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넥스트 인텔리전스
로랑 알렉상드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이보그라는 용어가 등장한 것은 영화나 공상과학 소설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 그 시절 영화를 볼 때면 그냥 상상에서나 존재하는 그런 내용이었다.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을 공격하고 세상을 지배할 것 같은 그런 내용들을 보며 미래는 가능할 수 있겠다고 막연하게 생각하였는데 CHAT GPT가 등장하고 나서 경쟁적으로 등장하는 인공지능 모델들을 보면 마치 인공지능 기술을 숨겨두었다가 하나씩 발표하고 있다는 느낌도 든다. 어느 순간 인공지능 비서를 능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기술의 발전이 너무 빠르다 보니 이제 따라가는 것조차 벅차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내가 활용해 본 인공지능의 기술력은 놀라울 정도라는 것이다. 사람에게 말하듯이 명령을 내려도 어쩌면 더 조잡스럽게 명령을 내려도 훨씬 더 잘 이해하고 답변을 내어놓는다. 앞으로의 기술 발전은 가속도가 붙어 훨씬 더 빠를 것이다. 그리고 빅 테크 기업들은 이번에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영원히 도태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너 나 할 것 없이 기술 경쟁력에 뛰어들고 있다. 과거에는 막연하게 생각했던 일들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인공지능의 이론에 대해 공부해 본 사람이라면 강 인공지능, 약 인공지능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마치 죄수의 딜레마처럼 인공지능 기술은 극단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학교는 어떻게 학생을 가르쳐야 할까? 처음에 책을 읽었을 때는 상당히 부정적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인간 본능을 망각하고 인공지능이 시키는 대로 따라가야 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인간의 뇌는 호모 사피엔스 시절이나 지금이나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인공지능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어 인간 지능을 따라잡는 것은 얼마 남지도 않았다는 것이다.
인간이 인공지능만큼 똑똑해지기 위해서는 일론 머스크가 추진하는 뉴럴링크 칩을 이식해야 하는 것일까? 공상과학 영화에서 보면 내가 직접 어렵게 공부하지 않아도 머리에 전선을 연결하고 전기 자극을 보내면 알아서 뇌에 기억이 되는 신기한 것을 보며 가능할까 싶었다. 그런데 점차 하나씩 현실이 되어 가고 있는 것을 보면 기술 발전이 놀랍기도 하고 두렵다. 인간 본성을 잃어가는 것은 아닐까 걱정이 되기도 하고 지금보다 살기 좋은 시대가 올 것이라 기대도 된다. 19세기까지 민초들의 삶은 고달팠고 산업혁명과 계몽주의 등의 영향으로 살기 좋아진 것이다. 책에서 말한 대로 중세 시대 루이 14세보다 내가 더 부유한 삶을 누리고 있을 수도 있고 아인슈타인도 풀지 못했던 공식을 요즘은 중고등학교에서 가르치기도 한다. 뒤집어 말하면 요즘 중고등학생들이 아인슈타인보다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이다. 조금씩 나이가 들어가면서 이제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더 적게 남았다는 사실을 인지하면서 달라지는 것이 먼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그냥 남은 내 인생 동안만 편하게 살다 가면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자세이다. 하지만 저자는 우주의 나이가 아직 한참 남았으니 - 어떤 책에서는 약 450조 년 정도가 남았다고 한다 - 1000억 년 이후까지 생각하라고 한다.
어릴 적 상상했던 것이 화성에는 외계인이 살고 있을까였다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치여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는 우주에서 보면 정말 작은 것에 불과하고 우리가 속한 우리 은하가 우주에는 수백수천 개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상당히 높은 확률로 우주에는 인류와 같은 지능을 가진 존재가 있지 않을까? 최소한 생명체는 존재하지 않을까? 그런데 저자의 말대로 어쩌면 우리는 우주에서 유일한 존재일지도 모른다. 자부심을 가져야 하지 않겠는가. 당장 내가 살아있는 동안 마주하게 될 로봇세를 걷어 부를 나눠주는 것부터 시작하여 100년 뒤, 1억 년 뒤까지 생각하는 것까지. 인공지능의 발달로 새로운 인간 종족인 호모 데우스가 탄생하게 될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른 것을 다 떠나서 중요한 것은 분명 인공지능은 생각보다 기술 진화속도가 빠르다는 것이고 우리는 싫으나 좋으나 그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 변화의 물결에 휩쓸릴 것인지 주도할 것인지는 각자의 몫이다. 인공지능의 발전에 대해 이과적인 생각만으로 접근하였는데 저자는 내가 생각하기로는 상당히 문과적인 접근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