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상고사 - 대한민국 교과서가 가르쳐주지 않는 우리 역사
신채호 지음, 김종성 옮김 / 시공사 / 2023년 11월
평점 :
흉노의 원래 이름은 '훈'인데 굳이 흉노로 쓰는 것은 중국인들이다. 고구려의 원래 이름은 '가우리'이고 '고구려'는 이두문자인데도 고구려를 굳이 구려나 고구려로 쓰는 것도 중국인들이다. 이런 것도 괘씸하거늘, 그것도 모자라서 원래 이름과 맞지도 않는 글자를 가져다가 강노니 하구려니 했던 것이다. 이런 것을 보면 왕망의 패망은 당연한 일이다. (p.216)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어떤 이들은 이 말이 단재 신채호 선생님의 말씀이라고 하고, 어떤 이들은 아니라고 한다. 무척 멋진 말이고 오래도록 나의 마음을 둥둥 울린 말이었듯, 그것이 누구의 말이던 간에 역사를 사랑한 한 지성인의 말이라고 생각한다. 또, 신채호 선생의 정신도 이와 다르지 않았음에 한 치의 의심이 없다.
나는 역사를 무척이나 좋아하고, 역사서를 읽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이지만, 부끄럽게도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는 이번에 처음 읽게 되었다. 솔직히 말하면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에 시공사에서 새로 출간된 『조선상고사』를 읽으며 나는 한 번도 이 책을 제대로 읽은 적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뤼순 감옥에서 투옥 중 '조선사'라는 이름으로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던 글을 모아 엮는 이 책은 단군에서부터 백제 부흥기까지를 다루고 있다. 비록 원문을 읽지는 못했지만, 연도나 명칭의 오류를 바로잡고, 현대어로 수정되어 읽기 좋은 상태로 출간된 『조선상고사』라도 읽을 수 있었음에 무척 감사한 마음이 든다.
솔직히 말해 『조선상고사』가 결코 읽기 쉬운 책은 아니었다. 분량도 분량이거니와 워낙에 방대한 자료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상고사』를 읽고 난 지금, 『조선상고사』야 말로 우리가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우선 『조선상고사』를 읽는 내내 단 몇 장에 끝났던 우리 고대사를 이렇게 방대하게 풀어냄에 놀랐다. 나름대로 역사를 좋아하고, 오래도록 붙잡고 있었다. 생각했는데도 이 책의 내용은 낯설었고, 어려웠으며 놀라웠다. 그러나 우리 고대사에 대해 읽고 나니, “왜 그렇게 되었을까?” 생각한 것들에 나도 모르게 답을 얻었다는 것을 느끼기도 했다. 다시금 역사의 놀라움을, 참 매력을 깨달았다고 할까.
또 『조선상고사』를 읽으며 역사에 대해, 또 신채호에 대해 배운 것들이 상당히 잘못된 것임을 깨닫기도 했다. 어디서부터 바로잡아야 할지도 감이 오지 않지만, 우리의 아이들은 타국으로 인해 왜곡된 역사를 배우지 않기를 바라게 되었다. 물론 그의 역사관이 모두 옳다고 말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그의 시대에는 존재했던 수많은 책이 지금은 없다. 우리가 그토록 오래도록 배워온 '삼국사기'만이 유일한 역사서이자 진리라고 인식되어 오지 않았나. 역사는 바라본 자의 시각에서의 기록이라는데, 우리는 너무 한 방향만을 보고, 그것을 너무 당연히 생각해봤던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신채호의 『조선상고사』는 결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역사 시간에 그렇게 배워왔던 “아와 비아의 투쟁”이라는 그의 역사관이 지니는 의미를 이제야 겨우 생각해보게 된다. 『조선상고사』를 읽으며 그간 중국에 의해 편집된 왜곡의 역사, 일본에 의해 잘려버린 우리의 역사가 어떻게 다시 구현되어야 하고, 다시 풀이되어야 하는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사실 교과서에도 없는 역사라니, 씁쓸한 마음이 든다. 내가 배운 역사, 우리 아이들이 배우고 있는 역사가 잘못된 시각으로 편집된 역사라고 생각하면 이것이 얼마나 심각한 일인가. 물론 교과서가 다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이제라도 바로 잡을 것은 바로잡고- 고쳐 가르칠 것은 고칠 수 있도록 모두가 열린 시각이 되어야 함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