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비화 -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은 뜻밖의 조선사 이야기
배상열 지음 / 청아출판사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느 역사나 '비사'는 있기 마련이다. 흔히 '역사는 승자의 이름으로 쓰여진다'라고 말하며, 사람의 마음으로 쓰여지는 것이기에 정확한 사실이 아닌 주관이 들어갈 가능성도 무척이나 농후하니까.
그런 의미에서 이원복 교수도 '가로세로 세계사'라는 이름의 책을 썼고, 또 유시민 위원 역시 거꾸로 읽는 세계사 를 쓰기도 했다. 그렇다면 우리네 한 민족의 역사는 어떨까. 특별히 조선으로 한정하면?
유교 중심의, 중국을 지주로 떠받든 '사대주의'의 시대. 그래서 한 나라의 임금 조차도, 중원 중심의 세계관에 대해 반기를 들 수 없는 그런 시대가 아니었던가.
게다가 중국 등의 외국과의 관계를 빼고, '조선'이라는 한 나라로 한정한다 하더라도, 절대왕권을 가진 군주 전제주의의 나라에, 반상의 신분제도가 뼛속깊이 박혀있던 사회 아니던가. 그렇다면 당연히 그 역사가 사실 그대로가 아닌 편향되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을 수밖에 없겠지.
사대주의의 이름으로, 양반의 이름으로 쓰여졌을 터이니.

'조선비화 - 조선왕조실록에서 찾은 뜻밖의 조선사 이야기'는 그런 역사의 빈틈을 찾아 현대적 패러다임으로 재해석한 책이다. 실질적인 역사서인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이야기 중, 역사적인 지식과 시대적 상황을 대입해보면 조금 다른, 우리가 알고 있는 '유교적'인 조선과는 조금 다른 빛깔을 띄는 그런 이야기들을 찾아내고 정리해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대주의에 물든 관리들이 세종을 닥달하는 무엄함을 감행하며, 백제, 고구려를 오랑캐로 몰아 버린다거나(유교의 나라에서 삼강오륜과 충(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중국이었나보다), 너무나 쉽게 일어나는 왕의 살인 이야기 등, 흔히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그야말로 '숨겨진'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인상적인 것은,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실제 역사서를 기반으로, 그 내용을 그대로 발췌해 옮긴 후, 그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는 식으로 구성되면서 흔히 수많은 '역사 드라마'에서 놓치고 있는 고증과 설득력이라는 요소를 잘 잡고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리고, 그 소재 역시 흥미롭다. 역사에 대한 설명과 그에 따른 해석만이 현대적인 것이 아니라, 집중하고 있는 소재 역시 그렇다. 최근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는 '대운하 건설'(실패 사례라는 것이 매우 흥미롭다), '병역비리', '학력 위조', '섹스 스캔들' 등 현대적 패러다임에 걸맞는 주제들을 담으면서 그 흥미를 더한다. 사실 조선왕조실록을 그대로 옮겨낸다는 것 자체가 현대적이지 않은 글에 대한, 그리고 한자어에 대한 '지루함'을 각오해야 한다는 것이 사실인 만큼, 좀 더 재미를 통해 이런 비사들을 관심있게 읽게 하고픈 저자의 의도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왜 숨겨진 역사는 더 재미있는 것일까. 그 소재적 특성상, 그리고 조선이라는 시대의 특성상 글 자체가 조금은 어둡고 전개가 지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꽤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다만, 숨겨진 역사를 하나하나 알아가는 것은 재미있지만, 그 소재들이 워낙 비리나, 간음, 폭력 등 나쁜 것들에만 맞춰져 있다는 것은 조금 아쉽다. 우리네 역사를 바로잡고, 한민족으로서 제대로 된 역사를 알 수 있는 기회라는 것은 더 없이 반갑지만, 좀 더 이 책의 첫머리를 장식하고 있는 '사대주의'가 낳은 문제점같은 좀 더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큰 가치를 가질 만한 그런 소재가 더 많이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저자의 우리네 역사에 대한 박식함(이미 북벌영웅 이징옥, 이순신 최후의 결전, 난중일기 외전 등 다양한 역사서를 썼을 정도니까)을 조금 더 진중하고 묵직한 소재를 통해 이런 '비사'를 보고 싶다는 욕구가 일어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