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놓은지 꽤 되는데 오늘 처음 펼쳐보았다.

 

앞표지 천명관(큼지막). 표지 뒷면 천명관(작게). 끼워진 엽서 천명관. 2쪽 천명관(엄청 크게). 3쪽 목차.

4쪽 염전 화보. 5쪽 스탭 소개. 6쪽과 7쪽 천명관의 두상으로 보이는 한 남자의 뒤통수 실루엣과 일출(아니 일몰이 맞을 듯).

8쪽 천명관(대나무 숲에서). 9쪽 대나무 숲. 그리고 10쪽. 바로 아래 사진이다.

 

이 문장을 해석하기 전에는 절대로..... 이 잡지를...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16-01-19 1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악. 영어예요. 못읽겠어요.;;;

오거서 2016-01-19 18:59   좋아요 1 | URL
너무 솔직해요. 사진 해상도를 탓할 수 있으면 좋은데요 … 글씨가 큼직막해서 한 글자씩 봐야 하는군요 ^^;

컨디션 2016-01-19 22:53   좋아요 2 | URL
저도 아직 시도 안했어요. 단어 찾아야 하는데ㅠㅠ 제가 이 페이퍼 올린 기본적 심보(?)는요, 악스트는 왜 이런 식의 멋부림을 추구하는지, 까짓거 이해한다치고.. 왜. 왜 독자한테 이런 부담을 지우는지.. 밑에 작게나마(뭔가 미적으로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아주 쬐그맣게라도) 뜻을 번역해주면 제가 이렇게까지 나오진 않았겠죠...

컨디션 2016-01-19 22:54   좋아요 2 | URL
한글자씩 큼직큼직 먹음직(?)스럽긴 한데, 한마디로 간지 잘잘 흐르긴 한데.. 말이죠. 오거서님 ^^

hnine 2016-01-20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내 자신을 찾은 것인지 혼동에 빠졌다;
내가 찾아낸 것이 무엇인지;
내가 얻어낸 것이 내게 없다.
나는 마치 산책을 하고 있듯이 잠을 잔다. 하지만 깨어있다.
나는 마치 잠을 자고 있는 중이었던 것 같지만 사실은 깨어있다. 나는 내 소유가 아니다.
살아있음이란 알고 보면 하나의 커다란 불면증 덩어리.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하는 모든 일들은, 꿈이라는 것을 알고 꾸는 꿈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다.)

이런 뜻인가요? 궁금해서 저도 발로하는 번역이나마 ㅠㅠ





컨디션 2016-01-20 13:22   좋아요 0 | URL
오 hnine님, 속쓰린 아침의 콩나물 해장국처럼 속이 후련하고 짜릿한 사이다 한 잔 벌컥벌컥 마신 기분입니다.^^ 어젯밤 낡은 사전을 뒤적이며 해석을 해보긴 했어요. 대충의 느낌은 오는데 도대체가 어버버하게 마디마디 뚝뚝 끊기면서 부드럽게 이을 수가 없는 거예요. 명확하게 건진 게 있다면, 페르난도 페소아라는 포르투갈 작가의 자서전<불안의 책>이라는 것 정도. 뭐 이게 어디냐 하면서 그냥 쿨쿨 잤어요.ㅎㅎ

발로 하신 번역이라뇨. 당최 그런 말씀 마소서. 특히 마지막 문장은 hnine님의 살아숨쉬는 번역이 뭉클하게 다가옵니다. 감사해요. 알라딘 (재능)기부천사, 우리의 엣지 나인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