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과학 -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한 뇌 과학
한나 크리츨로우 지음, 김성훈 옮김 / 브론스테인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77 운동이 새로운 신경망과 새로운 사고방식을 구축하는 메커니즘을 제공해준 셈이다. 몸을 열심히 움직임으로써 내 뇌를 다시 젊게 만들 수 있다는 믿음에서 위안을 찾고 있다. 운동은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리티솔 수치를 낮추어 기존의 신경망을 보호하는데 확실히 도움을 준다. 운동은 엔도르핀, 도파민, 세로토닌을 비롯한 뇌화학물질의 생산도 증가시켜 준다. 이런 것들은 기쁨, 보상, 동기부여 등의 느낌 및 정신건강개선과 관련된 중요한 신경전달 물질이다.

P79 "뇌를 보호하는 팁"
2.잠을 잘 자라. 잠이 뉴런 간의 연결을 응고시켜 새로운 지식을 저장 기억으로 바꿔주는 등 일련의 신경과정을 가능하게 한다는 증거가 쌓이고 있다.
4.식생활을 점검하라. 심혈관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 (동물성 지방, 가공식품, 과도한 설탕) 은 인지 건강에도 좋지 않다.
5. 공부를 계속하라. 평생학습은 뇌의 건강을 유지하는 훌륭한 전략이다.
6.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라. 자기 기억력이 나쁘다고 믿으면 기억력이 더 빨리 감퇴한다. 매일밤, 잠자리에 들기전에 감사의 일기를 쓰면 아침에 일어날때 더욱 동기가 부여된 기분을 느낄 수 있고, 그 전날에 경험했던 모험을 다시 시도하거나 새로운 모험을 추구하고 싶은 열망이 생긴다.

3 배고픈 뇌 hungry brain
P85 자기 입으로 들어가는 것을 어느 정도까지 자유롭고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있을까?
P88 식욕은 대체로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어 유전자 안에 새겨져 있으며 뇌회로도 이미 그런식으로 배선되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P97 음식이 귀하고 음식을 사냥하거나 채집하는 데 상당한 에너지가 들어가는 환경에서 이런 돌연변이 (사람의 칼로리 섭취를 낮추게 만드는 유전자 돌연변이) 를 갖고 태어난 사람은 번식의 기회를 얻기 전에 죽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P101 개인적인 식욕은 대체로 고유의 유전자 꾸러미를 물려주기 위해 오랜 세월 진화한 회로에 의해 프로그램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인간의 뇌는 고지방, 고당분 음식을 추구하도록 진화되어 왔다. 개인별로 이런 육구가 얼마나 강력할지는 그 사람이 타고난 유전자와 뇌의 배선에 달려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