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 - 사랑하는 이와 함께 걷고 싶은 동네
정진국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서점이 사라져가고 있다. 몇몇 대형 서점을 제외하고, 동네에 있던 수많은 서점들은 그 경쟁력을 잃고 하나둘씩 사라져가고 있는 현실이 참 안타깝기만 하다.
뭐, 도서 정가제니 하는 법령을 제정할 정도로 오프라인 서점들이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은 사실이니까. 엄밀히 말해 온라인 서점이라는 것이 중간단계의 유통과정이 사라진 형태이기 때문에 가격적 경쟁력이 높을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기도 하고. 하지만.
서점에서만 맛볼 수 있는 근사한 경험은 온라인 서점이 줄 수 없는 것임에는 분명하다. 어려서부터 서점에 들러 신간들을 들쳐보고, 그 중에 입맛에 맞는 책을 고르는 것은, 좋은 책을 고른다는 검색의 기능을 넘어선 기분 좋은 경험이었다. 가끔은 내가 원하는 책을 고르는 '목적성'이나, 평소 즐겨읽는 책을 고르는 '취향'을 벗어나 전혀 생소한 책을 들쳐보다가 진주를 발견하는 그런 환희를 느끼기도 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책으로 가득한 장소에 있는 경험이 익숙해진다는 그런 즐거움도 각별하고.
오프라인 서점의 감소는 그런 경험의 감소로 이어지고, 최근 전체적인 책 판매량이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을 이런 경험의 감소에서 찾을 수 있지 않느냐고 하면 너무 억지스러운 일일까.
그런데 서점이 사라져가고 있는 현상은 비단 한국만은 아니었나보다. 흔히 외신을 통해 듣기로는, 서양, 특히 유럽의 책 판매량과 독서량은 한국을 훨씬 넘어섰었다. 지금도 마찬가지이고. 하지만 그런 유럽에서도 서점이 점점 사라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와 함께 농촌도. 하지만 그것이 끝이 아니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사라지는 두 가지를 안타까워하고, 새로운 산업을 이끌어내기 위한 통찰력이 '책마을'이라는 것을 만들어내고 있고, 그것들이 이미 유럽에서는 꽤 오래 전부터 이루어져왔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를 통해 죽어가는 농촌을 살리고 그곳을 '책마을'로 특화하여, 문화적인 명소로 만들어내는데 성공하고 있다. 놀랍게도 말이다. 헌책방(고상하게 말해 고서점)들이 가득 모여있는 그런 마을이 있고, 주기적으로 축제를 열어, 주위의 명사들이 모이고 평소에 구하기 힘든 희귀한 책들이 모이고, 그 곳에서 책을 사랑하고, 그에 대한 열정을 가진 사람들이 그런 경험을 공유한다는 것에는 분명, 그저 '책'이 모여있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한다.
호텔에서도, 카페에서도 가득 책의 향취를 느낄 수 있는 그런 행복한 장소 책마을. 그 마을들은 이미 시간은 멈춰있고, 그 마을만의 새로움으로 가득하다
책,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는 이미 24곳 이상이나 존재하는 유럽의 그런 책마을들을 돌며 만난 사람들과 책에 대한 기록이다. 1년에 걸쳐 그 곳들을 돈(순례기라는 말이 어울릴까) 그런 사랑의 기록이다.
규모는 작지만, 책에 대한 사랑과 열정이 가득 담긴 하나하나의 책마을들을 저자와 함께 돌아다니는 동안 나도 모르게 책에 대한 사랑이 더 애틋해지는 것을 느끼게 된달까.
140년 세월을 넘은 이 짜릿한 교류의 순간. 그 순간의 아름다운 감정이 전해지는 듯해 아찔함을 느꼈다
특히 '유럽에서조차 출간된 바 없는' 책마을 순례기인 만큼, 저자의 책에 대한 사랑이, 그리고 책에 대한 해박한 지식이 가득 느껴진다. 그 덕에 한 마을 한 마을을 돌 때마다, 분량이 좀 더 많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을 느끼면서 행복하게 읽었다. 그리고 더불어 부러움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기쁘게 이런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영월 책박물관, 책마을 사업을 통해, 한국 최초의 책마을이 조성될 예정. 하지만 여러가지로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듯해서 아쉽기만 하다. 모쪼록 이런 움직임들이 좋은 결과를 맺고, 그를 통해 좀 더 책에 대한 관심이, 사랑이 더해지기를 바랄 뿐이다. 책이라는 존재는 분명 그런 사랑과 관심을 받기에 충분한 존재니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