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3. 이렇듯 상당히 총체적이고 원리적인 층위에서의 방향전환을 주장 및 촉구하는 것이 이 책의 요지이기에, 분석철학 전통에서 친숙한 심리철학적 논제나, 대중적인 수준의 뇌과학적, 인지과학적 교양학술서를 기대하고 이 책을 읽었다가는 큰코다칠 공산이 크다. 방대한 신경생리학적 지식에 압도되지 않을 정도로 내공을 쌓은 동시에, 기존 심리철학적 논제들에 대한 저자의 미묘한 평가논증들의 맥락을 제대로 짚어낼 수 있을 정도로 철학적도 논의에 익숙해 있어야, 이 책의 논의방식을 온전히 따라가며 핵심주장을 유의미하게 간파해낼 수 있다(기존에 올라온 리뷰가 말하듯, 이 책이 신경과학도과 철학도 모두에게 도서관에서 의아함을 자아내는 현상은 책의 이런 특성 때문이지 않겠는가 싶다). 개인적으로는 전자에 대한 지식이 전무해 1부와 3부는 무척 읽기 지루하고 재미없는 사례나열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AI기술에 대한 관심과 논쟁이 들끓는 작금에 철학과 뇌과학 양자에 관심갖는 사람들이 혹할 법한 모양새의 책이지만, 상당한 내공과 깊이를 갖추지 않은 채 심심파적으로 집어들고 쉬이 향유할 텍스트는 결코 아니라는 점을 지적해두고 싶다. 


4. 사족. 다른 한편으로는 (책에서도 명시적으로 종종 환기되는) 콰인식 자연주의와 전체론을 실제의 하위 학문 분야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해나갈 수 있는지를 간접적으로나마 목도한 듯한 느낌이 들어, 무척 신선하기도 하였다. 콰인식 자연주의의 요지는 대강 머리로 이해했어도, 그래서 실제 학문현장에서 철학자들과 과학자들이 대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한다는 말인가 하는 궁금증이 늘상 해소되지 않았었는데, 이 책은 심리철학과 뇌과학이라는 영역에서 그런 식의 자연주의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례들 들어가며 상세히 소묘해내고 있다. 어쩌면 이 책의 본디 의도와 진가는 핵심 주장을 향한 전통철학적인 논증을 제시하기보다는 이러한 자연주의적 가능성을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그려내면서, 미래에 기대될 마음-뇌 통합과학의 기획을 (비트겐슈타인의 구분법을 억지로 빌어보자면) 논증적으로 <말하는>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그 설득력을 배가시키는 데에서 드러나는 게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기조가 철학의 여타분야에서도 도모된다면, 언젠가는 심리철학뿐만 아니라 인식론과 지식이론, 형이상학과 존재론, 논리철학 및 언어철학, 수학철학, 심지어는 사회과학과 도덕철학 분야에서까지ㅡ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와 밀접히 제휴하는 이런 식의 자연주의적 기획이 설득력을 포섭하는 영역을 확장해가면서, 지금보다 훨씬 더 정합적이고 합당한 믿음체계를 인류가 지니게 될 시기가 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하고 사변적인 생각을 해보기도 하였다. 텍스트로서는 그리 재미있게 읽지 못했어도, 많은 생각거리들을 환기하면서 발상의 간접적인 전환을 고취시켜준 독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6, ‘논리학과 수학: 논리주의적 환원)

 

Russell의 논리학 체계

 

다음으로 이러한 산술체계를 Russell이 환원시켰던 체계를 살펴보자. 여기서 P∨∼P, x(FxFa), xy(x=y(FxFy)) 등과 같은 논리적 참을 증명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적인 논리적 원리들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다만 우리는 Russell의 체계가 산술을 환원하는 과업에는 충분할 정도의 논리적 장치들을 지니고 있다 가정할 것이다. 하지만 Russell의 논리학이 지닌바 그의 환원작업에서 두드러지는 몇 가지 특징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집합의 원소관계(y가 집합이고 xy의 원소일 때 귀속되는 관계)를 나타내는 새로운 원초기호primitive symbol 이다. 또 다른 특징은 이 원초기호를 지배하는 공리들 및, 충분한 수의 논리적 대상들을 보장하는 공리이다.

우선 첫 번째로 집합의 원소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를 지배하는 새로운 공리집합은, 포괄공리도식the axiom scheme of comprehension으로 알려진 다음과 같은 L1의 사례들로 이루어져있다.

 

L1. yx (Fx xy)

여기서 변항 ‘y’는 집합들을 아우르며range over, Fx는 변항 ‘x’가 자유롭게 나타나는 (그리고 이외에는 자유롭게 나타나는 여타 변항을 포함하지 않는) 임의의 formula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Fx의 역할을 수행할 각기 다른 식들을 대입함에 따라 이 도식의 각기 다른 사례들이 얻어진다. 그 사례들 각각은 해당 식을 만족하는 (즉 해당 식에 의해 표현되는 속성property을 지닌) 대상들 그리고 오직 그러한 대상들만으로 이뤄진 집합의 존재를 주장한다.

