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여기에 없었다
안드레아 바츠 지음, 이나경 옮김 / 모모 / 2022년 11월
평점 :

거절할까. 싫다고 하고 그날 말고 다음 날 출발하자고 할까 잠시 생각했다. 하지만 거절할 수 없다는 걸 알고 있었다. 놀라운 일들은 탄광 갱도 같았고 나는 그곳에 막 발을 들여놓은 참이었다. 싸늘한 어둠 속으로 내려가는 것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었다. (p.189)
'우리는 여기에 없었다'. 제목을 여러 번에 걸쳐 읽었으나 쉬이 감이 오지 않았다. '거기'가 아니라 '여기'라고 한 이유는 뭘지, 또 여기라면 왜 '없다'가 아니라 '없었다'인지 의구심이 들었기 때문이다. 표정이 없는 두 여자, 그리고 '우린 오늘 밤 시체를 묻고 여길 떠날 거야'라는 띠지에서부터 섬뜩함이 느껴지는 이 책은 이미 출간 즉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마리끌레르 올해의 책, 넷플릭스 영상화 확정까지 이미 '핫'한 상태. 긴긴 겨울밤, 심심함에 집어 든 이 책은 단숨에 지루함을 꿀꺽 삼키고 나의 잠까지 싹 빼앗아 달아났다.
처음에는 이야기의 흐름을 놓지 않기 위해 바빴다. 이야기가 종횡무진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왜 이렇게 흘러가지?”라는 생각이 든 장면을 몇 번이나 만나야 했다. 그러나 책을 다 읽고 덮은 후에야 왜 이야기가 이렇게 흘러야 했는지 알게 되었고, 이 이야기가 얼마나 숨 막히도록 짜인 이야기임을 이해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두 여자의 상황 해결방법이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친구라면 저렇게 하는 게 맞아? 제대로 된 방향을 제시해야 하는 거 아니야? 하고 말이다. 그러나 이야기에 빠져들면서 나의 회로도 기능을 상실했는지 '윤리적 범위'의 사고가 아닌, 그들에게 풍덩 빠져 생각하게 되었다. 그렇게 심취하고 나니 처음에는 크리스틴의 가스라이팅이 먼저 눈에 들어왔다. 사람을 심리적으로 교묘하게 이용하고, 그것을 얼마나 나쁜 방향으로까지 이끌어갈 수 있는지 놀랍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이야기의 마지막을 만난 후에는 과연 에밀리와 크리스틴 중 누가 진짜 나빴고, 누가 진짜 친구를 친구로 바라보지 않은 것인지 혼란스러웠다. 그때야 작가가 이 이야기를 얼마나 치밀하게 구성했는지, 심리적 흐름이나 변화에 대해 얼마나 심혈을 기울여 이 이야기를 만들었는지에 놀라기도 했다.
늦은 밤, 이 책을 손에 든 채 엄청난 고민과 생각과 놀라움 등 복잡한 마음에 휩싸였다. 이 이야기를 한 줄로 정의하자면 '무서운 여자들의 속고, 속이고, 숨기고, 파헤치는 엄청난 심리스릴러'라고 말할 수 있겠고, 한 단어로 정의하자면 '소~오~름'이라고 표현할 수 있겠다. 이 책을 읽고 나면 '공포'와 '섬뜩함'이 어떻게 다른 단어인지 정확히 알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