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6 그러나 아내는 내 기대에 미치지 못했고, 나 역시 아내의 기대에 못 미쳤다. 우리 각자는 ‘돕는 배필’이라기 보다는 ‘바라는 배필’이었던 것이다. 우리는 결혼생활에서 배우자에 대한 배려와 의무에는 관심조차 없었고, 스스로는 왕과 왕비이기를 바라며서 배우자를 종이나 하녀처럼 대했던 것이다.

이들은 결혼을 통해 자신의 필요를 채우려 든다. 자신이 배우자의 필요를 채워주는 게 아니라, 배우자가 자신의 필요를 위해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 중략 - 내게는 다소 불이익이 있더라도 우리 가정에 유익하다면, 우리 가족에게 유익하다면 나를 희생할 수 있어야 한다.

결혼생활이란 배우자를 바꾸는 게 아니라 나를 바꾸는 것이다.
이 권위(남편으로서 혹은 아내로서)는 삶의 모범을 통해 가족들을 섬길 때, 헌신할 때, 희생할 때 가족들의 존경을 통해 나타나게 되어 있다.

P36 가정을 마케팅 대상으로 볼 때 가장 중요한 순간은 당신이 가족과 만나는 순간이다. 그런데 그 순간 당신이 아내를 무시하고, 비판하고, 경청하지 않고, 자녀에게도 그러하다면 가족 고객은 당신을 떠날 것이다. 그들이 힘이 약하고 정서적, 육체적으로 성장하지 않았을 때에는 당신의 그늘에 묻혀 지내겠지만, 그들이 스스로 독립할 수 있을 때 그들은 과감히 당신을 떠날 것이다. 그것이 현실로 드러난 것이 바로 황혼 이혼이다.

P39 돈 많은 사람이 행복할까? 반대로 행복한 사람이 부도 쌓고 사회적으로 성공할까? 일리노이대 심리학과 에드 디너 교수가 1976년 대학생 수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활 당시 ‘행복하다’라고 답했던 학생들의 37세 때 소득을 조사했을 때, 그렇지 않다고 대답했던 학생들보다 훨씬 높은 소득을 올리고 있었다고 한다. 돈이 많아서 해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한 마음가짐이 돈을 벌어준다는 결론이다.

특히 한국의 아버지들은 ‘부자=행복’이라는 공식에 사로잡혀 일 중독자가 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가난한 사람을 보고 ‘못 사는 집’이라고 하고, 돈이 많은 사람을 보고는 ‘잘 사는 집’이라고 표현한다. 돈이 많은 사람은 부자이지 잘 사는 사람이 아니다. 잘 산다는 말은 돈이 많은 집을 말하는게 아니고, 빈부여부를 떠나 행복하게 산다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97 발명왕으로 갑부가 된 에디슨은 자녀 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아 세 자녀 모두 가난뱅이로 살아야 했다. 또 20세기 최고의 화가이자 억만장자였던 피카소 역시 화가였던 아버지가 자신을 위대한 화가로 만드는 데 헌신했지만, 아버지의 성을 버리고 어머니의 성(피카소)을 따르면서 결국 아버지를 배신했다. 더욱이 여성 편력(일골 명의 여성과 동거)이 심했던 그는 아들과 손자들을 방치해 장남은 알코올 중독으로 자살하고 손자도 자살로 생을 마감하는 비운의 가정으로 만들었다. 반면 찰스 다윈은 자기 인생의 멘토였고 후원자가 되어준 아버지 로버트에 대해 평생 존경과 애정을 담아 이야기했다. 다윈의 진화론은 할아버지와 부자 아빠의 후원 등 3대의 합작품으로 탄생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160 아인슈타인도 그랬지만 아이의 미래는 어린 시절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유대인이었던 아인슈타인에 대해 초등학교 1학년 때 선생님은 "이 아이에게 어떠한 지적능력도 기대할 수 없다"는 기록을 성적표에 남겼다. 한 마디로 지진아였던 셈이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부모는 자신의 아들을 전적으로 신뢰했다. 아인슈타인은 훗날 ‘어머니는 나에게 왜 남들처럼 못하느냐는 꾸지람을 단 한번도 한적이 없었다"고 회고했다.

