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많은 이들이 드라마 ‘선덕여왕’을 통해 ‘미실’이라는 여인을 접했을 거라고 생각한다.
2005년도에 ‘미실’이 출간되면서 미처 펴내지 못했던 부분들을 이 책에 다시 담아 무삭제 개정판 ‘미실’이 다시 개정되어서 출판되었다.
아무래도 삭제되었던 부분들이 있음은 그 소설을 읽어 내려가면서 많은 이해를 돋아주는 주요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단지 장편소설이었던 ‘미실’은 왜 지실로 다가오는 것일까?
그것은 실제 신라시대의 배경과 사회적, 문화적인 면들을 그대로 받아들여 압도적인 독자들의 픽션에 대한 생각을 빼앗아 가면서 사실적이고 좀 더 섬세한 부분들을 상세하게 이끌어 준 저자의 노력이 한 몫을 하였다.
우아한 문체 속에서도 마치 살아있는 현재의 세계를 보는 듯한 느낌을 주었고 ‘선과 악’, 그리고 성애 대한 미실의 노력은 그 대가를 톡톡히 치뤘음을 보여준다.
미실은 할머니의 아래서 많은 것을 배워왔다.
즉, 사람을 기른다는 말이 맞을 정도로 심리며 손자병법의 술수를 꾸준히 익혔다.
또한 남과 녀의 가장 기본적인 성에 대한 기본을 알고 그로 인해 남자들을 다스리는 법을 알아갔다.
그렇기에 더욱더 이 책은 작가의 픽션이 아닌 것처럼 느껴졌을 수도 있다.
그러고 보면 신라시대의 역사는 참으로 신기하고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든 부분들이 많다.
진골과 성골이 그 첫 번째이고 원화제도와 화랑제도, 대원신통과 진골전통, 그리고 동모제, 상피, 마복자 등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지금이라면 상상하지도 못한 남녀 간의 사이가 신라시대에는 이토록 복잡 다할 수가 없다.
어느 순간 아버지가 남편이 되고 누나가 아내가 되고, 엄마가 부인이 되는 시대는 정말 상상할 수 없는 지금의 시대를 억압하고 있었다.
어쩌면 작가는 ‘미실’이라는 여인을 중심으로 신라시대의 역사를 현대인들에게 널리 알리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지 않았나 싶다.
드라마 ‘선덕여왕’을 보면서도 이해하지 못했던 의미심장한 부분들을 한방에 알게 해준 책이 ‘미실’이었기 때문이다.
픽션이면서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란 엄청난 노력이 필요로 한다.
요즘에 ‘미실’이라는 여인상을 만나기는 쉽지가 않을 것이다.
부드러우면서도 강렬한 힘을 가졌고 자유롭지만 자유를 누릴 수 없는 한 여인의 인생, 마지막은 비록 흙으로 다시 돌아가는 막으로 끝나지만 오래도록 그녀의 이름은 쉽게 잊혀 지지는 않을 것이다.
비록 미실이 마지막에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라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다 취했다고 생각했던 미실은 그렇게 의문점을 남겼다.
사랑에 목숨을 건 설원랑의 지고지순한 사랑, 오래도록 기억 속에 남겨진 미실의 첫사랑 사다함, 그리고 미실의 말이라면 무엇이든 해주고픈 안타까운 짝사랑과도 같은 사랑을 해온 세종, 그들과 미실의 관계 속에서 또 하나의 배움을 얻는다.
이 책은 드라마 ‘선덕여왕’에서의 미실과 많은 모습과 생각들이 달랐다.
해당 서평은 해냄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