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과 편견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8
제인 오스틴 지음 / 민음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만과 편견이라는 책은 무슨 책을 읽을까 고민하면서 책 추천 등을 검색하다가 발견한 책입니다 아주 예전에 영화로 한번 보고 나서 책으로도 읽어봐야지 생각만 하고 실천은 하지 못했었는데 이번 기회에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오만과 편견이라는 책은 베넷 가의 다섯 딸과 그들의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빙리라는 근사하고 부유한 남성과 그의 누이들 그리고 그의 친구인 다아시 등등의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베넷 가의 첫째 딸인 제인과 둘째 딸인 엘리자베스는 결혼 적령기가 된 딸들을 좋은 남자에게 시집 보내기 위해서 그들의 어머니는 새로 이사왔다는 빙리에게 잘 보이게 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무도회에서 첫째 딸 제인과 빙리는 서로 사랑에 빠졌고 둘째 딸 엘리자베스와 다아시는 서로 좋지 못한 첫인상을 남겼습니다 엘리자베스는 다아시의 오만한 태도와 말투를 좋지 않게 봤고 다아시도 엘리자베스가 맘에 안 든다는 것처럼 말했습니다 하지만 다아시는 점점 엘리자베스의 쾌활하고 영리한 모습에 빠졌고 엘리자베스도 그의 저택의 하인들이 다아시에 대해 하는 말과 군인 위컴과 야반도주를 한 막내 딸 리디아 때문에 땅에 떨어질 뻔한 명성을 다아시가 도와주는 모습을 보고 그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사랑에 빠지는 책입니다

처음 이 책의 내용을 접했던 건 영화로 접했었었습니다 그때에는 그냥 평범한 시골 소녀와 부유한 남자의 로맨스 이야기구나 하고 넘겼지만 확실히 책으로 읽으니 영화와는 많은 다른점이 있었습니다 영화를 본 건 예전이라서 기억이 선명하지는 않지만 영화에서 나타난 배우들의 표현들 보다는 책의 문장들로 나타난 것들이 더 좋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오만과 편견이라는 무겁고 어두워 보이는 제목과는 다르게 책의 내용은 생각보다 밝았습니다 하지만 그 안에서도 보이는 오만함과 편견들이 이 책의 내용이 왜 그것인지 알려주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책 중간 중간 나오는 빙리의 누이들은 정말 별로였습니다 상위층이라는 오만함과 다아시와 친근하게 지내는 엘리자베스를 질투해서 뒷담화를 하는 내용들이 정말 별로였습니다 사실 다아시도 처음에는 평민인 베넷가의 사람들을 열등하다고 생각하고 무시하는 것 같아서 싫었지만 책을 읽을수록 거듭되는 그의 수줍음 있는 모습과 자신의 사람들에게 친절한 모습이 그런 생각을 바꾸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은 명대사들이 굉장히 많은데 그런 명대사들은 19세기에 써진 게 맞나 싶을 정도로 파격적이었습니다 그리고 또 굉장히 현실적이었습니다 그런 명대사들을 머리에 넣어가며 읽는 재미도 발견해서 이 책을 읽는 동안 즐거울 수 있었습니다 생각보다 원래 책을 한번 읽으면 더이상 손을 대지 않게 되는데 이 책은 정말 즐겁게 읽어서 나중에는 영화도 다시 보고 책도 두고두고 계속 반복해서 읽을 것 같습니다

‘상당한 재산을 가진 독신 남성이라면 틀림없이 아내를 찾고 있을 것이다‘라는 말은 보편적인 진리이다.

우리는 우리의 관념과 편견으로 가득 차 있다.
아무리 공정하게 생각해도, 결국 그것 역시 주관적인 견해일 뿐이다.

"인간에게 매우 흔한 약점이야. 내가 지금까지 읽은 책에 따르면 오만은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인 성향이야. 인간은 본성적으로 오만에 빠지기 쉽게 되어 있어."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erendipity 2020-05-24 2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나 좋아하는 고전입니다. 영화도 너무 좋았고 책도 몇 번 읽었는데 원서는 너무 너무 좋았고요. 사실 예전 작품이라 원서는 어려운 편이지만 엘리자베스와 My. Darcy의 서로에 대한 오만과 편견이 풀리는 대사는 이 책의 백미입니다. 엘리자베스는 다시가 오만하다고 생각했고, 물론 다시도 엘리자베스에게 편견이 있었지요. 우리는 이렇게 인간이기에 편견에서 자유롭기 어렵습니다. 내가 가진 좁은 시야로 편견을 갖게 되고 그렇게 상대방을 오해하게 됩니다. 그렇게 자신만만하던 엘리자베스가 다시가 오만한 사람이 아닌걸 알고 했던 대사는 Till this moment I never knew it myself입니다. 이 순간까지 나는 나 자신을 몰랐다입니다. 내가 옳다고 맞다고 100% 믿고 있었는데 그건 편견이었던거죠. 우리는 날마다 편견을 벗는 연습이 필요한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