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 - 전교 1등 의대생이 알려 주는 최고의 공부법과 최상의 자기관리법
임민찬 지음 / 카시오페아 / 2024년 1월
평점 :

회복 탄력성을 기르기 위해 초등 아이들에게 해줄 수 있는 세 가지.
1. 다양한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풀게 하라 : 영화 보기, 운동, 맛있는 음식 먹기 등 아이만의 방법으로 “즐겁게”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도와주기
2. 칭찬하기 : 공부이든 운동이든 아이가 자신감을 느낄 수 있는 확신의 칭찬하기. 단, 이 칭찬은 꼭 말로 표현해주고 스스로 인정받는다고 느낄 수 있도록 해주기
3. 감사일기 쓰기 : 감사일기는 일상을 돌아보고 사소한 것에 감사할 수 있는 긍정의 힘과 회복의 힘을 기르게 도와줌. 아이가 건강하게 실패를 극복할 수 있도록 부모님이 도와주실 것.
(임민찬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 발췌)
좋은 대학에 보낸 시간을 기록한 책은 무척 많다. 특히 의대는 언제나 등장하는 단골 주제.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이 현실화하면 이런 책이 더 강세를 보이게 될지 희소가치를 잃게 될지 모르겠지만 의대생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책은 늘 인기 육아서가 아닐까 싶다. 그래서일까.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를 만난 나의 첫인상은 “또 야?”에 가까웠던 것 같다. 하지만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이 조금 남달랐던 이유는 “잘난 의대생 자녀”를 둔 부모의 기록이 아니라, 그 “의대생”의 기록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동안 부모님이 기록한 잘난 아이의 시간들을 읽으며 종종 “아이는 어떤 마음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기에 그 속마음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
정말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 안에는 그 어떤 책보다 실질적인 공부법과 생활습관이 알차게 들어있었다. 꼭 의대를 목표로 하지 않더라도, 아이에게 도움이 될 엄청난 정보가 들어있으니 초등생 학부모라면 꼭 한번 만나보시면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부와 가까워지는 것보다 멀어지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로 시작된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를 읽으며 여러 번 느낀 것은, 그 무엇보다 회복 탄력성이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맞다. 어른보다 좁은 세상에 사는 아이들이기에, 어른 눈에는 사소해 보일 수 있는 실패가 더 크게 느껴질지 모르겠다. 그 순간을 잘 이기는 아이들이 결국 공부에서도 '실패'에 주저앉지 않고 다시 도전할 수 있다는 말이 인상 깊었다. 아마 작가님이 그런 마음으로 세상을 살았던 것은 부모의 역할이 컸으리라. 나 역시 우리 아이가 넘어져도 다시 일어나는 힘을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를 읽으며 가장 집중했던 부분은 과목별 공부법이었다. 아직 저학년이기에 체계적인 학습보다는, 그 과목에 대한 흥미를 느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작가님이 제시한 방향이 큰 도움이 되었다. 또 현재 의대를 다니고 있는 학생들의 '나이 초등 생활'을 인터뷰한 내용이 담겨있던 점도 인상 깊었다. 대부분의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이기에 그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상에서 좋은 점을 많이 얻고 싶었는데, 그들의 인터뷰에서 그런 생각들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
물론 의대가 성공의 지표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특히 요즘의 뉴스를 보며, 성적과 인성이 비례하지 않음도 느꼈다. 하지만 『어머님, 의대생은 초등 6년을 이렇게 보냅니다』의 임민찬 작가님의 매일매일 발전하고자 하는 태도는, 그 어떤 길을 걷더라도 큰 도움이 될 것이기에 이 책은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