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일 - 2008년 제4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백영옥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칙릿. 젊은 여성(Chick)과 문학(Literature)의 합성어인 신문학 장르가 언제부터인가 국내에도 꽤 괜찮은 장르로 인정되고 있는 듯 하다. 이는 어쩌면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의 인기에 따라 본격적으로 이렇게 된 경향이 있는 것 같기도 한데. 그런 칙릿이 국내 작가에 의해서도 발매되고 또 그 중에서는 꽤 눈여겨볼 만한 작품들도 속속 눈에 띤다. 그래서 '6편의 대표작으로 본 '한국형 칙릿'의 스펙트럼(한국일보)'같은 기사가 나오기도 하고.

제 4회 세계문학상 수상에 빛나는 '스타일'도 그런 한국형 '칙릿' 중의 한 작품이다. 작가 백영옥은 패션지 기자였던 자신의 경험을 책에 잘 녹여넣으면서, 수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수많은 브랜드들, 명품들에 대한 이야기, 맛집에 관련된 이야기, 패션잡지계의 치열한 경쟁(솔직히 이 책 이야기는 '패션계' 이야기는 아니다. 패션잡지계 이야기지), 그리고 그 안에서 벌어지는 사랑과 일 이야기를 흥미진진하게 그리고 있다.

하지만 그 정도. 개인적으로 '악마는 프라다를 읽는다'와 '쇼퍼홀릭'같은 칙릿들을 보던 도중, 도저히 안 되겠어서 던져버렸던 개인적인 성향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여러 모로 부족한 점이 많이 눈에 띄는 소설이다. 가볍고 쉽게 읽을 수 있고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는 장점은 있을지언정(아, 요즘 일부 여성들의 사고방식을 간접적으로나마 접해볼 수 있다는 것은 좋은 기회였다. 비록 공감은 안 되지만), 장편소설이 갖는 온전한 플롯이 가져오는 재미와 맛은 없다. 여성들에게 관심있을 만한 소재들. 그리고 자극적인 소재들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지만 그것들이 모여서 20대, 30대의 여성들의 삶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는 그들만의 서사가 미완성이라는 느낌이랄까.
작가의 '패션지 기자'로서의 경험들과 에피소드들이 녹아있고, 그것들이 각각 흥미로울 뿐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무언가를 말해주지는 못 하는 밋밋함이랄까. 특히 사랑과 우정 등의 감정적인 부분에 대한 묘사와 서술 부분에 좀 아쉬움이 많이 느껴지고.

특히, 장르문학의 한계성을 직접 짓고 있는 것에서 더 아쉽다. 한 인터뷰에서 왜 인물이 이렇게 전형적이냐는 질문에 저자는 '장르문학이라서. 장르의 규칙에 철저히 맞춰서 써서'라고 대답한다. 왜 장르문학은 전형적이어야 하고, 규칙에 맞추어 써야만 하는가. 몇몇 장르문학의 팬으로서 끝없는 장르문학 작가들의 노력과 변화, 그리고 장르문학과 순수문학 사이에서 걸작을 내놓는 작가들을 좋아하기에 더욱 아쉽다. 그리고 이 '스타일'이라는 책, 결코 재미없는 책이기에 더욱 씁쓸하고.

단기적인 재미를 위해 읽는다면 충분히 읽을만한 책이지만, 그 이상의 무언가를 바란다면 비추천. 개인적으로는 같은 칙릿이라면 서유미의 '쿨하게 한걸음'쪽을 추천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명한 소설가들의 수많은 갈채들. 하지만 나의 아둔함 때문인지 그리 '쿨하게' 보이진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차라리 그녀가 썼다는 '마놀로 블라닉 신고 산책하기'라는 유행산책 에세이쪽이 더 구미에 맞을 것 같다. 적어도 그 쪽의 이야기가 더 매력적이었으니. 비록 개인적으로는 그 아래 있는 '오기사, 여행을 스케치하다'가 더 취향이긴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