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검색어 1위 마음을 꿈꾸다 1
박현숙 지음 / 꿈꾸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95 민구는아파트 앞에서 헤어질 때 이상한 소리를 지껄여 댔다.
"유전자는 변이해. 거위도 날개가 있는 거로 보아 예전에는 날았어. 그런데 더 이상 날지 않아도 되는 계기로 인해 퇴화된 거지. 하지만 꼭 날아야 할 계기가 생기면 날 수도 있어. 변이하는 게 유전자니까!"

P153 아빠와 도진이는 친한게 아니었다. 아빠는 공부 잘하는 도진이가 좋아서 무한 후원해주었던 거다. 그것과 친한 거는 다르다.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가 원하는 것을 추구했다. 그걸 얻어내면 거기에 맞는 대가를 지불했다.

P158 "도용아 네가 그랬잖아. 짧은 날들이라도 특별한 시간을 만들수 있다고."
내가 그렇게 멋지 말을 했다고? 기억에 없었다.
"내가 포기한다고 마지막으로 노래나 실컷 부르자고 아이파크에 왔던 날, 노래를 부르고 나서 라면 먹으면서 네가 그랬잖아.
토토와 가장 좋았던 시간은 토토가 죽기 직전 얼마 안 되는 시간이었다고, 그 얼마 안되는 시간이 15년 살아온 날들보다 더 특별했고 지금도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어차피 토토가 죽을 거를 알고 포기 (안락사) 했다면 그 날들을 얻지 못했을 거라고."

P173 "하도용, 너한테도 매력이 있는 걸까?" (도진은) 뜬금없이 이런 말을 했다. 민구의 다른 면을 보고 사람을 대하고 판단하는 마인드를 바꾸기로 결심한 걸까.

P199 도진이가 뛰쳐나간 비가 내렸던 그날 밤, 버스 정류장 의자에 앉아 바라봤던 차도가 떠올랐다.
가로등 불빛이 내리쬐어 찬란하게 빛나던 도로, 흥건하게 고인 빗물이 아니었더라면 차도는 그렇게 찬란하게 빛나지 못했을 거다.
빗물과도 같았던 오해와 할머니의 야단이 있었기에 오늘이 더 빛날 수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26 감시하는 병사들보다도, 나치대원들보다도 카포들이 수감자들에게 더 가혹하고 악질적인 경우가 많았다. 카포들은 수감자 중에서 뽑았다. 일단 카포가 되면 그들은 금세 나치대원이나 감시병들을 닮아갔다.

P48 나는 개인적인 신념을 가지고 수용소에 도착한 날 밤에 앞으로 절대로 ‘철조망에 몸을 던지는’ 짓은 하지 않겠다고 굳게 다짐했다. ‘철조망에 몸을 던진다’는 말은 고압 전류가 흐르는 철조망에 몸을 댄다는 뜻으로 당시 수용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행해지던 자살방법을 이야기하는 관용어구로 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P133 협상이란 상대방도 만족시키고 나도 만족하는 결과를 내기 위한 과정입니다. 내 것만 생각해서도, 상대의 것만 생각해서도 안 되죠.

P135 설명을 하면서 답답함에 여러번 울화가 났지만 이런 별것 아닌 일에도 아들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본인의 마음은 오죽하실까 하는 생각에 마음을 다스렸습니다.

P139 역사는 과거의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는 학문입니다.
그래서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 왜 그럴 수 밖에 없는지 상상해보고 그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는 일입니다.
우리가 어떤 사람과 대화가 잘 통하지 않고, 자꾸 갈등이 생긴다면 그 관계는 서로에 대한 몰이해에서 시작된 것일 수 있습니다.

P145 역사를 공부하는 많은 이유 중의 하나는 내 옆에 있는 나와 다른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 입니다.

P146 누구의 주장이 옳고 그른 가를 판단하는 일보다 선행되어야 할 일은 상대가 왜 그런 생각과 행동을 하게 되었는지를 헤아려 보는 것 아닐까요?
역사를 공부함으로써 서로의 시대를 상황을 입장을 알게 된다면 우리의 관점도 달라질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P104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것을 멈추면 그저 관성에 따라 선택하고 관성에 따라 살게 됩니다.
과거의 영광에 기대어, 자신의 성공에 도취되어 현재를 점검하지 않으면 잉카의 마지막 황제나 연개소문과 같은 실수를 하기 마련입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에게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P58 (1797년)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가 별로 없어 대통령을 왕처럼 생각하는 사람이 수두룩했던 시절, 더 오랫동안 권력을 쥘 수 있음에도 그 (조지 워싱턴)는 대통령직을 내려놓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명연설로 유명한 (재선 후 퇴임) 고별사에서 말합니다.
"정계를 떠나고자 하는 내 선택이 주의와 분별의 잣대에 비추어 바람직할 뿐 아니라 애국심의 잣대에 비추어서도 그릇되지 아니한 선택이라 믿는다."라고 말합니다.

초대 대통령이 남긴 선례, 그리고 그로부터 이어져 온 암묵적인 규칙을 깨는 일이 엄청난 부담이었을 것입니다.
이쯤되면 한 사람의 선택이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할 수 있을 겁니다.
*유일한 예외: 2차 세계대전 속에서 네번 당선된 플랭클린 루즈벨트 32대 대통령.
연임 제한은 그의 사후에 헌법에 추가됨

P59 우리는 역사를 통해 "잘 내려오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이를 통해 나의 존재, 나의 격을 지킬 수 있으니까요.

P79 정약용이 자식들에게 당부했던 말
"진실로 너희들에게 바라노니, 항상 심기를 화평하게 가져 중요한 자리에 있는 사람들과 다름없이 하라.
하늘의 이치는 돌고 도는 것이라서, 한번 쓰러졌다 하여 결코 일어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