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 편이라고 생각했는데 - 늘 섭섭하고 상처받는 당신을 위한 어른이의 심리학
최광현 지음 / 부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선배 부친상을 다녀 오면서 친구들끼리 우리 또래의 부모님과 우리들의 관계에 대한 얘기를 한 적이 있다.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아버지의 모습은 비슷했는 데, 자녀인 우리들의 모습은 비슷하지 않았다.
그것에 대한 이유? 아니면 적당한 변명거리가 될 수도 있을 책이었다. 또 한편으로 개인적으로 내 맘속의 응어리 하나를 발견하게 된 것 같기도 하다.

P256 장 피아제는 자신의 관점을 인지하게 되면 그 관점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점의 변화는 기존의 시각을 알아차리는 데서 시작되고, 자신을 향한 관점이 변화되면 자존감도 변화한다.

과거의 나를 보던 관점(“내면아이”, ex 스스로 비하하는 아이 등) 을 언어화해서 알아차리고, 내면아이에 대한 공감과 더불어 이 관점에 대한 변화를 꾀함으로써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좁고 편향되었던 시야를 넓히고, 내가 빠져있던 우물 밖으로 나갈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족의 두 얼굴 - 사랑하지만 상처도 주고받는 나와 가족의 심리 테라피
최광현 지음 / 부키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가족에게 상처를 주고 받는지와 해결에 대한 실마리를 다양한 사례와 쉬운 문장으로 일러 준다

특히나 가족 앞에서 감정통제가 잘 안 되는 이유로 “자아분화가 발달되지 않은 사람”의 특징으로 설명하는 부분과 어린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만들어진 자아분화를 성인이 된 지금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과 타인에 대한 공감이 필요하다는 말이 마음에 와 닿는다. (P286 & 289)

저자가 쓴 다른 책으로도 관심이 가고, 가족관계를 개선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 이야기 거꾸로 읽는 책 25
유시민 지음 / 푸른나무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P281 심판하지 않으면 진보도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문열 삼국지 1~10 세트 - 전10권
나관중 지음, 이문열 평역, 정문 그림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86 슬기로운 사람은 유언비어를 들어도 전하지 않는다. 진실을 확인할 길이 없고, 꾸며된 자나 퍼뜨린 자의 주관과 목적만 되풀이 강조되는 그런 종류의 뜬 소문을 다시 전하는 것은 잘해야 용기 없는 정의의 주관에 뇌동하는 것이 되고 자칫하면 악당을 쓰러뜨리기 위한 다른 악당의 계교를 도와주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문열 삼국지 1~10 세트 - 전10권
나관중 지음, 이문열 평역, 정문 그림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215 사람의 그릇이 크고 작음은 그 지위가 높고 귀해질 때에 가장 잘 드러나는 법이다.

P228 유비는 알고 있었다. 모든 종교 집단에서처럼 황건적도 출발은 베품의 원리에 바탕하였다. 처음 한동안은 주린 자에게 먹을 것을, 앓는 자에게 치유를, 절망하는 자에게 희망을 약속했고, 그 단계에서는 작은 베풂만으로 민중을 감동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일단 권력 추구의 집단으로 변질하면서 그 원리도 베품에서 다스림으로 바뀌자 사정은 변했다.
다스림이란 말에 포함된 요구에 비례해 그들을 따라가는 민중의 요구도 커지기 때문이다.

P229 이제 민중을 자기편으로 잡아두는 길은 물욕과 권력을 이용해 달래거나 공포로 묶어두는 따위 세속적인 길 밖에 남지 않는다. 이른바 신정국가 (神政)가 보편적으로 걷게 되는 길로 몰락의 징후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내부의 달램이나 위협에 익숙해지는 만큼 외부로부터 오는 유혹에 익숙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