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허둥지둥
켄 블랜차드.스티브 고트리 지음, 조천제.황해선 옮김 / 21세기북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의 삶은 연속된 사건과 일들로 이루어져있다. 그리고 그 수많은 사건과 일들을 하나하나 처리해 나가는 방법론과 개념에 대해서는 참 다양한 고민이 이루어져 왔고, 또 많은 사람들이 그런 방법론들을 따라하거나 혹은 자신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거나 하면서 좀 더 효율적인, 좀 더 시기에 맞는 그런 처리를 위해 노력한다.
이런 노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업무적인 일과 개인적인 일을 떠나, 자신이 관련된 모든 일들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제대로 처리하고 행복하고 보람있는 삶을 살아가느냐' 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도 이런 목적을 위해 프랭클린 플래너와 PDA를 병용하고, 끝도 없는 일 깔끔하게 해치우기, 이틀도 못가는 플래너는 찢어라, 메모의 기술이나 굿 타이밍 같은 책들을 지속적으로 읽고 지금도 계속 노력 중이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감을 찾아간다는 자신감이 조금은 올라오기도 하고(아직 멀었지만).



사용자 삽입 이미지

The On-Time, On-Target Manager. 원판의 제목이기도 한 이 문장. 참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참고로 책의 속표지


이 책, 굿바이 허둥지둥은 그런 계획적인 삶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서랄까. 크게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지식은 세 가지. '우선순위', '타당성' 그리고 '헌신'이다. 중요한 일부터 하나씩, 적절한 시간에 적절한 사람과 함께 적절한 타당성을 갖고 헌신적으로 하라는 것. 어쩌면 너무나 일반적이고 당연한 이야기일지 모르는 이 책 속에 담긴 이야기, 그리고 이런 부분에 대한 부족함으로 실패를 경험한 주인공 밥이, 멘토격인 CEO(Chief Effectiveness Officer, 최고 효율성 책임자)의 도움으로 크게 깨달음을 얻고 결국 새로운 CEO가 되는 식의 너무나 스테레오타입의 자기계발서라는 느낌에 처음에는 솔직히 실망했다. 켄 블랜차드라는 작가의 명성이 아깝다는 느낌이었달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지만 이 책이 갖고 있는 것은 비단 그것만이 아니었다. 그저 지식과 방법론적인 측면(다른 책에서도 여러 번 접한 바 있는)이 아닌 진정한 삶에 대한 깊은 사유가 담겨있달까. 분명 '효율성'이라는 면으로 말했을 때 훌륭하게 일처리를 하고, 또 그 성과를 낸다고 해서 모두가 '보람있는', '행복한' 삶을 살고 있냐고 묻는다면 다시 한 번 곰곰히 생각해보게 된다. 업무적으로는 100점인 사람이라 하더라도 가정에 0점이라면, 혹은 친구 관계가 0점이라면, 혹은 건강이 0점이라면 그것만큼 슬픈 일이 또 있을까. 그리고 실제로 그런 사람들이 주위에서 쉽게 보인다는 사실, 나 자신도 그렇게 살아가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만큼 슬픈 일이 또 있을까.

그런 공감 속에서 나는 내 자신의 삶을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는 그런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사실 이 책을 읽는 시간보다 그런 자기 자신에 대한 되돌아봄의 시간이 더 길었던 것 같다. 사실 책 자체는 아주 쉽게 술술 읽히기도 하고. 그리고 그런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책이기에 더욱 의미가 있었다.

사람의 행복이라는 것만큼 주관적인 것도 없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기준이 바뀌기도 하고. 보람? 그것도 역시 마찬가지가 아닐까. 이에 따라 당연히 똑같은 일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우선순위'는 바뀌기 마련이다. 어느 평일 아침, '지각하지 않고 출근하는 것'이 최고의 우선순위일 수 있겠지만, '심각하게 고민을 털어놓는 동생의 고민 상담'이 더 우선일 수도 있다. 그러한 삶의 '우선순위', '타당성', 그리고 '헌신'과 '나 자신의 삶과 행복'과의 연결고리가 갖는 중요한 지혜를 곱씹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 어쩌면 그것이 이 책 속에 구체적으로 펼쳐진 ''방법론'적인 효율성보다 더 중요한 참 의미가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중한 것, 언제 어디에서냐에 따라 변화무쌍하게 변화하는 그것을 캐치하는 것. 그리고 실천하는 것. 그것만큼 소중한, 그리고 어려운 것이 또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