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에게 여성은 민족의 일원이라기보다 민족적 승리에 따라 교환되는 하나의 전리품일 뿐이다. 그 중간에 자리한 자이니치 후손들에게도 민족이라는 지표는 중요해 보인다. 하나(소설의 주인공)가 우연히 들어서게 된 교토조선중고급학교에서 마주친 이들은 지도에 없는 '조선'을 국적으로 둔 시대착오적 존재이면서도, 조국에 대한 긍지로 가득차 있다. 그러나 지나친 자부심은 언제나 지독한 열등감의 이면이 아닌가. 민족에 대한 자이니치 후손들의 강박은, 한국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박양을 죽인 기노시타 미노루의 원체험과 연관된다."

ㅡ 강지희의 '키클롭스의 외눈과 불협화음' 중에서

 

어느 비평가가 쓴 해설을 읽다가 이 대목(위 밑줄 친 부분)에 이르러 눈길이 멎었다. 위 글은 민족주의와 가부장제가 어떤 방식으로 여성을 가해와 혐오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분석하는 텍스트였다. 글의 문맥마다 여성으로서의 괴로움과 집필가로서의 수고로움이 드러나 있었으나 재일 교포들(지도에도 없는 나라를 국적으로 둔 시대착오적 존재)에 대해서 다소나마 단선적인 규정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들었다. 

 

재일조선인 2세이자 에세이스트인 서경식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 (해방 이후) 외국인으로 간주된 재일조선인들은 외국인 등록 수속을 할 때, 자기의 '국적'을 신고하고 기입해야 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한반도에서 민족분단을 둘러싼 대립이 심화된 상태로, 조선 사람들의 독립국가는 아직 성립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국가가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국적을 기입하라는 것이다. 할 수 없이 많은 재일조선인은 국적란에 '조선'이라고 기입했다. 그것은 '조선'이라는 국가의 국민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조선반도 출신, 조선민족의 일원이라는 의미, 즉 국적이 아니라 민족적 귀속을 나타내는 신호였다.

(중략)

'조선적'에서 '한국 국적'으로의 기재 변경은, 대한민국에 국민등록을 해야 한다는 조건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즉 남과 북으로 나뉜 분단국가 중에서 남쪽의 국민으로 귀속할 것을 강요한 것이다..... 시점을 달리해보면 재일조선인이라는 집단은,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가 합작해 행사한 압력에 의해 둘로 갈라져, 한편은 난민 상태를 강요당하고, 다른 한편은 한국 국민이라는 틀 안에 갇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도 오늘날까지 여전히 '조선적'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본시 조선은 하나'라는 생각을 소중히 간직하려는 사람들, 재일조선인이 형성된 역사의 기록을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 자발적인 난민으로서 기꺼이 불리한 지위를 택하고자 하는 사람들, 또는 단지 기재변경을 할 기회가 없었던 사람들 등 다양한 입장이 뒤섞여 존재한다."

ㅡ 서경식의 "디아스포라 기행" 중에서

 

재일조선인들이 여전히 '지도에도 없는' 조선적을 유지하고 조선이라는 이름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는 상술한 것처럼 다양하다. 그들 중에는 (비평가의 표현처럼) 시대착오적인 사람들도 있겠으나 난민의 고통과 설움을 안고 살면서도 조선이라는 시공간을 일종의 심리적인 귀의처歸依處로 삼으려는 이들도 존재한다. 또한, 난민의 형성 과정을 역사화, 기록화하기 위해서 불편을 무릅쓰고 조선이라는 이름을 각별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있다.

약자들-그 이름이 여성이건 성소수자이건 노동자이건 난민이건 간에-이 수모와 고통을 받았던 역사적, 사회적인 실태를 고찰하는 일은 참으로 값지고 중요하다. 다만 비평가가 차별(들)의 역사에 대해서 논하려고 할 때 특정한 집단이 받았던 차별은 예민하게 검토하면서 (이해관계가 다를 수 있는) 다른 집단이 겪었던 차별을 범상한 시각으로 이해해선 곤란하다고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곰생각하는발 2018-09-05 2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수다맨 님, 추석 전에 얼굴 한번 봅시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