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일락 피면 - 10대의 선택에 관한 여덟 편의 이야기 ㅣ 창비청소년문학 4
최인석 외 지음, 원종찬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참 세상이 변하긴 변했다는 것을 새삼 느낀다.
내가 청소년이었을 때, 당시 소설판 '마크로스'(유명한 일본 애니메이션)를 읽으며 극중 인물이었던 민메이와 카이푼, 사촌 사이였던 그들이 결혼했을 때 나는 왠지 모를 불쾌함에 휩싸였었다. 뭔가 금지된 것을 보았던 느낌이었달까. 그만큼이나 국내 소설들 - 당시 내가 읽을 수 있을만한 소설들 - 에는 꿈과 희망만이 가득했고, 혹은 아름다운 사랑과 희생이 대부분이었으며 저런 소재는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런 가운데 당시 부모님 몰래 시드니 셀던의 '가시나무새'를 읽으며 '헉! 이건 도색 소설인가?'라고 느꼈을 정도니까.
이 책, '라일락 피면'은 분명 '청소년문학'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는 책이다. 하지만 그 소재는 그런 고루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는 나에게는 꽤 충격적이었다. 광주사태, 팜므 파탈, 사촌 누나에의 사랑, 극도의 폭력성을 지닌 목사 새아버지, 대인공포증, 심지어는 동성연애자 부모를 가진 딸 이야기까지.
그런 소재를 통해 '10대의 선택'이라는 하나의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는 총 8개의 단편들. 분명 있을 수 있는 일들이고, 실제로 신문에서도 가끔씩 볼 수 있는 일들, 개인적으로도 이런 이야기들을 우리 청소년들도 알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그런 소설들은 찾아보기 힘들었던 그런 충격적인 소재들. '청소년'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다면 말이다.
이런 소설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일반소설가들과 동화소설가가 모여서 책을 엮었다는 이 책의 특성 때문이었던 듯 하다. 우리나라에 '청소년문학 작가군'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렇게 작가군을 구성했다는 엮은이의 말 그대로 어쩌면 이 책은 그런 대한민국의 현실에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갖는 그런 작품일 듯 하다. 그렇기에 더욱 그 노력이 값져 보이고.
이런 소재들을 제외하더라도 뛰어난 작가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이 책은 그 재미나 완성도 면에서 상당히 뛰어나다. 10대의 방황, 그리고 선택을 그리고 있는 8개의 작품들은 각각 자신만의 색깔과 표현을 갖고 있으며 당장 우리 주위에서 일어날지 모를 것같은 그런 10대들의 모습들을 그리고 있다.
재미있지만 동시에 우울하다. 어쩌면 거의 대부분의 작가들이 그렇게도 '선택'이라기보다는 '강요'를 그리고 있는지. 그만큼이나 우리네 10대에게 어떤 선택을 자유의지로 할 수 있는 상황이냐고 묻는다면 참 어렵다. 개인적으로 생각해본다 하더라도. 수많은 잣대들과 수많은 강요들 속에서 자신이 원치 않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그들이 언제나 '어른이 되고 싶어'라는 그런 욕구를 갖고 있는 것은 얼마만큼은 이런 상황에 대한 반증이 아닐까 하고. 어른이 되어서야 드는 생각이지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부모가 함께 읽어야 할 책이다. 그리고 그들에게 선택의 자유를 어떻게 줄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할 것만 같은 그런 느낌이 든다. 그것이 어른의 의무는 아닐까 하는.
재미있다. 동화작가와 일반소설작가가 함께 만들어낸 이 책의 태생적인 특성 때문일까. 이런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는 것은 말이다. 아직 결혼도 하지 않는 놈이 말하기엔 참 우습지만.
그야말로 '8인 8색' 소재든 표현방식이든 비슷한 이야기가 하나 없다. 그런 작가들이 모여 하나를 이야기한다. 10대의 선택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