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지음 / 21세기북스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끔씩 이런 책을 읽고 있으면, 대체 왜 난 '공대'에 간걸까....라는 후회 아닌 후회를 하곤 한다. 인간의 심리를 오랫동안 공부한 사람들이 썼기 때문일까. 어떻게 하면 이렇게 '콕콕' 찌르는 듯 사람의 긍정을 이끌어내는, 그래서 매우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쓸 수 있을까. 난 나도 모르게 '그래 맞아' 라는 즐거운 긍정이나, 혹은 '그래... 내가 그랬지... 이런 부분은 고쳐야겠다'라는 식의 나 자신을 되돌아보는 깨달음을 몇 번이나 느끼며 단번에 이 책을 다 읽어냈다.

이 책 속의 가장 중심이 될 '프레임'. 사실 그 개념이 매우 훌륭하다거나 혹은 매우 참신한 것은 아니다. 그 '프레임'이란 바로 어떤 판단이나 행동의 기준이 되는 준거, 흔히 말하는 잣대같은 것. 그런 잣대가 어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지에 따라 인간의 사고나 행동은 너무나 쉽게 바뀐다는 것은 어쩌면 다들 이미 인지하고 있는 부분이 아닐까 한다. 하지만 이 책 속에서 프레임을 통해서 보여지는 다양한 사람들의 심리적 현상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그런 것들을 통해서 참 많은 것에 대해 새삼 놀라고 다시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어쩌면 그것들은 너무나 당연한 현상들, 가끔은 본받고 싶은 그런 사고방식이나 행동, 그리고 가끔은 나 자신이 손가락질하고 있지만 나 자신조차도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하고 있던 것들이기에 더욱 와닿고, 또 더욱 따끔한 느낌이다.
너무나 자기중심적인 인간이라는 존재의 심리를 이 책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나씩 설명한다. 왜 우리가 그렇게 자기중심적으로 행동하고 있는지, 또 왜 우리가 그렇게 의사선택을 했는지가 모두 '프레임'이라는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된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흥미로우며, 또 그런 다양한 사례 제시 속에서 상당히 인상적으로 우리가 갖고 있는 착각과 오류, 실수와 오해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그런 방법들을 배울 수 있다. 그 자체가 우리 자신이 갖고 있는 '프레임'을 교체하는 아주 단순한 방법이라는 것이 참 놀랍긴 하지만(단순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일이기도).

어쩌면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 가운데에서는 이미 '프레임'과 '프레이밍 이론'에 대해 그 개념을 알고 있거나 혹은 이 글이 말하는 이 책의 방향을 짐작하는 분들이 많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책이 갖는 가장 큰 장점은 그저 그 개념을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다. 저자의 오랜 교수 생활, 특히 서울대학교 내에서도 명강의로 유명한 그의 오랜 강의 경험이 이끌어내는 그 다양한 적용에 바로 이 책의 장점이 있다.
'알고 있는 것'과 '깨닫는 것'은 분명 다른 것이니까.

댓글(0) 먼댓글(1)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내가 보는 세상의 틀에 대한 다양한 얘기들 <프레임>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07-29 23:53 
    프레임최인철 지음/21세기북스(북이십일)처음에 이 책을 접할 때는 심리학 서적인 줄 알았다. 물론 사람의 심리에 근거를 두고 많은 사례를 다루고 있기는 하나, 심리학 서적이라고 하기 보다는 자기계발 서적이라고 보인다. 그만큼 대중성 있는 책으로 구성한 듯 하다.그래서 심리학에 대한 조금 깊이 있는 얘기를 바라는 사람들에게는 별 도움은 안 될 듯 하다. 여기에 나온 사례들 중에서 일부는 나도 기존에 알고 있었던 사례들도 있었다. 이론을 얘기해도 사례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