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있는 새벽 4시의 힘 - 내 안의 잠든 가능성을 깨우는 시간
김세희(세빛희) 지음 / 더퀘스트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표는 명확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너무 큰 목표보다는 실현 가능한 목표면 좋다. 목표는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로 세분화하는 것을 추천한다. 즉 최종적으로 이루고 싶은 목표를 정하고 이를 1년 단위, 월 단위, 일 단위로 점점 세분화한다. 중요한 것은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오늘 당장 새벽 시간에 무엇을 할 수 있을까다. 그게 정해져야 바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p.107)



나는 아침형 인간이다. 원래 아침형이었던 것인지는 모르겠고, '먹고사는 일'과 '좋아하는 일'을 다 하기 위해 노력하다 보니 나도 모르는 사이에 아침형 인간이 되어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회사는 가야 하고 읽고 싶은 책은 많고. 내가 쪼갤 수 있었던 시간은 수면뿐이었던 것. 아무튼, 그렇게 새벽에 깨어 책을 읽다 보니 느낀 것은 새벽 시간의 집중력은 다른 시간과 비교할 수 없다는 것, 하루가 더 가뿐해진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시간이 꽤 여유로운 지금도 나는 새벽을 즐긴다.


나는 그저 새벽 시간을 좋아하는 거라면, 『혼자 있는 새벽 4시의 힘』을 쓴 세빛희 작가는 새벽을 알차게 이용하는 '고수'라고 할 수 있겠다. (사실 미라클모닝이라는 사람은 이런 분들이 쓸 수 있다. 나처럼 그냥 새벽을 좋아하기만 하면 기적을 만들어낼 수 없기 때문) 이 책이 궁금했던 것도 그것. 이미 10년은 하는 새벽 기상을 어떻게 하면 조금 더 의미 있게, 조금 더 멋지게 쓸 수 있을지 배우고 싶었다. 


 『혼자 있는 새벽 4시의 힘』은 작가가 왜 새벽에 일어나게 되었는지부터 그 시간에 무엇을 했는지로 포문을 연다. 또 그 시간을 알차게 보는 방법과 목표를 설정하는 법, 그 시간이 수익으로 바뀌는 과정을 모두 담고 있다. 나에게 닿은 부분은 '점검'이었다. 나는 이미 새벽 기상을 하던 사람이지만 그 시간을 좋아하기만 했을 뿐, 그 시간으로 나아갈 생각은 해보지 않았던 것 같다. 늘 루틴대로 움직이기는 하지만 나 스스로를 점검해볼 생각도 하지 않았고. 그래서 『혼자 있는 새벽 4시의 힘』을 읽으며 나를 구체화해보자는 결심을 했다. 일하듯 나를 계획하고 점검해 하다 보면 조금 더 나은 미래를 만날 수 있지 않을까. 


나처럼 이미 새벽 기상을 하지만 조금 더 알차게 쓰고 싶은 사람이거나, 아직은 새벽 기상을 하지 않지만, 무엇인가를 위해 목표하고 있다면 『혼자 있는 새벽 4시의 힘』을 만나보면 좋겠다. 시간을 알차게, 목표를 명확하게 만드는 여러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 물론 『혼자 있는 새벽 4시의 힘』이 정답이라고 할 수도 없지만, 원래 타인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나의 깨달음을 찾는 것이 교훈이지 않나. 이 책을 재료 삼아 자신만의 '미라클'을 만들어내시라고 말하고 싶다. 작가의 말처럼, 무엇이든 도전해보고 나에게 맞지 않고 싶으면 포기해도 된다. 해보지 않고 포기한 것은 미련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