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선진국과 이머징마켓 중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 – 폴 로머(1955 ~ )
P213 기술은 내생변수이고 경제주체가 통제할 수 있는 변수이며 이 기술을 잘 개발하면 계속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이 바로 내생적 성장이론이다. 이 기술진보 덕분에 선진국은 계속 선진국 자리를 지킬 수 있고 교육수준이 떨어지는 후진국은 기술개발이 안 되서 선진국을 따라 잡을 수 없다는 것이다.

직관따위 접어두고 냉정하게 판단하라
P247 그는 경제학자(투자자)라면 당연히 제기했어야 할 한 가지 질문, 즉 ‘포드 주식은 현재 저평가되어 있는가?’ 를 전혀 검토하지 않았다는 것에 개의치 않았다.
P250 직관적으로 머릿속에 그럴 듯한 정답이 떠오를 때는 반드시 이것을 의심해야 한다.
P259 주식투자도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도움이 된다. 인간은 중독되기 쉬운 동물이다. 술, 담배, 도박, 게임에 중독되기 쉽다. 그래서 술,담배,카지노,게임주들이 돈을 많이 번다.

미국의 패권에 도전하는 중국 - 페트로 달러(petro dollar) 의 올가미를 벗어나다
P218 미국은 달러를 찍어내고 수출해서 먹고 사는 나라다. 그냥 달러를 찍어서 개발도상국이 만든 냉장고, TV 등을 수입해서 쓴다. 미국은 에너지(석유)와 식량을 모두 달러로만 살 수 있게 만들었다. 쌀이나 석유를 사려면 달러를 들고 시카고 선물시장으로 가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수익률 변동폭을 최소화한 분산투자법 - 해리 마코위츠(1927 ~ )
포트폴리오 선택이론이란 무엇인가
P173 마코위츠는 위험(risk)을 수익률의 변동 폭으로 측정했다는 점이다. 기대수익률의 변동 폭이 크고 들쑥날쑥할수록 위험이 크다고 본것이다. 같은 기대수익률이라도 수익률의 변동 폭(위험)이 작다면 더 좋은 포트폴리오(분산투자)란 것이다.
P174 우산회사와 양산회사처럼 수익률의 상관관계가 전혀 반대이거나 따로 움직이는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수익률의 상관관계가 높은 주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보다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변동 폭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P175 버핏에게 있어서 위험이란 수익률의 변동폭이 아니라 원금을 손해볼 가능성이었다.

부자가 되려면 손실의 공포에서 벗어나라 - 대니엘 카너먼 (1934 ~ )
P193 사람들이 이익이 생겼을 때 얻는 행복보다 손실이 생겼을 때 더 큰 고통을 느끼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을 전문용어로 ‘손실회피성’ 이라고 부른다. 손실공포감때문에 적금과 예금만 하고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를 멀리하는 것이다.

부동산과 주식 거품, 미리 알고 피하는 방법은 없을까? – 로버트 실러 (1946 ~ )
P198 로버트 실러는 거품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인간의 무리짓기 행위가 있다고 보았다. 인간의 무리짓는 행동이 왜 투자에서 문제가 되는가? 무리짓는 행동이 주식시장이나 부동산 시장의 거품을 만들기 때문이다. 왜 인간은 무리지어 행동하는가?
첫째, 인간은 사회적 압력에 약하다. 그리고 다수의 의견은 틀리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무리지어서 행동하기 쉽다는 것이다.
둘째, 사람은 전문가의 말을 잘 듣는 경향이 강하다. 즉 귄위에 복종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의 권위에 복종하기 쉬운 성향 때문에 인간은 모두가 한 방향으로 무리지어서 달려가기 쉽다.
셋째, 정보 캐스케이드 효과 때문에 무리짓는 행동을 하기 쉽다. 사람들은 구체적인 정보나 분석을 하는 대신에 다른 사람의 선택을 따라 해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려 하기에 무리지어서 행동하기 쉽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자본주의를 구한 천재 경제학의 필승 주식 투자법 - 케인즈 (1883 ~ 1946)

소수의 투자자 편에 서라
P153 케인스는 자신의 주식 투자법의 중심 원칙은 일반 대중의 의견과 거꾸로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왜냐하면 모두가 투자 대상의 장점에 동의하면 불가피하게도 그 투자대상은 너무 비싸져 매력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집중투자하라
P154 자기가 잘 알거나 경영 방식을 믿을 수 있는 기업에 큰 돈을 집어넣는 것이라고 확신하게 되었다고 한다.

