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옹 창비시선 279
정호승 지음 / 창비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 간만에 읽는 시집이다. 나름대로 책을 많이, 열심히 읽으려고 노력하지만 시집을 읽어본 것이 벌써 까마득한 옛 일처럼 느껴진다. 그렇게 무심히 보내온 시간 속에서도 끝없이 시집은 발매되어왔고, 간만에 나의 손에도 한 권이 잡혔다. 창비시선의 279번째인 정호승 시인의 포옹. 벌써 279번째라니 야속하지도 않나보다.

내 기억 속의 정호승 시인은 굉장히 아름답고 서정적인 감성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괴로운(?) 소재들을 참 잘도 쓰던 그런 시인이다. 그의 시집인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같은 경우에도 나도 모르게 시집을 놓아버렸달까. 그게 '똥'이나 '피'같은 소재 때문이었는지, 아니면 그의 시 속에 담겨진 지독한 외로움과 깊은 고뇌에 질려버렸었는지는 지금 생각해도 잘 모르겠다.

그의 아홉번째 시집인 '포옹'을 잡고서도 그런 부분에 꽤 고민을 했었다. 책을 놓아버린 기억이 자꾸 떠올라서... 하지만 하나하나의 시를 읽어가면서 조금 놀랐다.
그 의 굉장히 아름답고 서정적인 그런 감성은 그대로인 채, 과거의 어떤 충격적인, 그래서 너무 처절한 그런 느낌은 많이 절제되어 있었다. 과한 감성을 안으로 갈무리하고, 그렇지만 그 아름다움의 기저에 담겨져있는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 그리고 부모님에 대한 사랑을 그대로 느낄 수 있었던 것은 간만의 시를 읽는 즐거움이었다.

다만 한 가지 바람이 있다. 정호승 시인의 시가 갖고 있는 아름다움은 분명 외로움과 고통이 수반된 아름다움이다. 하지만, 그런 우울한 심상 속에 아름다움을 담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반대로 좀 더 따뜻한 아름다움을 그려낸다면 그것은 또 얼마나 아름다울까 하는 바람. 책 전반을 통해 실컷 우울한 아름다움을 만끽한 후 느낄만한 그런 바람. 좀 더 따뜻한 '정호승 시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시집을 한 권 읽고 싶어진다는 그런 바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