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 - 최신 언어로 읽기 쉽게 번역한 뉴에디트 완역판, 책 읽어드립니다
혜경궁 홍씨 지음, 신동운 옮김 / 스타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중록이라는 책은 제가 요즘 즐겨 보는 프로그램 ‘책 읽어드립니다’라는 방송을 보고 나서 출연자들이 책을 읽고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언제 한번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엔 이 책을 골랐습니다

한중록은 뒤주에 갇혀 죽은 사도세자의 아내 혜경궁 홍씨가 자신의
일생을 기록하고 담아 낸 책입니다 이 책에는 혜경궁 홍씨가 어려서 어떤 삶을 살았는지, 어떻게 간택되어 사도세자의 아내가 되었는지, 뒤주에 갇힌 사도세자를 바라보며 어떤 생각으로 버텼는지 등의 생각이 적혀있습니다 그래서 더 안타깝고 슬펐습니다

혜경궁 홍씨는 양반집이었지만 부모님과 조부가 매우 검소하고 청렴하게 생활했기 때문에 집안생활이 넉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혜경궁 홍씨의 어머니가 바느질을 손에서 놓은 적이 없고 나들이 갈 때 입는 옷 한벌을 항상 빨아서 그것만 입었다 한 부분을 보고 그들이 얼마나 검소하게 살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요즘 시대와 비교하면 우린 엄청난 사치를 부리는 것 같기도 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 밤이 되면 혜경궁 홍씨는 어머니 품에서 잠이 들었다는 것과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궁으로 들어가는 모습을 보고 목놓아 운다는 것을 보고 그들 부부가 얼마나 혜경궁 홍씨를 사랑했고 예뻐했는지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런 단란한 가정에서 자란 혜경궁 홍씨는 총명하고 예의바라서 임금과 대비마마 등 왕실 어른에게도 사랑받았지만 그녀의 남편인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고 나서 혜경궁 홍씨가 얼마나 슬퍼했는지 책을 읽으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책에는 뒤주에 갇혀 죽은 사도 세자의 어린시절 이야기들과 영조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는 옆에서 지켜 쭉 본 혜경궁 홍씨가 책을 썼기 때문에 잘 나와있었습니다 읽으면서도 계속 느꼈지만 영조가 사도세자를 더 사랑해주고 곁에서 있어줬다면 임오화변과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혜경궁 홍씨가 말하기를 영조는 세자의 거처와 거리를 둔 곳에서 지냈고 세자는 애기 때부터 내인들에게 맡겨져서 자랐다고 합니다 아무리 사도세자가 총명하고 똑똑했다고 해도 부모의 관심과 사랑 없이 자란 아이는 잘 자란 아이라고 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더욱이 세자의 아버지인 영조는 어려서부터 정치 싸움에 휘말렸던 적이 있어 좋지 않은 일과 좋은 일에 구별을 했고 좋은 일을 하러 갈 때의 문과 좋지 않은 일을 하러 갈 때의 문도 달랐을 정도로 굉장히 예민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사도세자에게 일을 맡길 때도 항상 좋지 않은 일을 맡겼었고 날씨가 좋지 않은 것도 세자의 탓이라며 꾸중했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신하들과 왕실 사람들이 모두 있는 자리에서 사도세자가 놀던 장난감들을 들고오라 시켜서 모두가 보는 앞에서 면박을 줬으니 사도세자가 영조에 대한 두려움과 분노를 가질만 했다고 생각합니다 세자라는 자리만으로도 엄청난 압박이 있었을 텐데 임금이 계속해서 꾸중하고 내몰아서 둘의 관계에 금이 갔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일들을 겪었었을 혜경궁 홍씨의 정신 상태도 결코 좋았을 것 같진 않습니다 책으로만 읽어도 사도세자가 얼마나 두려웠을지 느껴지는데 아내로서 그걸 지켜보기만 했던 혜경궁 홍씨는 남편이 뒤주에 갇혀 죽는 모습까지 봤으니 얼마나 힘들었을지 예상도 할 수 없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임금이 뭐고 세자가 뭔지 그냥 평범했던 아버지와 아들이었다면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텐데 하고 계속 안타까웠습니다 정치적인 위치와 바라보는 시선이 많았기 때문에 영조도 어쩔 수 없이 했던 일들도 분명히 있었을 거라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다시는 이러한 역사의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조선시대든 현재든 시대가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인 싸움은 끝나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지는 현실에 안타까웠습니다

"마마, 처분을 내리셨는데 죄인의 아내인 제가 궁에 있기괴롭습니다. 친정으로 나가겠사오니 부디 은혜를 베푸시어 세손만은 보존하여 주옵소서."

"망극하고 망극한 일이나 모두 하늘의 뜻이다. 네가 몸을평안히 해야 나라가 태평할 것이다. 비록 서럽고도 서러운 일이나 부디 마음 상하지 말아라."

그 당시의 일을 나는 차마 기록할 마음이 없었지만 주상(손자인 순조)이 그 때의 일을 모르시는 것이 안타깝고, 또한 옳고 그름이 분별되지 못함이 민망하여 마지못하여 이리기록하였다. 그러나 차마 기록하지 못할 일은 빠진 것이많다. 내가 늙어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이를 쓰니,
참으로 내가 모질고 흉한 사람이로다. 그저 하늘을 우러러 흐느끼며, 타고난 팔자를 한탄할 뿐이구나.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erendipity 2020-05-03 1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기만 해도 마음이 아프네요 ㅜ 사랑받지 못한 사도세자, 그를 지켜보는 혜경궁 홍씨의 아픔이 어떠했을지...옳지 못한 일을 보면서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하며 살아야 할까요? 타인의 아픔에 무감각해지는 시대입니다. 나의 상처는 누군가 읽어주길 바라면서도 ㅜ 정치 선진국도 기대하고 우리의 소소한 일상에서도 상식과 공감이 통하는 일들이 많아지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