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결단력 - 미루고 후회하는 사이클을 끊어내는 5단계 기술
피터 홀린스 지음, 한원희 옮김 / 좋은생각 / 2022년 2월
평점 :
절판

인간이라면 누구나 덜 힘든 길로 가길 원하고 기회만 있다면 지름길로 빠지려 한다. 문제는 무의식적으로 쉬운 길을 택하면 택할수록 제때 벗어나기 힘들어진다는 점이다. (p.26)
돌아보면 나는 지금이 뭔가를 가장 많이 결정하고 변화하는 상태인 것 같다. 대학교에 갈 때도 취업을 할 때도 결혼을 할 때도 아닌 지금이라니 뭔가 이상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순간마다 고민하고 사는 사람들이 사실은 더 많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자신의 길을 걷는 것에 나이가 중요한가. 작은 습관을 바꾸는 것부터 인생을 바꾸는 것까지, 자기 결단력이 필요하지 않은 일은 없다. 그래서 이 책은 더 의미를 지니지 않을까.
세상에는 지금까지 생각지도 않았던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하고, 방향을 미세하게만 틀면 강인함으로 이어지는 선택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변명의 거의 거짓이라는 사실을 인지해야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p.104)
사실 수백 권의 자기계발서를 읽었다. 읽을 때마다 늘 생각하지만, 나에게 아무것도 남기지 못하면 의미가 없다. 어떤 자기계발서는 늘 책상 위에 두고 읽게 되고, 어떤 것은 읽음과 동시에 폐기순서를 밟는다. 이 책은 어떻냐고? 한동안 내 책상 위에서 플래너와 함께하지 싶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요점정리가 명확하다. 목차부터 명확하고 내용도 분명하다. 워낙 명확하다보니 재독 시 찾아 읽기가 좋다. 주제와 내용이 분명하고 문장이 간결하여 읽는 이가 전혀 헷갈리지 않고 원하는 것에 대해 빠르게 습득하는 독서가 가능하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자기계발서로서의 의의는 다했다고 말할 수 있지만 탄탄한 이론까지 뒷받침되어 신뢰를 준다. 특히 저자가 제시하는 다양한 연습방법은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이 느껴져 책을 읽는 내내 메모할 일이 많았다.
집중력도 근육과 다를 바 없다. 사용하면 할수록 강해진다. (p.197)
자기 결단이란 결국 내가 감정을 통제하느냐, 감정이 나를 통제하게 내버려 두느냐의 문제이다. (p.240)
개인적으로 각 장의 마지막에 제시된 tip이 생각 정리에 꽤 도움을 주었다. 아무리 좋은 글도 내가 소화하지 못하면 아무 의미가 없고, 아무리 좋은 내용도 계속 나열만 하면 잔소리와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책은 끊임없이 길이 어디에 있을까를 물어준다. 길이 여기잖아, 하고 알려주는 내비게이션이 아니라 “네가 생각하는 길은 어디야, 이렇게 제시하면 네 길이 보일까?” 하고 물어준다. 여느 자기계발서처럼 대답을 강요하지 않아 오히려 더 편안히 느껴졌다. “부끄러우면 말하지 않아도 돼. 스스로 알고만 있어도 돼”라고 이해해주는 느낌이랄까.
우리가 만나는 결정의 순간마다 올바른 선택을 하지는 못할 것이다. 좋아서 박수를 치는 날도 있고 이불을 발로 차는 날도 있을 테다. 하지만 이 책은 그 선택의 순간들을 아주 작게 잘라준다. 한두 개쯤 실패해도 “낮은 실패율”을 유지하게 해준다. 그 대신 다음 선택은 조금 더 신중하라고 충고한다.
오래도록 고민하던 일을 이 책을 읽는 중에 매듭지었다. 물론 이 책이 절대적 영향을 끼쳤다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영향을 준 것은 확실하다. 이 책이 내게 준 분명한 한가지는, 나를 작은 단위로 설계하여 더 촘촘히 계획하라는 것이 아닐까. 또 설사 계획이 틀어지더라도 그리 높은 비율이 아니니 좌절하지 않아도 된다는 응원도 함께 말이다.
우리가 많이 쓰는 말 중 이런 말이 있다. “해도 후회하고, 안 해도 후회한다. 그러니 하라”. 그 말을 늘 마음에 두고 살았으나 실천은 어려웠다. 하지만 오늘 이 책이 그 말에 한마디를 더한다. “실패하면 다시 하면 돼.”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