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과학 -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한 뇌 과학
한나 크리츨로우 지음, 김성훈 옮김 / 브론스테인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발달중인 뇌>
P44 아이가 한창 짜증을 부릴때는 가끔 아이의 앞이마겉질과 언어 회로를 빨리 키워서 발달 중인 나머지 뇌 영역들과 빨리 연결시키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아진다. 이런 연결이 이루어지고 난 다음에야 아이가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의 필요를 좀 더 정중히 표현하는 법을 배우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P53 새로운 기술을 연습하거나, 무언가를 반복적으로 자각함에 따라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신경 연결이 강화되어 학습이 기억으로 응고 consolidation 된다. 그 기억을 되풀이해서 끄집어내면 그 기억은 뇌 속 전기신호의 기본설정 경로가 된다. 이렇게 해서 학습된 행동이 습관으로 자리잡는다. 사용되지 않는 신경 연결은 결국 가지치기를 통해 소실된다.

P57 성인이 되어 새로운 언어를 습득할 때는 원어민과 직접적인 시선접촉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텔레비젼을 통한 목표어(target language) 노출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이러한 차이를 만들어 내는 것은 동기화된 뇌파의 실시간 피드백 루프다.

P59 결핍된 환경에서 자라다 보면 사람들은 장기적 보상보다는 단기적 보상을 선택하는 쪽으로 기울게 된다.

P73 뇌도 훈련을 하면 근육처럼 실제로 부피가 늘어난다고 한다. 초기 학습과정 동안만 뇌가 커진다고 한다. 일단 기술을 습득하고 나면 회로를 새로 정리해서 핵심적인 신경로만 남기기 때문에 뇌의 부피가 다시 줄어든다. 이것은 뇌가 최대 효율로 신경의 역량을 증대할 수 있도록 스스로를 바꿔가는 가소성이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운명의 과학 -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한 뇌 과학
한나 크리츨로우 지음, 김성훈 옮김 / 브론스테인 / 2020년 4월
평점 :
품절


<자유의지냐 운명이냐>
P19 21세기 버전으로 새로 태어난 운명은 인간의 물리적 자아 깊숙한 곳, 뇌의 회로와 유전자 속에 묻혀 있다

P27 * 가소성 plasticity: 뇌가 평생에 걸쳐 생리학적 수준에서 변화할 수 있는 능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해력 공부 - 혼란한 세상에 맞설 내공
김종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78 재미는 곧 사라지는 안개와 같은 것이니, 본질에 접근하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남기지도 얻지도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링 외전 - 버스데이 밀리언셀러 클럽 83
스즈키 코지 지음, 김수영 옮김 / 황금가지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153 "가상공간 루프는 다양성을 잃고 야마무라 사다코라는 단일 유전자로 수렴되어 암화한 결과, 멸망하고 말았습니다. 생명계가 다양성을 잃으면 멸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왠지 현실을 반영하는 것 같아서 무섭네요" 레이코는 두 팔을 모아 손바닥으로 팔을 비볐다.
"그렇습니다. 현실과 가상공간은 서로를 반영하고 호응하고 있습니다."
"영향을 주고 받는 말이예요?" "그렇게 말할 수도 있군요."
"예를 들면 엄마와 태아의 관계같이?" "그렇죠, 예를 잘 들어주셨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해력 공부 - 혼란한 세상에 맞설 내공
김종원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08 내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과 그것을 타인에게 설명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 그 대상을 온전히 장악한 사람만이 누구나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깊이를 더한 설명을 할 수 있다.

P213 무언가를 발견해서 설명할 수 있게 되면, 당신은 그걸 아주 많은 사람에게 전할 수 있다.

P218 쓰지 않고 하루를 보내면 잠들기 전에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는다

P224 생각의 성장을 이끌지 못하는 독서는 그저 시간을 낭비하는 행위일 뿐이다.

P225 많은 정보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 필요한 정보를 분별할 능력을 가진 사람이 최후의 승자가 된다.

P235 독서를, 읽기를 위한 읽기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도입부는 작가의 정신 세계로 연결된 통로다. 통로에서 숨은 길을 찾아 작가의 세계에 접속하겠다는 강한 의지로 읽어야 한다.

P236 주인공의 시선으로 나의 삶을 바라보아야 비로소 우리는 자신에 대한 통찰을 할 수 있다.

P238 지금 하지 않는다는 것은, 영원히 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선언과도 같다. 지금 해야 할 정도로 소중하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뒤로 미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