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을 낳는 개 - 현대과학의 오류를 바로잡는 새로운 과학상식
한스 페터 베크 보른홀트 외 지음, 염정용 옮김 / 인디북(인디아이)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 리가 갖고 있는 상식 중에서 얼마나 많은 오류가 있을까? 사실 믿고 싶지 않지만 참 많은 오류들이 발견될 수밖에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일반인들이 아무리 '과학적'이라고 생각하더라도 일반인들이 과학을 접하는 것은 한계가 있기 마련이고 어른이 되고 나서는 그나마도 접할 기회가 없다. 끊임없이 발전하고 진리가 오류가 되어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내 머릿속의 상식은 아직도 진리에 멈춰있기 마련이니까.
그리고 그런 가운데, 이를 활용해서 속임수로 활용하거나 공인된 지식으로 변질시키는 경우들도 종종 일어난다. 그리고 그런 것들을 과학적으로 풀어서 보여주는 책이 바로 이 '알을 낳는 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책은, 실제 교수인 한스 페터 베크 보른홀트, 헤르만 두벤이 자신들이 강의를 했던 내용을 엮은 것으로 그 강의는 우수 강의에 수상하는 '피셔 아펠트상'을 수상했다. 그도 그럴 것이 무언가 자신이 과학이라 믿고 있던 것이 깨져갈 때의 카타르시스, 그리고 새로운 지식이 유입되는 즐거움 등 그저 교육적이라거나 한 것을 넘어선 재미가 있는 그런 소재이기 때문일거다. 그리고 실제 이 책 속에 담긴 수많은 케이스들은 굉장히 흥미로운 것들이 많고. 왜 세상에는 질병의 '양성 반응'이 그렇게 많이 나오는지, 선거전략에서 쓰이는 몇몇(혹은 대부분의) 통계자료가 갖고 있는 오류 등의 재미있는 케이스들을 하나하나 읽어가며 그 오류를 조목조목 책과 함께 풀어가는 재미가 꽤 쏠쏠하다.

조금 경우는 다르지만 예전 '공상비과학대전' 이라는, 공상과학 속에 담겨진 오류들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책을 즐겁게 읽었던 경험과 꽤 비슷한 느낌이랄까. 물론 교수라는 직업이 갖는 특성, 그리고 현대 과학 속에 담겨진 오류들을 발견하는 것들이기에 훨씬 본격적이고 좀 더 논리적이라는 부분이 다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책 속에 담겨진 하나하나의 오류에 대한 설명들은 참 친절하고 과학적이다. 누가 교수님들 아니랄까봐~>


그 덕분에 이 책 속에 담겨진 수많은 오류 찾기 하나하나를 굉장히 흥미롭게 읽었다. 굉장히 본격적이고 과학적인 분석력에 탐복하면서, 그리고 나름대로 굉장히 과학적이라고 생각했고, 공대를 나온 나로서도 머리를 싸매며 수학적인, 통계적인 부분들을 풀어가면서.

전 체적으로 참 교육적이고 또 흥미로운 책이다. 그리고 실제 상식적으로 도움이 되기도 하고. 다만 약간의 우려는 생긴다. 소재가 흥미로운 것은 사실이지만 풀어가는 과정은 극히 과학적이라는 것에서 발생하는 문제. 바로 책 자체를 꽤 어렵게 느낄 수 있다는 점. 그 부분이 잘못하면 독자들에게 소화불량의 요소가 될 가능성도 높다. 개인적으로도 좀 피곤하고 생각하기 싫을 때는 잡지 않았던 책이니까. 그런 부분만 염두에 둔다면 간만의 지적 유희(나도 머리가 많이 굳었구나...)를 즐길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굉장히 와닿는 홈즈 선생님의 한 마디. 고백컨데 사실 나 자신도 가끔씩 그러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