 

이 공리도식 배후의 기본 착상은, 이 언어에서 하나의 자유변항이 나타나는 모든 개방식open formula에 대해 (직관적으로 표현하자면 이 언어에서 대상들이 갖는 하나의 속성을 표현하는 모든 식에 대해), 그 식을 만족하는 (그 식에 의해 표현되는 속성을 지닌) 대상들만으로 이뤄진 집합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를 논리적 원리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사실상, 개체 x가 여차여차하다는 말과 x가 여차여차한 대상들 집합에 속한다는 말이 상호대체가능함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L1의 사례들에 의해 주장되는 집합들의 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i) Fx를 대체하는 식이 <29인 자연수이다라는 의미를 지닌 임의의 식일 경우, 29보다 작은 자연수 집합의 존재가 주장된다.

 

(ii) Fx를 대체하는 식이 xNx=x일 경우, 모든 자연수들 집합의 존재가 주장된다.

 

(iii) Fx를 대체하는 식이 xx일 경우, 집합empty set 즉 아무런 원소도 갖지 않는 집합의 존재가 주장된다.1)

 

(iv) Fx를 대체하는 식이 z (zx zz)2)일 경우, 공집합만을 유일한 원소로 갖는 집합의 존재가 주장된다. (여기서 ‘x’는 집합들을 아우른다.)

 

포괄공리도식에 따르면 모든 식 Φ(x)에 대해 그것을 만족하는 사물들 그리고 오직 그 사물들로 이뤄진 집합이 존재한다.


1) (譯註이에 해당 개방식을 포괄공리도식 L1에 대입하여 공집합 공리를 온전히 표현해보자면 yx (x↔ xy)이다.

2) (譯註) z는 보편양화사에 의해 속박되어있는바 ‘x’ 이외의 자유변항이 아님에 주의.


집합의 원소관계를 나타내는 Russell의 원초기호 을 지배하는 또 다른 공리는 외연성 공리the axiom of extensionality로 알려진 다음의 L2이다.

 

L2. ab [x (xa xb) a=b]

ab가 동일한 원소를 갖는 집합들이라면 a=b이다. 즉 그 어떤 두 집합도 동일한 원소를 공유하지 않는다. (‘a’‘b’는 집합들을 아우르는 변항이다.)3)

 

3) (譯註) 공집합 공리와 외연성 공리에 의하면 공집합은 유일하게 결정된다(즉 모든 공집합은 동일하다, 공집합은 단 하나만 존재한다)는 것이 따라 나온다. 우선 譯註1)의 공집합 공리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여 서로 다른 공집합이 두 개 있다고 가정해보자.

 

y1y2x((xx xy1) (xx xy2) y1y2)

 

각 변항 ‘y1, y2, x’에 개체상항 ‘ya, yb, t’를 대입하여 예화하면 다음 연언문이 얻어진다.

 

(tt tya) (tt tyb) yayb

 

다음으로 본문의 외연성 공리에서 변항 ‘a, b, x’를 가찬가지 개체상항들로 대체하면 다음 조건문이 얻어진다.

 

(tya ↔ tyb) ya=yb

 

이 조건문의 전건은 앞선 연언문으로부터 명제논리 규칙에 따라 도출되며, 전건긍정규칙을 적용하면 후건 ‘ya=yb가 도출된다. 이는 앞선 연언문의 마지막 연언지 ‘yayb와 모순이다. 따라서 귀류법에 의해 서로 다른 공집합이 둘 존재한다는 가정은 거짓이다


Russell의 논리체계에 고유한 마지막 공리 L3은 소위 무한공리the axiom of infinity이다. 이 공리의 목적은, 산술을 논리학으로 환원하는 데에 필요한 논리적 대상의 수가 무한함을 보증하는 것이다. 이 공리가 요구되는 이유와 이 공리가 다음과 같은 기이한 방식으로 진술되는 이유는, 실제 환원작업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L3. ∅∉N

공집합은 자연수 집합의 원소가 아니다.

