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배우는 의학의 역사 한빛비즈 교양툰 4
장 노엘 파비아니 지음, 필리프 베르코비치 그림, 김모 옮김, 조한나 감수 / 한빛비즈 / 201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질병은 세포의 변화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밝혔다그러나 병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최고 권위자인 그도 생명체의 형질이 어떻게 전달되는지는 이해하지 못했다. (p.149)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내가 가장 읽지 않는 분야의 책은 의학이다두 번째로는 주식 등의 부자 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 (정말 그렇게 해서 다 부자가 된다면 세상에 가난한 사람이 어디 있겠으며그 저자는 왜 부자 되어 편히 살지 않고 책을 쓰는가하는 생각그러나 한빛비즈를 만나며 나는 새로운 분야를 갱신하고 있다인문학을 재미있게 필쳐줌은 당연하고심지어 의학까지 재미있게 엮어주다니어쩌면 한빛비즈 편집자님은 도깨비방망이를 들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한빛비즈에서 출시된 교양툰인 의학의 역사는 (개인적으로 만화로 배우는 곤충의 진화”, “만화로 배우는 성차별의 역사를 읽은 후 세 번째 읽는 교양툰이다.) 내 생각에 지금까지 읽었던 만화로 보는 시리즈 중에서 가장 학습적이고 전문적인 느낌이 들었다사실 그래서 조금 어렵게 느껴진 부분도 있었으나아무래도 만화다보니 일반 도서보다는 쉽게 읽혀지고 어려운 부분도 그림으로 다시 확인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사실 이 책은 성인들에게도 유용하겠지만학생들에게도 매우 도움이 되리라는 생각이 든다.







 

사실 고대의 의사의학 등을 이야기하면 히포크라테스말고는 쉬이 떠올려지는 사람이 없었고현대의 의사도 이국종 교수님 등 유명세를 탄 분이 아니면 거의 기억하지 못할 만큼 관심이 없던 분야인데 이젠 에밀 폰 베링이라는 분이 항체를 발견한 것을 알게 되었고내가 먹는 우유의 이름이 미생물학의 대가 이름이었음을유명한 유산균 음료 이름도 그의 제자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것도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특히 흥미를 가지고 본 분야는 법의학 관련된 분야로평소 깊게 생각해보지 않은 이야기들도 다시 짚어볼 수 있었고 생각하게 되었다. (범죄심리 도서는 좋아하다 보니)

 

뒷표지의 서민교수님 말이 문득 이해가 된다의학의 과거를 알아야 더 나은 의학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다는 말 말이다물론 나처럼 의학에 대한 이해가 짧은 사람보다는 뭔가 더 많이 아는 이들에게 더 도움되는 책이겠지만나에게도 새로운 세상에 대한 문을 연 책이기도 했다.






 

 

 

#책속구절 #책속의한줄 #책스타그램 #책으로소통해요 #북스타그램 #육아 #육아소통 #책읽는아이 #책으로크는아이 #찹쌀도서관 #딸스타그램 #책으로노는아이 #책속은놀이터 #찹쌀이네도서관 #책읽는엄마곰 #책읽는아기곰 #책읽는엄마곰책읽는아기곰 #의학의역사 #만화로배우는의학의역사 #교양툰 #한빛비즈 #장노엘파비아니 #필리프베르코비치 #김모 #조한나 #서민 #의학의유쾌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