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는가 - 삶의 의미와 행복을 찾아가는 인생 수업
장재형 지음 / 미디어숲 / 2023년 4월
평점 :

삶의 보석을 발견하는 창조적인 삶을 살려면 일상과 자연을 아름다운 눈으로 바라봐야 한다. 네루다가 마리오에게 메타포를 통해 사랑과 삶의 언어를 가르쳐주었듯이 삶을 살아가면서 누구나 온 세상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시인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세상이 다 무엇인가의 메타포이기 때문이다. (p.60)
『마흔에 읽는 니체』를 읽던 즈음, 나는 몸도 아프고 마음도 아팠다. 그땐 마흔이란 단어가 멀게 느껴졌는데도 눈물이 좀 났었다. 그래서 정재형 작가의 신간이 나온다는 소식에 기대감이 들었다. 이번 책은 또 나에게 어떤 생각을 선물할까, 하는 기대감이랄까. 그런 기대를 안고 읽은 신간 도서,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한층 더 나를 살피고, 나를 들여다보게 하는 책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는 제목처럼 '나'라는 존재를 들여다보는 것에 초점을 둔다. '나 자신에게 이르는 길', '우리는 사람으로 산다.', '단 한 번뿐인 삶, 욕망하라', '살아 있음이 곧 기적이다.', '내 삶의 의미를 묻다', '행복해지고 싶을 땐'이라는 주제답게 나를 만나고, 내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들여다보며, 내 삶을 더 의미 있고 행복한 방향으로 이끌어가도록 도와주는 책이랄까.
더욱이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는 고전문학을 소재로 이야기를 이어가기 때문에 한층 깊은 공감할 수 있었다. 그 책을 읽었던 나의 감상과 작가의 안내가 더불어져 사색에 도달할 수 있었다고 말하면 되려나. 특히 '삶의 길을 걸으면 누구나 시인이 된다.'라는 말을 읽으며 노래가, 문학이, 그림이 우리 삶 어느 추억과 만나 나만의 이야기로 남는다는 것을 되새겼다.
『나는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를 읽으며 가장 많이 느끼고 생각한 부분은 '한 번뿐인 삶, 욕망하라'니까 담긴 내용이었다. 그중 특히나 앙드레 지드의 '지상의 양식'을 바탕으로 풀어간 '지금 당장 행복해지는 길'. 솔직히 말하자면 '지상의 양식'을 맛있게 읽지 못했던 터라 이 책을 통해 재해석하는 기분이기도 했는데, '열정적으로 나아가 가슴 뛰는 삶을 살라'라는 문장이 마음을 둥둥 울렸다. 나이를 먹을수록 점점 열정이라는 단어와 멀어지게 되는데, 현재 이순간에 마음을 기울이고, 내가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잊지 않고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여러 번 하게 했다.
그 외에도 '마지막 잎새'를 통해 이야기하는 희망의 두 얼굴, '인간의 대지'를 통해 느끼는 살아가는 자체의 감사함을 마음에 꾹꾹 눌러 담으며, 내가 얼마나 행복한 사람인지를 새삼 깨닫기도 했다.
오늘, 이 책에 대한 감상은 책의 한 구절로 대신하고자 한다. '지금, 이 순간'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이 문장이면 나의 감상을 대신에 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행복'을 찾아 길을 떠난 이들이 답을 얻게 되는 것은 어쩌면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기 때문이 아닐까. 원효가 해골 물에서 느낀 것처럼, 어쩌면 이미 모든 것은 우리 안에 있는지도 모르겠다.
해답은 바로 '현재 이순간'에 있다. 행복은 지금, 이 순간이 주는 선물이다.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지속 가능한 행복감이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행복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이 순간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p.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