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 한국경제 대전망
류덕현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10월
평점 :
경제 전문가와 기상청의 공통점이 있다고 한다. 미래를 예측하는 일을 하며 항상 틀린다는 것이다. 그만큼 경제를 예측한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인데 매년 이맘때가 되면 다음 해 경제를 전망하는 보고서나 책이 발간된다. 그리고 우리는 틀릴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돈을 주고 사서 귀한 시간을 쪼개서 읽어본다. 그냥 흥미로 읽어보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아마 대부분은 재테크에 관심이 많아서 내년에는 어디에 투자를 할까 고민을 하면서 책을 읽어볼 것이다.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이므로 우리나라의 경제뿐 아니라 주변국 가나 다른 경제 대국인 미국, 중국, 인도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도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한국 경제를 전망한다는 것은 세계 경제가 어떻게 변화될지를 예측하는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틀릴 수밖에 없는 전망을 계속 내 놓지만 그 전망의 배경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전망을 맞게 하였지만 다른 돌발 변수 때문에 틀어졌을 수도 있고 애초에 전망이라고 내놓았던 변수나 가정이 잘못되었을 수도 있다. 그래서 행간의 의미를 파악하라고 하는데 전문가들 의견의 결론만 놓고 주식이 오른다더라, 한율이 내린다더라 등과 보고 판단하지 말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예측한 대로 내가 따라 해서 돈을 벌면 전문가이고 그렇지 못하다면 비전문가이고 사기꾼이라고 폄하하기도 하지 만 정말 기가 막히게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굳이 힘들게 강연을 하거나 책을 쓸 필요가 있을까? 다만 어떤 변수들이 있고 CASE 별로 어떤 일이 벌어질 수 있으니 그에 맞게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책이 출판되었을 때는 미 대선이 끝나지 않아 미국 경제가 어떻게 흘러갈지 알 수 없지만 책을 다 읽은 시점에 마침 미국 대선 결과가 나왔다. 누구는 예상했을지 모르지만 트럼프가 당선되었다. 예상대로 환율과 채권 금리는 급등하였다. 며칠 전만 해도 유튜브에서 헤리스 후보가 당선이 유력하다고 떠들어 댄 사람도 있고 박빙이라고 조심스럽게 의견을 낸 사람도 있었다. 당연하게도 트럼프가 우세할 것이라고 말했던 전문가들은 다시 방송이나 유튜브에 나와서 내가 미리 말하지 않았냐고 떠벌릴지도 모른다. 결과론적으로 '모 아니면 도'라는 심정으로 배팅하였고 예측에 실패하더라도 4년 뒤를 다시 노리면 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다행히 책에서는 두 가지 경우에 대해 시나리오를 설명하였다. 즉 내년도 경제에 대해 예측을 한 것이 아니라 어떤 이벤트들이 있으니 각자 판단해서 대응하기를 권고하는 것이다.
내년 한국 경제에 영향을 줄 만한 요인은 거의 정해져 있다. 미국 경제와 증시, EU의 성장률, 엔화 약세, 중국과 인도 경제 등등. 그리고 자원대국이지만 우리가 잘 모르는 인도네시아 등. 모두 기회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리스크 요인이다. 친환경, 녹색성장을 하지 않으면 당장 문제가 될 것처럼 떠들어대고 전기차가 대세라고 생각했지만 몇 가지 이유로 이차전지와 함께 몰락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누구도 알 수 없다. 어떤 변수가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고 대비하는 것과 그냥 주가 차트만 바라보고 자극적인 유튜브 방송만 보고 있으면 발전이 없다. 스스로 책을 읽고 판단해 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어차피 전문가들도 틀릴 수밖에 없는 경제 전망인데 스스로 해 본다고 손해 볼 것은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