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는 세계의 온갖 인종들이 다 모인 곳이었다.  

... 사람들은 모두 이리저리 막 몰고 다니는 자동차에 치이지 않기 위해서 앞을 다투어 뛰어다녔다. 사람들이 그렇게 긴장 상태에서 살아야 하는 것이, 자동차는 자동차대로 사정없이 달리고 항구의 배들도 그리고 큰 건물의 지붕 위에 달린 선전물들과 사람들의 마음까지 서두르게 하기 때문이었다. 말하자면 사람들이 정신을 차리지 않고 집중하지 않으면 큰 일 나는 세상 같았다. 행동이 민첩하고 강한 자가 생존경쟁에서 승자가 되고, 그렇지 못하고 느릿느릿하며 약한 자는 패자가 되는 그저 난폭하고 매정한 인간들이 사는 곳이었다. 

그러니 사람들은 울 시간도 웃을 시간도 없을 정도였다.(146~147쪽)



... 수백 명의 품팔이꾼들은 손수레를 끌면서 자기네끼리 방향이나 속력을 서로 말하기 위해 이상스러운 소리들을 지르며 달렸다. 짐꾼들은 목적지에 도달하면 품삯을 받지만 그 돈으로는 담배 한 갑도 살까말까 하는 박한 노임이었다. 돈이 적다고 짐 주인에게 몇 푼 더 달라고 손을 내밀다가는 어떤 때는 뺨을 한 대 얻어맞는 수도 있고 때로는 들고 있던 지팡이로 정수리를 얻어맞는 일도 간혹 있었다.그러면 이 불쌍한 일꾼들은 아무 말도 못 하고 돌아서서 도망쳐버리곤 했다. 이 일꾼들은 벌써 직업적으로 귀가 밝아서 어디서 짐꾼을 부르는 소리가 나면 얼른 알아듣고 손수레를 끌고 좋아서 누가 부르는 쪽으로 달려갔다. 일꾼들은 대부분 상의를 벗고 짐을 끌기 때문에 오늘같이 비가 오는 날에는 몸에서 빗물이 줄줄 흘러내렸다.(147~148쪽)








1910년 8월 28일,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가였던 데라우치(데라우치 마사다케. 1852~1919. 1910년 당시 초대 조선 총독)에게는 대단히 중대한 문서가 전달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랜 옛날부터 우리 고국을 이 무한한 만주 벌판과 분리시키고 있는 국경의 강은 막을 길 없이

흐르고 흘렀다.  (중략)  소리없이 압록강은 흘렀다. (186쪽)




언젠가 우체국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나는 알지 못하는 집 앞에 섰다.

그 집 정원에는 한 포기 꽈리가 서 있었고 그 열매는 햇빛에 빛났다. 우리 집 뒷마당에서 그처럼 많이 봤고, 또 어릴 때 즐겨 갖고 놀았던 이 열매를 내가 얼마나 좋아하였던지. (217~218쪽)

수암- 이것은 나와 함께 자라난 내 사촌 형의 이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전헤린

1934년 1월 1일 나서 

1965년 1월 10일 가다


하늘이주신시간에

시간을보태고

사랑에또사랑을보탠

다음눈감아여기잠든이

전헤린여사여

김남조 선생이 짓고

박중근 쓰다


천구백육십육년

구월이십구일

중추절에 은사의 영전에 바침

성균관대학교 독문과 동창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연)일 정씨 가족묘(迎日鄭氏家族墓) 

여기 이 비석을 세워 기리는 분은 우리 동기를 낳아 길러주신 어른이시며

그 은혜 높고 커서 하늘을 우러러 헤아릴 길 없고 해와 달을 더불어 길이 잊을 수 없도다.

어르신께서는 서기 1891년 8월 16일(음력) 함경남도 영흥군 순녕면 갈전리 시조 형양공의 

제27대손 명자 해자 쓰는 분의 세째 아드님으로 태어나시었다.

1919년 한양조씨 충성 여사와 혼인하여 슬하에 두화, 기화, 규화, 양화 4남을 두시고 

일생을 유학의 가르침대로 곧고 바르게 사시었다. 

1951년 어느 날 민족분단의 와중에서 불운하게 서거하시니 향년 60세, 그 날에 산천초목도

목이메어 울었다 한다. 

저 창공을 날으는 새여! 맴을 도는 무심한 구름이여! 예사로 지나지 말지어다.

오늘 우리 후손들은 어른께서 애석하게 타계하신 그 날의 아픔과 한을 달래고 깨치신 뜻 길이

전하고자 작은 정성 돌에 새겨 여기에 세운다.

1990년 4월 5일 

아들 두화, 기화, 규화, 양화

손자 홍양, 창양, 동양, 문교


정두화 1922. 3. 24 생(음) 2011. 10. 29 졸

한영숙 1927.12.11 생(음) 2010.  3. 24 졸

정기화 1925. 12. 5 생 2011. 5. 29 졸

정규화 1933. 7. 9 생(음) 2014. 2. 23 졸

        

첨언) 비석의 국한문 혼용 표기를 한글로 옮겼으며, 최선을 다했으나 틀린 글자가 없거나 있을 수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매산리(매자리길) 58-1 (재단)한남공원묘원(묘지번호: 4지구 4-178)

 

좌석버스 1005 : 서울 강남역 10번 출구에서 100m 직진 올리브영 조금 더 지나서 있는 건널목을 건너되, 다 건너지 말고 왼편을 보면 도로와 도로 중간에 있는 버스정류장(맞은편에 흥국빌딩 간판이 건물 맨 위에 보임) - 1005번 타고 가다가 대성아파트 안내방송 나오면 짐 챙기고 매산 2통에서 하차(여기가 매산 삼거리임) - 10m 앞에 택시 승강장 있음(묘지까지 5분 거리)

 

좌석버스 1117 : 강변역(동서울터미널)이나 잠실역에서 출발 매산 2통(=매산 삼거리)

에서 하차 후 택시

 

지하철 강남역 : 신분당선 타고 판교역 가서 경강선 경기 광주역 하차 후 택시(1만원 거리)

 

비석에 새겨진 묘지번호 없음. 사무실 바로 뒤로 조금만 올라가면 됨(급경사 주의, 운동화 필수, 운동신경 확보). 사무실 직원이 묘지까지 방문객을 친절히 모셔다 드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