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노 치즈코’인지 ‘우에노 지즈코’가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최근에 알게 된 일본의 학자입니다. 도쿄대에서 사회학을 가르쳤고, 빨강 머리를 한 사진이 많습니다.
인터뷰 영상이 중국에서 인기있는 빌리빌리라는 동영상 플랫폼에서 화제가 됐다고 합니다.
자발적 비혼자에게 기본적인 이해가 없는 질문, ’연애의 상처가 커서 결혼을 안 한 것인지‘ 등, 이 영상을 본 사람들이 적절치 않다고 반응하면서 현재는 게시가 중단됐다고 합니다. 우에노 교수의 책을 한 권이라도 봤더라면 모를수가 없는 내용을 질문했다는 점에서 중국의 엘리트라고 할 수 있는 북경대, 미국과 유럽의 명문대를 졸업한 세 명(?)의 진행자들에 대해 더욱 반응이 격렬했다고 합니다.
중국의 AI와 과학 기술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성과도 많이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중고등학생들은 공대에 가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어, 당분간 이 분위기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중국 내 여성의 권리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언론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산아제한이 풀렸지만 오히려 여성들은 자신의 삶의 주도권과 자유를 갈망하고 있습니다. 경제력과 사회 분위기로 보면 당연한 전개입니다.
곧 80이 되는 자발적 비혼자 우에노 치즈코 교수의 책에 관심을 갖는 건 당연한 전개입니다.틱톡을 운영하는 기업 바이트댄스에서도 여성은 35세에 퇴사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하면서, 급속하게 일자리가 늘어난 중국에서 롤모델로 삼을 수 있는 인물로 일하는 여성들이 관심을 갖는다고 합니다. 노교수의 책을 한 권도 읽어보지 못했는데, 한 번 보려고 합니다.
한 사람으로서 존엄을 생각하게 되는 이 흐름이 중국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지 기대가 됩니다.
* ‘치즈코’가 우리 말 표기로 맞을 것 같은데, 왜 ‘지즈코’라고 번역이 됐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