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책읽기 - 지식을 경영하는
스티브 레빈 지음, 송승하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수많은 사람들이 '읽기'를 통해 대부분의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생각해보면 우리의 지식 습득의 '읽기'에 대한 편중도는 새삼스러울 정도다), 어쩌면 '책 읽기' 자체를 고민하거나, 배우지 않는다는 것도 참 재미있는 아이러니다. 좀 더 효율적으로, 좀 더 제대로 된 책을 읽고, 그것을 최대한으로 흡수한다. 라는 것. 무언가 방법을 터득하면 될 것 같은데 말이지. 그게 참 어려운 일인가보다. 어떤 사람들은 '속독법'을 위주로, 여러 독서법들을 배우긴 하지만, 그것은 정말 일부가 아닐까. 대부분의 경우는 지속적인 책읽기를 통해 자신만의 독서법, 혹은 독서방향을 터득하고 자신만 사용한다. 어떻게 생각하면 굉장히 비효율적인 '시행착오의 쳇바퀴'일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가끔씩 '독서법' 자체를 이야기하는 책을 읽거나, 심지어는(솔직히 아직도 익히지 못 했지만), 몇몇 속독법에 관련된 책들을 읽어보기도 했다. 하지만 뭐랄까. 공감이 그다지 가지 않는달까. 그런 느낌에서, 예전에 추천받았던 '전략적 책 읽기'를 손에 들었다.

재미있는 것은 이 책의 작가인 스티브 레빈은 과거 '레빈저'사를 열고 '책벌레들을 위한 필수품'이라는 것을 판매했다고 한다. 비록 광서방은 아직 '책벌레' 수준은 아니지만, 도대체 뭘 팔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이 기회를 통해 '독서가'들을 만나서 '책을 잘 읽는 법'에 대한 이야기를 충분히 들었고, 이 책은 바로 그런 이야기들의 정수라 할 수 있겠다.
비록 '전략적'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책은 책 읽기의 전반적인(정말 생각치 못했던 부분까지 다양한) 부분에서 책 읽기에 대한 다양한 조언들로 구성되어 있다. 책 읽기의 강력한 힘을 피력하기도 하고, 수단과 목적이라는 서로 다른 접근 방법을 이야기하며, 책을 고르는 내공 기르는 법이나 현명한 도서관 이용법, 서점 탐험법, 독서토론 모임을 통한 인간 배우기 등등 다양한 부분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런데 그것들이 꽤 '공감'이 간다. 지금까지 읽었던 다른 책들과의 차이점이 뭔지는 정확히 모르겠다. 분명 다른 책들도 수많은 사람들의 '책사랑'이 담겨있을 것이고, 그 경험과 노하우가 담겨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때는 하지 못했던 공감을 이 책에서는 했다.
뭐랄까, 이 책의 저자와 나의 생각이 꽤 여러 부분에서 일치했기 때문일까? 그의 노하우를 대부분의 경우 별 여과없이 즐겁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좀 더 '책을 어떻게 하면 더 즐겁게 읽을까?'라는 질문의 답에 가까워진 기분이랄까?
하지만, 무조건적인 추천은 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이 같은 책에 공감하진 않으니까. 이 책에 있는 바대로 말이다. 마지막으로 책 속에 있는 꽤 공감한 문장 하나를 인용해본다.

책 읽을 시간이 좀 더 있었으면 하고 바라는가? 차라리 좀 더 오래 살고 싶다고 바라는 것이 어떤가?
지금 읽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