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블리츠스케일링 - 단숨에 ,거침없이 시장을 제패한 거대 기업들의 비밀
리드 호프먼.크리스 예 지음, 이영래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4월
평점 :
경쟁사에 비해 너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서 꺼림직한가? 불안해마라. 그대로 나아가라. 당신이
하고 있는 그것이 바로 블리츠스케일링이다. (p. 47)

블리츠스케일링. 급작스럽고 전면적인 활동을 뜻하는 말이다. 난 이 책의 제목을 읽자마자 딱 한 사람이 머리에 떠올랐다. 성향
자체가 블리츠인 사람. 추진력이 뛰어나고, 목표한 바를 굉장히
맹렬하게 도전하는 성향의 사람이다보니, 옆에서 챙겨야 할 일거리가 많고, 신경 써야 할 소소한 것들이 많은 편이지만 그 시너지효과는 매우 분명하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 사람이 가지지 못한 디테일함을 가진 덕분에 내가 챙긴 사소한 것들이, 챙김의 역량에 비해 크게 발휘될 때가 많아 나는 종종 과대평가를 받는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성향이나 업무 방식을 조금 더 이해하게 되었고, 내 장점이라면 장점일 디테일이
왜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조금 더 깨닫게 되었다. 아마 이 책을 읽은 것이 내게는
꽤 큰 역할을 하리라 생각되고, 나아가 내가 더 발전적 일을 할 때에 더욱 많은 기회를 주리라 싶어졌다.
최적화보다 선점이 먼저라는 말. 이게 딱 그와 나의 성향을 표현하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무엇이든 “최적화”, “최선의” 것들을 좋아하는 진보적 안전주의자인데, 그는 “선점”, “앞서서”, ‘나아가서” 등의 단어가 어울리는 사람이다. 결과야 어찌되었든 각 고지를 선점한 상사가 앞을 향해 나아갈 때, 뒤를
따르는 내가 최적화를 하고 있었던 것이다.
-
단점이라면 실패에 따른 비용이 크다는 것이다. 그것은 신중한 태도로 사업을 진전시키고 성공을 확신할 만한 근거를 발견할 때까지 기다려서 헌신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 하지만 이런 비용은 고부가가치를 일으키는 승자독식 시장에서 최초 스케일러는 우위를 점했을 때
얻게 될 혜택이 비하면 그야말로 새 발의 피다. (P. 210)
-
대기업들이 갖는 또 다른 이점은 여러 번 반복해서
블리츠스케일링을 하는 능력이다. 브리츠스케일링은 위험한 전략이며 처음 시도했을 때 성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 (P. 369)
물론 모든 업무를 블리츠한 상태로 진행해서는 안 된다. 그렇게 될 리도 없고. 하지만 블리츠스케일링처럼 증폭이 필요한 시점,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시점에는 매우 큰 증폭제가 되리라 생각한다. 요즈음처럼 위기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면 말이다. 또 블리츠스케일링이 없이는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사실상 생각하지 않아야 한다는 느낌도 들었고. 다가올 기회는 매우 좁고, 빨리 닫힌다는 빌게이츠의 말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