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절하게 참 철없이 - 2009 제11회 백석문학상 수상작 창비시선 283
안도현 지음 / 창비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년시절, 허리까지 눈이 오던 나의 외갓집을 떠올려보면 생각나는 음식이 있다. 한 겨울, 장작불에 구들장을 들들 달구고 나를 이불에 싸 거기에서 못 나오게 하시고서는 당신이 손수 나가 항아리에서 떠 오시던 얼음 동동 띄운 식혜. 구들장에 엉덩이는 뜨겁고, 목으로 넘어가는 차갑디 차가운 식혜에 내장은 차가워지는 그 오묘한 맛이란.
그 뿐인가, 아궁이에 구운 군고구마를 얼음 동동 띄운  동치미와 함께 먹던 기억... 등. 지금은 모두 도시에 사는 덕에 다시는 맛볼 수 없는 그런 아름다운 기억들, 추억들.

과거의 음식은 단지 그 맛이 아니라 오감으로 기억되는, 그리고 그 때의 상황과 함께 기억되는 어쩌면 가장 보편적인 추억의 매개체일지도 모르겠다. 시인 안도현의 신간 '간절하게 참 철없이'는 그런 '음식'을 매개체로 그간 보편적으로 사랑받았던 그의 아름다운 정서를 노래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붉은 노을을 국자로 퍼다 먹는다... 닭개장의 이미지와 붉은 노을이 왠지 맞지 않는 것만 같아서 더 재미있고 또 와닿는달까

기억과 음식, 그리고 그의 '바라봄의 시학'으로 이루어진 이번 시집은 그렇기에 굉장히 대중적으로 느껴진다. 그의 시 '독거'에서, '저 구름은, 바라보는 일이 직업이다'라고 하듯, 시인 자신이 직접 따뜻하고 애절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 그렇기에 참 기분 좋게, 서글픈 시마저도 따뜻한 느낌으로 읽을 수 있었달까. 나처럼 시에 문외한인 사람에게도 이런 따뜻함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 어쩌면 그것이 안도현 시인의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라고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