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양이 언어학 - 우리가 미처 몰랐던 고양이의 속마음
주잔네 쇠츠 지음, 강영옥 옮김 / 책세상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고양이 언어학
우리가 미처 몰랐던 고양이의 속마음
주잔네 쇠츠 지음
집에 고양이 한 마리를 키운다. 5살에 들어가는 암코양이 기랑이(용기와 사랑의 줄임).
이전에도 고양이를 길렀지만 가정묘를 입양해서 잠깐 키웠다면 기랑이는 부모가 모두 길냥이 출신이며 문재인 대통령도 기르는 대표적인 젖소 무늬 코리안 쇼트헤어 고양이이다. 겁이 많아 소리에 매우 예민해서 딸랑거리는 소리나는 장난감은 좋아하지 않으며 소리가 나지 않는 길 줄이나 작은 구슬을 좋아하는데 작은 구슬을 굴리며 놀다가 구슬이 사라져 보이지 않으며 매우 애타게 야옹야옹 울기도 한다.
나와 있는 시간이 제일 많아 나를 제일 좋아해서 내가 다니는 동선에 늘 함께 한다.
자주 놀라게 하는 남편을 싫어하며 남편이 주는 간식은 받아먹지 않고 외면하며 안아주면 발로 남편을 턱을 밀면서 강하게 저항한다.
주인을 사랑해서 꽃을 선물로 갖다 주는 고양이, 꾹꾹이를 해주는 고양이도 있다지만 울 고양이는 그런 걸 해준적은 없고 어릴 때는 사람 손가락을 빨며 자는 습성이 있다.
5년을 기르니 고양이들이 내는 소리가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야옹 야옹은 주로 다급하거나 뭔가 요구가 있을 때 내는 소리라 평소엔 잘 듣지 못한다. 좀 더 낮고 허스키한 소리들을 더 많이 내며 감정을 표현한다.
고양이가 소리를 낼 때 몇가지 확실한 감정은 이해하지만 어떤 경우는 이해할 수 없는 경우도 있어 고양이 언어 번역기가 있음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종종 있다.
고양이 마니아이면서 음성학을 연구하는 저자는 저자의 직업적 호기심과 고양이에 대한 관심이 결합되면서 고양이 음성(소리)에 관한 발음을 연구하게 되었고 그 내용을 이 책에 담고 있다.
앞 부분엔 저자와 저자의 고양이 소개 및 고양이 음성학을 연구하게 된 동기, 고양이 음성뿐 아니라 초보를 위한 고양이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신체언어들을 소개하고 있다.
고양이가 꼬리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 대개 “나는 아직 젋고, 더 커야 하고, 친절해”라는 뜻이다 본문 62쪽
우리집 고양이가 어릴 때 꼬리를 수직으로 빳빳하게 세워서 참으로 흥미로웠는데 그런 뜻이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고양이가 꼬리를 흔드는 것은 내적 갈등으로 인한 반사 행위에 가깝다. 62쪽
꼬리나 귀, 발, 발톱, 이빨을 함께 내보이며 감정을 전달한다. 우리집 고양이는 꼬리를 치며 참다가 그 다음 싫다는 소리를 내고 그 소리를 무시하면 이빨로 물거나 때리고 자리를 피한다.
요구가 있을 때는 야옹거리거나 한 밤중에 비닐을 씹어-비닐을 씹는 걸 내가 싫어하고 예민하게 반응하는 걸 아는 고양이- 나를 깨워 빈밥통에 밥을 채워 달라고 요구한다.
주변에서 가장 흔히 들을 수 있는 고양이 울음소리를 상황과 함께 내는 소리를 음성학의 체계에 따라 음절 하나 하나 정밀하게 분석하여 그 소리를 우리들도 이해할 수 있다.
고양이무리의 상호커뮤니케이션, 고양이와 인간과의 커뮤니케이션 모두의 사례를 담고 있다.
저자의 웹사이트엔 고양이 비디오와 음성주파수가 올라와 있다
저자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엔 비디오로 잘 정리되어 있으며 이 책 뒤에는 상황별 고양이 소리를 QR 코드로 잘 정리되어 있어 우리집 고양이의 상황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음성학 용어와 음성학적 분류표도 제공하고 있는데 음성학적 표기는 모든 언어에 통용되는 국제음성알파벳으로 표기하고 있어 우리도 읽을 수 있다.
감상
유튜브 매탈남의 누리와 새끼고양이 육남매 동영상을 자주 시청하는데 누리는 음성을 별로 내지 않는 반면 우리집 고양이는 소리를 많이 내며 우리와 뭔가 더 많은 요구를 하려고 애쓴다.
하악질, 구토할 때 내뱉는 캑캑소리, 기침하는 소리 그릉그릉 목에서 나는 소리 외엔 자음소리를 들어보지 못해 우리집 고양이가 자음소리를 언제 내는지 관찰 중이다.
집안에서 인간하고 아주 밀접한 생활을 하는 집고양이는 더 많은 음성적 신호를 내보이긴 한다. 그동안 함께 살면서 내가 어릴 때 책에서 봤던 고양이 소리는 매우 단순하지만 고양이의 소리는 매우 다양한데 우리 고양이의 활동 반경이 집으로 한정되어 더 제한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