장기투자하라
P155 케인스는 인간이 멀리 있는 이득일 수록 더 높은 비율로 할인하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러한 인간의 본성때문에 단기 투자보다 장기투자가 유리하다고 케인스는 판단했다.

완두콩이 평균으로 회귀하는 힘에서 배우는 투자법
P166 골턴의 완두콩 연구는 유명하다. 평균보다 큰 완두콩과 평균보다 작은 완두콩을 재배하면 그 자손대에서는 큰 완두콩의 자손은 작은 완두콩이 나오고 작은 완두콩의 자손은 큰 완두콩이 나온다는 것을 알아냈다. 즉 완두콩이 평균적인 크기로 돌아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P169 기업의 실적은 평균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고 주가도 평균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기업의 이익이 일시적으로 악화되었을 때 근시안적 투자자들이 헐값에 던지는 주식을 매수해서 기업이익이 정상화되었을 때 파는 것이 좋은 투자전략이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지옥으로 가는 길은 선의로 포장되어 있다.
P63 왜 사람들은 노예의 길을 선택하는가
하이에크는 자신의 저서 ‘노예의 길’에서 대중은 노예로 가는 길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에리히 프롬의 ‘자유부터의 도피’의 핵심은 이렇다. 인간은 자유를 얻었지만 고독과 불안을 느낀다. 그래서 고독과 불안을 피하기 위해서 인간의 권위에 복종하게 된다.
P64 자유는 경쟁이 기본이고, 노력이 기본이고, 책임이 기본이기 때문이다.
P65 노에의 길을 걷지 않으려면 대중이 자유를 받아들일 수 있을 만큼 성숙해야 한다. 어린애처럼 요구만 할 게 아니라 스스로 노력하고 경쟁을 받아들이고 책임을 질 줄 아는 성숙함을 가져야 한다.

도시를 파괴하는 것은 폭격이 아니라 임대로 통제 정책이다.
P73 임대료 통제 정책의 부작용에 대한 경고
워렌 버핏은 물가상승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여 올릴 수 있는 가격 결정권을 가진 회사의 주식에만 투자하라고 했다.
P96 저자(‘도시의 승리 - 도시는 인간을 더 풍요롭고 더 행복하게 만들었나?’ , 에드워드 글레이저)는 즐거운 도시가 번성한다고 말하고 있다. 저자는 음식문화, 패션문화, 엔터테인트먼트 그리고 짝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사람을 즐겁게 만든다고 주장한다.
P98 집값이 비싼 지역일 수록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요소가 많다. 소득대비 집값이 높은 도시일수록 인구가 늘어나고 실질소득 증가율이 높게 나타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전략적 사고없이 무턱대고 열심히 하면 빨리 망한다
P48 투자나 사업은 시작하기도 전에 이미 승패가 정해져 있다고 ‘손자병법’은 말하고 있다. 손무는 "먼저 승리한 다음 싸워라 (승전후구전 勝戰後求戰)"라고 했다. 전쟁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따져보란 것이다.
"승리하는 군사는 먼저 이겨놓고 싸움을 하고, 패배하는 군사는 먼저 싸움을 걸어놓고 뒤에 이기려 든다. 싸움을 잘해 이기는 사람이란 이기기 쉬운 것을 이기는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승산이 없는 전쟁을 시작하는 것을 얼마나 어리석은 일인가. 이 이치를 깨닫는 데서 전략적 사고가 시작된다. 그러니 전략적 사고 없이, 이길 가능성도 없는 싸움을 선택하여 무조건 열심히 하면 망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이다. 주식 투자도 그렇고, 사업도 그렇고, 직업 선택도 그렇다.

재능과 노력보다 줄서기가 더욱 중요하다
P49 인생은 줄서기다! 노력과 재능보다 줄을 잘 서는 게 더 중요하다.

전략을 형성하는 5가지 경쟁요소
P51 돈을 벌려면 독점기업에 투자하라! 독점사업에 투자하라! 가장 가까이에 있는 독점 사업은 무엇인가? 바로 부동산이다. 그 위치에 그 땅은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P53 상품의 대체 위협이다. 기술변화가 심한 상품을 만드는 회사는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계속 연구 개발비를 지불해야 하며 언제 도태될지 모른다. 워런 버핏이 코카콜라 같은 음료회사에 투자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