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한지 1 - 짧은 제국의 황혼, 이문열의 史記 이야기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의 삼국지를 읽었던 때가 생각난다. 똑같은 삼국지인데, 분명 다른 삼국지. 가장 친했던 친구가 게임 '삼국지'를 즐기면서 너무 재미있게 한 권, 한 권을 읽는 것을 보면서 나도 따라 읽게 되었던 그의 삼국지. 나에게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엄석태의 이미지로 형상화되어있던 이문열은 그의 삼국지를 통해 전혀 다른 이미지를 전해주었었다. 그랬기에 이번 초한지를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잡았고.

이제 1권을 읽었을 뿐이지만, 분명 내가 알고 있는, 어려서 읽었던 초한지와 달랐다. 책의 서문에서도 작가가 밝혔듯, 그가 고민한 초한지의 한계, 4대 기서에 들어가지 못 하는 결점들을 보완하고, '사기'를 원전으로 하여 '자치통감'과 '한서'를 가미한 새로 쓴 초한지는 분명 이문열의 초한지였다. 대한민국 문학계에 이름 석자를 오롯이 세운 그의 이름값이 느껴지는 그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러스트레이터 이용규씨가 그렸다는 삽화의 기묘한 느낌은 왠지 이문열의 글과 닮아있다는 느낌이다




하지만, 그만큼이나 그의 고집도 느껴지는 느낌이랄까. 일련의 예로 왜 하필 도입부를 읽기 힘든 불친절함으로 썼을까. 주위 사람들의 반응도 그렇고, 개인적으로 읽었을 때도 이 초반부는 그다지 이해되지 않는다. 그렇게나 좋은 글들을 많이 쓴 그가 쓴 초반부라기에 초반을 읽다가 포기할 것만 같은(실제로 주위 사람 중 한 사람이 그랬고) 그런 딱딱함으로 시작했는지는 지금 봐도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또한 글 여기저기에서 저자의 '노기'가 느껴지는 것은 꽤 불편한 느낌을 주었다. 개인적인 느낌일지는 모르지만.

하지만 그런 '언짢음'의 허들을 조금만 넘으면 책의 깊이가 느껴진다. 글의 템포도 좋고, 재미도 느껴진다. 사실 우리나라에서 초한지의 입지는 분명 삼국지나 수호지와는 비교할 수 없이 약한 것이고, 실제 그런 한계성을 갖고 있는 것도 맞는 듯 하다. 하지만 그의 초한지는 서문에서 그가 밝혔듯 그 한계성을 뛰어넘으려는 여러 노력들을 시도했고 또 어느 정도는 성공한 느낌이다. 그가 조사한 관련 설화나 역사적 지식 등을 새롭게 알아가는 것도 꽤 재미있고, 진시황으로 시작하는 이 고릿짝 이야기에서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제도나 글 등의 유래나 실제 진행하는 모습들이 등장하는 것도 꽤 놀랍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진시황의 암살을 꾀했던 창해 역사와 우리네 설화 이야기...라는 식의, 일반 수호지에선 볼 수 없었던 그런 이야기들이 꽤 흥미롭다


분명 이문열은 우리시대의 소중한 작가다. 그리고 이 초한지는 그의 능력과 노력이 담겨있는 작품이고. 하지만 조금만 더 유해졌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