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행동의 심리학 - 말보다 정직한 7가지 몸의 단서
조 내버로 & 마빈 칼린스 지음, 박정길 옮김 / 리더스북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참 즐겨보는 '라이 투 미(Lie to Me)'라는 미드가 있습니다.
언어가 아니라 얼굴, 몸, 행동 등이 순간적으로 보여주는 감정을 포착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이야기인데, 이게 너무나 흥미로울 수밖에 없어요. 실제 우리가 겪는 주위 사람들이 순간적으로 보이는 모습들. 기쁨이나 슬픔, 죄책감, 분노, 기만, 경멸 등 정말 현실적인 소재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그것들에 과학을 적용해, 우리가 쉽게 알아채지 못 하는 그런 것들이지만, 정말 알고 싶은, 알게 되면 정말 좋을 것 같은 그런 매력적인 소재로 전달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방영되자마자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구요. 이걸 보기 시작하면서 왠지 다른 수사 드라마들이 재미가 떨어지는 감이 있달까요. 개인적으로 꼭 보시길 추천하는 드라마입니다.



이 책, FBI 행동의 심리학을 읽으면서 마치 이 드라마를 책으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아니 어쩌면 거꾸로겠지만, 제가 접한 것이 드라마가 먼저니까요). 이 책의 저자 중 한 명인 조 내버로는 실제 FBI에 25년간 근무한 사람으로, 고도로 훈련된 스파이와 지능범죄자를 상대하며 포커페이스에 가려진 진심을 꿰뚫는 능력으로 FBI 내에서 인간 거짓말탐지기로 불렀던 사람입니다. 그만큼이나 말이 아닌, 그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부터 나오는 순간적인 신호들을 포착해서 진실을 밝혀왔던 사람이라는 이야기겠죠.

이게 꼭 전문가들에게만 그렇게 보이는 것이 아닌 것이, 우리같은 생초짜(?)들도 실제로 그런 느낌을 받게 됩니다(확실히는 몰라도요). 뭐랄까, 분명 조리있게 말하고 진실인 것 같은데, 왠지 모르게 석연치 않게 느껴지는 설명할 수 없는 의구심 같은 것 말입니다. 소개팅을 했는데 분명 호의적인 말을 듣고 있는데 왠지 '아... 이 여자 마음에 드는데, 이 소개팅 잘 안 될 것 같다...'라는 느낌 같은 것?
혹은 반대로, 난 정말 열의도 있고,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왠지 자신감이 없게 보여서 상사들이나 관계사 분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지 못 하는 경우 같은 것 말입니다. 참 미칠 일이죠.


이 책에 따르면, 우리 인간의 뇌는 파충류 뇌, 포유류 뇌 그리고 인간의 뇌라는 3가지 뇌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 중 인간의 뇌는 얼마든지 거짓말을 할 수 있는데 반해, 포유류 뇌인 변연계는 생존 본능과 직결되어 있어 거짓말을 하지 못 한다고 하네요. 그리고 이 변연계가 관장하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그러니까 몸의 경우는 자기도 모르게 진실을 말하고 있다는 겁니다. 아무리 뛰어난 거짓말장이라고 해도요.



  말보다 정직할 수밖에 없는, 변연계가 관장하는 7가지 몸의 단서 - 행동, 뇌, 얼굴, 팔, 손, 다리, 몸을 읽는 방법을 정리한 책이 바로 이 책입니다. 하나하나 읽어나가면서 '아, 이런 재스처에 이런 의미가 담겨 있구나', '아, 이런 재스처는 절대 하지 말아야겠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직접적인 동작들을 하나하나 설명하고 있기에 상당히 흥미로운 책입니다. 물론 이런 동작들의 의미를 설명하는 책이 이 책이 처음은 아니지만, 25년간의 실전 경험(연구 기간은 30년이랍니다)을 통한 탄탄한 '과학적' 결과는 사실 처음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물론 이 책을 달달 외운다고 해서 이 능력을 통해 사람을 판단하는데 쓸 수 있을까? 라고 생각하신다면 물론 안 되죠. 저자조차도 아직도 그 일이 굉장히 힘들며 '50대50'이라고 얘기하는데, 쉽게 남을 판단하는 데 이 책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지 않을까 합니다. 책, '스눕'도 마찬가지였던 것처럼 말입니다.

오히려 이 책에 나와있는 다양한 신호들은 '인간관계'를 위해 쓰면 어떨까 합니다. 특히 '감정을 숨기는 것이 미덕'이 되어온 우리나라같은 경우에는, 생각보다 이상하게 인정받지 못 하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거짓말하지 않았는데 거짓말같아 보인다거나, 분명 알고 있는 일인데 자신감이 없어 보여서 제대로 모르는 것처럼 보인다거나 하는 그런, 그리고 자신있는 웃음을 지어본 적이 없다거나 자기가 어떻게 웃는지를 몰라 억지로 웃고 있다고 평가받는다거나 하는 그런 경우들 말입니다.
사람들이 어떤 부분에 좋은 이미지, 자신감, 자긍심을 느낀다는 것들을 알게 된다면, 보다 인정받는 내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다면 이 책을 읽은 가치가 충분히 있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