P173 형편상 가정교사를 두지 못하더라도 방법은 얼마든지 있다. 그 첫째가 부모가 지혜를 가르쳐주는 스승이 되는 것이다. -중략- 부모는 자녀에 대한 기대가 높고 욕심이 앞선 나머지 자녀가 잘 따라오지 않는다면 화를 내고 질책하게 되는데, 그러면 아이는 주눅이 든채 마음 속에는 저항심이 생겨 교육이 제대로 될리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61 아이는 어른의 등을 보고 배운다

P84 일년 동안 빌(‘빌 게이츠’)의 상담을 받았던 카운슬러는 빌에게 전통적인 행동방식을 따르라고 강요하거나 좀 더 고분고분 해지라고 타이르는 건 쓸데없는 일이라고 충고했다.

P114 Rothschild = Rot (붉은 색) + schild (방패)

P115 지금도 로스차일드 가문의 문장은 질끈 묶여있는 ‘다섯 개의 화살’이다.

P134 그래서 공자는 "사람은 모두 비슷한 성품을 지니고 태어나지만 공부하는 습관에 따라 인생이 달라진다"고 말하지 않았던가! "

P141 공자는 직접 제자들에게 설명하여 가르치기 보다 스스로 공부해 모르는 것을 질문하는 방식으로 교육했다고 한다. 질문 위주로 수업을 할 경우, 학생들은 먼저 스스로 공부하지 않으면 안된다.

P143 "군자가 자기의 자녀를 직접 가르치지 않는 이유는 교육의 자세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교육자는 반드시 바른 길로 가르치나, 바른 길로 가르쳐도 실천하지 않으면 성내어 꾸짖게 되고, 성내어 꾸짖고 때리면 도리어 감정을 상하게 된다. 만일 극단적으로 사제관계가 악화 되어 ‘아버지가 나를 바른 길로 가르치지만 아버지도 바른 길로 나아가지는 못한다’ 고 원망하게 되면, 부자의 친밀한 관계를 해치게 된다.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 멀어지는 것은 죄악이다. " 공자는 직접 가르치지 않고 가끔 질문을 하면서 아들이 공부를 게을리 하지는 않는지 실력을 점검하는 정도로만 관여했다. 그리고, 모자라는 부분이 있으면 그것에 대해 간단하게 조언하는 정도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2/26

P28 훗날 케네디 대통령은 "아버지는 세상에서 아이들이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존재라는 것을 우리들이 느낄 수 있게 해주셨다." 고 말했을 정도였다. -중략- 케네디의 어머니는 자녀들에게 항상 "처음에는 서툴러도 반복해서 최선을 다하면 최고가 될 수 있다." 고 가르쳤다.

P39 로즈 케네디는 회고록에 다음과 같이 썼다. "내가 자식들에게 물려주고자 하는 것들은 대부분이 내가 나의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고 또 나의 부모님들은 그들의 선친으로부터 물려받은 것들이다."
자녀 교육의 큰 원칙은 결국 하나다. 바로 부모에게서 시작하고 부모에게서 끝나는 것이다. 결국 가르칠 대상은 자녀가 아니다. 부모가 지금 행하는 것이 곧 자녀와 그 자녀의 자녀들이 행하게 될 것 들이다. 이것이 행동 하나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P47 사회에 가장 필요한 사람은 존경받는 인물이다.

P52 또한 정당한 재산이어야 후손들도 그 재산을 떳떳하게 행사할 수 있다. 천문학적인 재산을 모은 록펠러 가문은 5대에 이르자 그의 후손들이 가문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지 못했다고 한다. 선조들이 부를 축적한 방식이 한 마디로 무자비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