 

Scott Soames, Philosophical Analysis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Dawn of Analysis, vol.1, Princeton Univ. Press, 2003, 14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딜레마의 형이상학
박제철 지음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이하고 깔끔하게 정리되어있지만 구매소장까지는 추천하고 싶지 않은 책이다 폭넓은 형이상학 입문서라기보다는 해 분야의 일부 논증들을 개관 및 해설한 뒤 평가 내지 반박하는 형식인데, 서술이 쉽고 구성도 명료해서 초심자가 형이상학 분야의 논증과 주제들에 익숙해질 수 있게 해준다 독서역량을 갖추고 있다면 철학 문외한들이 일반적인 철학 입문서로서 도전해보기 괜찮겠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논증 구조가 잘 정리되어 있고 세부적인 해설도 적당하다 형이상학(그리고 철학 일반)에서 자주 마주치는 딜레마적 상황을 직면케 한다는 저술의도도 충분히 달성하고 있다 하지만 워낙 기초적인 수준의 저술을 의도한 탓인지 심층적이거나 참신한 분석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반복해서 숙독할 책보다는 맛보기로 개관할 책으로 활용하길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어 이전이나 이후의 것을 찾는 이들이 있다 게 무엇이든 우리게 이해될 수 있으려면 종내 언어적일 수밖에 없다 모세가 시나이 산에서 받아온 명판도 언어로 쓰였을진대, 우리에게 말 걸 수 없으면서 전능하고 전지하고 편재한 존재자는 최소한 우리가 통상 표상하는 바로서의 신은 아닌 괴물에 불과하다 이를 암묵적으로라도 알았던 칸트는 신이 존재<한다>를 증명한 게 아니라 신이 존재<해야> 도덕과 자유와 인간이성이 의미있음을 증명하였다 무릇 칸트의 언어에서 ‘도덕‘을 일괄적으로 ‘삶‘으로 치환하여 이해해보자 이에 우리가 추론으로 그 존재성을 증명하고자 하는 신의 존재근거는 도리어 우리 삶을 유의미하게 만든다는 데에 존립한다 (우리의 추론이 증명해주는 바는 신을 거쳐 우리일 뿐인가? 우리 언어가 거치는 신은 우리인가?) 우리는 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언어로 신을 찬양할 수도 있는 반면, 신은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밖에는 우리게 말을 걸 수가 없다 이 점에서 인간 언어의 구조는 신의 것보다 풍부하다 이제 스피노자 명제는 언어적으로 전도된다ㅡ우리의 언어 중 신이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은 우리의 의미론 내로 한정된다 이에 따라 비트겐슈타인의 경계선 내외도 전환된다ㅡ세계의 의미가 세계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의 언어가 세계 안에서만 의미론을 획득한다


나는 이제 시인과 형이상학자의 차이를 알 것 같다
두 외연에서 내가 어느 쪽에도 속하지 못한 이유 역시 알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분석 철학 대 대륙 철학 - 철학의 방법과 가치에 대한 논변들 바리에테 36
제임스 체이스.잭 레이놀즈 지음, 이윤일 옮김 / 비(도서출판b)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제와 서술의 특수성 및 좋지 않은 번역으로 인해 츄천하고 싶지 않은 책이다 메타적인 성격의 저술이니 1계 수준의 철학적 내용들에 익슉해 있어야 함은 당연한 일이지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서술이 개괄적인 동시에 다층적이어서 내용을 따라가기 쉽지 않다 주요 이론이나 사조 내지 철학사적 맥락들이 빠른 호흡 하에 산발적 단속적으로 삽입되면서 논의가 복잡하게 진행되어 읽는 난이도와 피로도가 높다 좋지 않은 번역은 이러한 어려움을 가중시키는바, 기본적으로 직역투인 데다가 그마저도 가독성을 고려하였다는 느낌이 그다지 들지 않는 난삽한 스타일의 직역이어서, 가뜩이나 복잡한 주제를 다루는 텍스트가 구문적 의미적으로도 더욱 읽기 어려운 글이 되어 놨다 ( 동일 역자가 번역한 다른 책을 세 권(a. c. 그렐링, ˝철학적 논리학˝, d. 데이빗슨 ˝진리와 해석에 관한 탐구˝, k. 그린, ˝마이클 더밋의 언어철학˝) 읽은 바 있는데, 데이빗슨의 ˝탐구˝를 제외하곤 모두 비슷한 느낌이었다) 이에 구매소장은 적극 권하지 않으며, 혹여 호기심에 못이겨 빌려서라도 일독을 도전해보고 싶다면 말미의 역자후기를 먼저 읽어보고 일독을 결정하길 권해본다 본문에서 다뤄지는 개별 내용과 주제들 및 흐름을 간결하면서도 착실하게 잘 간추려 놓아서*, 책을 소화할 수 있을지릉 판가름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겠지 싶다


* 사족. 이 역시 ˝탐구˝를 읽고 나서 비슷한 느낌을 받았는데, 이로 미뤄보건대 역자는 한국어로 매끄럽게 번역해내는 솜씨는 좀 떨어지더라도, 원 텍스트의 내용을 자신의 언어로 갈무리하여 전달하는 데에는 탁월한 면이 있지 않은가 하고 감히 생각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