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대를 위한 첫 아바타 경제 수업 - 미래를 준비하는 청소년들이 알아야 할 지식 교양서
신진상 지음 / 체인지업 / 2023년 3월
평점 :

결국, 통은 가상현실의 메타버스 같아요. 정말 기술이 발전해서 현실과 가상현실이 구분이 안 된다면 저는 퍼트넘의 뇌 가설이 옳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통 안에서는 그것이 통 안인지 통 바깥인지 절대 알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러니까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 현실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을 부정하기도 어려울 것 같고, 그것을 증명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메타버스는 결국 우리가 만날 미래야. 그 미래를 피할 수 없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정답은 두 가지. 일단 그 미래를 예측하려고 노력해야 해. 그다음에는 그 예측한 미래가 올 경우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생각해야지. (p.189~191 발췌)
낯설게만 느껴졌던 메타버스나 NFT가 이제는 너무 흔하게 들을 수 있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몇 년 사이 이 단어들은 매우 자주, 다양하게 거론되는 단어가 되어버린 것. 여기저기서 쉬이 만나게 되는 단어지만, 우리는 그것들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메타버스가 미래의 직업을 좌우하고, 미래의 생활이나 경제가치를 흔들게 될 것이라는데, 우리는 그것에 준비된 사람인가. 또 그 시간을 직접 겪어가야 할 10대들은 이것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10대를 위한 첫 아바타 경제 수업>은 메타버스와 NFT 관련 베스트셀러의 저자로 투자전문가다. 한때는 대치동 논술 강사였던 그는 국영수에만 매달려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것을 보지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솔직히 처음에는 작가님의 포부가 너무 원대한 거 아닐까 하며 이 책을 펼쳤지만, 책을 읽다 보니 정말 우리 아이들의 닥쳐온 미래, 살아내야 할 미래라는 생각이 들어 실질적인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화폐의 역사, SF소설 속의 미래, 인공지능, 메타버스, NFT 등 총 5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주제별로 작가의 생각 방향, 학생들과의 대화로 내용이 전개된다. 처음에는 아이들이 주고받는 대화체의 내용이 쉬이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는데, 읽다 보니 논술 교육에도 도움을 줄 것 같고 대화를 이어가는 방식 등도 생각을 전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았다. 개인적으로는 작가가 생각의 물꼬를 터주기 위해 정리해주신 내용이 꽤 인상 깊었는데, 논술 수업에서 그대로 주제로 사용해도 될 만큼 생각을 잘 터주는 느낌이 들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부분이 꽤 인상적이었는데, 인공지능을 두고 내가 가지고 있던 양립의 생각들을 두고 학생들이 격렬한 토론을 펼쳤기에 한마디도 그냥 읽히는 게 없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우리의 장래가 어두울지 밝을지, 혹은 둘 다일지 확언할 수 없지만 두 아이의 생각 모두가 쉬이 넘길 부분이 아니었고, 많은 아이가 함께 생각해볼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 메타버스와 NFT에 대한 부분 역시 기초지식이 많지 않더라도 다양한 처지에서 생각을 엿볼 수 있어 정보습득으로도 생각 확장으로도 좋은 예시가 되어줄 것 같았다.
문득 이 책을 읽으며 아이들이 만나게 될 그리 머지않은 미래가 이미 이렇게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어 다행이라는 생각과 함께, 준비된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의 격차가 무서울 만큼 크겠다는 느낌이 들었다.
10여 년 전에만 해도 스마트폰이 신기한 물건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꼬마들도 가지고 있는 '필수품'이 돼버렸듯, 메타버스나 NFT도 당연한 미래로 다가오게 될 텐데, 미리 준비하지 않는다면, 멈춰있어도 멈춘 게 아닌 뒤처진 사람이 되고 만다. 결국, 이 책의 내용은 아이에게 경쟁력이 될 것이고, 미래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