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 읽는 CEO - 명화에서 배우는 창조의 조건 ㅣ 읽는 CEO 2
이명옥 지음 / 21세기북스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창작이라는 거룩한 과정에 반드시 수반되는 것. 그것은 바로 창조의 힘이다. 그런 창조의 힘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고 그를 통해 불후의 명작을 만들어낸 미술의 거장들. 그들로부터 창조의 힘을 배우는 것. 어쩌면 참 당연한 일이겠다. 효과적인 방법이기도 하고. 하지만 예술의 힘과 자신만의 개성이 가득 담긴 그림을 보면서 그것에서 무언가를 쉽게 얻어내는 것은 그리 쉽지만은 않다. 아무리 그림을 뚫어져라 바라봐도 미술적 감성이 떨어지는, 미술사관에 대한 이해 없이는 이런 것들을 쉽게 받아들이기 힘든 법이니까. 누군가, 미술적 감성이 풍부하고 미술사관에 대한 이해가 높은 사람이 친절히 설명해주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림 읽는 CEO'는 참 값진 기회다. 큰 회사의 CEO들이 그림에 관심이 많다거나, 혹은 그를 통해 새로운 통찰력을 얻곤 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되는데(투자수단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지만), 그런 통찰력과 창의성을 좀 더 쉽게 얻을 수 있는 그런 기회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로 본 궤도에 오른 21세기북스의 '인문학에서 경영의 통찰력 찾기'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랄까. 인문의 숲이 문.사.철(文.史.哲)의 자양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면, 거기에 예술의 숲이라는 새로운 자양분이 충만한 숲을 하나 더하게 된 것이다. 사실 예술의 숲에도 사.철(史.哲)의 자양분이 충분하므로 이 역시 또 하나의 인문의 숲이라 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수많은 거장들의 이름 속에서 창조의 힘을 찾아낸다
일종의 '공부'로서는 굉장한 호사랄까? 훌륭한 그림들을 하나하나 감상하면서, 그 그림에 얽힌 에피소드와 화가의 이야기, 그리고 미술사관적인 지식을 흥미롭게 읽어나갈 수 있다. 사실 미술관에 가서 도슨트의 설명을 들어본 사람이라면, 미술작품이 갖는 매력을 좀 더 만끽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도움이 얼마나 요긴하며 그 자체가 즐거움이 된다는 것을 동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 화가와 그림의 경쟁력과 창조의 힘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실제 나의 통찰력으로 흡수해갈 창조의 힘을 함께 배워나갈 수 있었고.
책 속에 등장하는 그림들은 올 컬러 판본의 괜찮은 종이질을 통해 나름 즐길만한 수준은 충분히 되며, 특히 개인적으로는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과거 대가들의 그림보다 1900년대 이후의 현대미술이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또 국내 화가들의 작품들도 여럿 접할 수 있었다는 점이 참 좋았다. 한국의 이 시대를 사는 사람으로서 과거의 그림들을 최근 미술보다 더 쉽게 접해왔다는 것이 참 아이러니하긴 하지만.
최근 이슈가 되었던 <행복한 눈물>의 로이 리히텐슈타인의 작품과 이야기도 담겨있다. 대체 이 '만화'같은 그림들이 왜 그렇게 인기를 얻고 비싸게 팔리게 되었을까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롭다.
또한, 솔직히 잘 몰랐던 한국의 뛰어난 작품들도 많이 접할 수 있었고.
!... '외모도 경쟁력이다'라는 제목과 저 '달리'의 엽기적인 수염은...
'미술 작품들을 이해하고 즐기면서 그 안에서 창조의 통찰력을 배운다'는 '그림읽는 CEO'의 컨셉이 참 즐겁다. 이와 같은 컨셉으로 발매되었던 '시 읽는 CEO' 역시 그랬지만, 세상 어느 곳에든 존재하는 수많은 배움의 숲들. 그 가운데 자양분이 충분한 곳을 발굴하고 그로부터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들에 대한 노력도 좋지만, 특히 그런 깨달음과 배움의 과정에 '즐거움'을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더.
수많은 거장들의 이야기를 총 세 장으로 분류하여 창조에 대한 힘을 얻는다. 각 장의 통일성과 응집력이 조금 부족한 감이 아쉽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