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위험한 과학책 - 지구인이라면 반드시 봐야 할 허를 찌르는 일상 속 과학 원리들 위험한 과학책
랜들 먼로 지음, 이강환 옮김 / 시공사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험한 과학책

랜들 먼로 지음

미션임파서블한 방법들이 가득한 책!

목차들이 기상천외하며 발칙하고 뻔뻔하게 위험하여 반인이 결코 실현 불가능한 방법으로 가득하지만 과학적 근거와 원리들로 설명하고 있다

집 옆에 있는 빙하를 녹이면 빙하의 해수면을 상승시킬 수 있을까?

농장, 항공모함,기차 등에 비상착륙하는 방법을 우주비행사인 크리스 해드필드와의 문답법으로 설명하는 방식도 신선하다.

강을 건너는 방법에서 처음엔 그냥 걸어서 들어가기, 헤엄치기,뛰어서 건너가기,위로 걷는 방법이 가능한가? 어려우면 다른 방법들로 확산된다.

액체물에서 기술없이 물위로 걷는 불가능하면 강을 얼리는 방법에 들어가는 에너지 비용과 방법, 그 다음은 강을 끓여 증발시켜 강바닥을 건너가기 등의 방법들을 따라가면서 과학적 원리들을 배우게 된다.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온갖 불가능한 방법들을 실현시키기 위해 동원되는 과학적 지식과 원리를 습득하게 된다.

졸라맨 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과학의 원리

예를 들면 상상의 건반을 그려 초저주파음과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청 주파수음, 개와 박쥐의 음을 그리고 있어 숫자로 표현한 주파수대역보다 직관적으로 받아들이기 좋다.

초음파 주파수를 피아노로 연주할 수 있을까? 결론은 피아노 줄은 초음파를 만들어 내지 멀리 떨어진 파도소리인 초저주파음도 피아노로 내기엔 줄이 너무 길고 공기 중에서 진동시키기도 어렵다. 수정처럼 전류에 의해 압전효과를 일으키는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를 진동시켜 초음파를 만들어 내는 과학원리들을 대비하여 설명한다.

가독성의 좋은 책

숫지와 수식이 나오며 미국에서 많이 사용하는 측량단위를 사용하지만 번역자가 친절하게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단위를 함께 표시해 주며 세밀한 일러스트가 아닌 간략한 일러스트와 이해하기 쉬운 비유적 표현들로 성인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머리가 말랑말랑해져서 지치지 않고 읽어 나갈 수 있는 책이다.

만일 물리학적 상식이 있다면 더 쉽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과학책이지만 가독이 좋고 그의 글들은 상상력을 촉발하여 과학적 원리를 흥미롭게 접근하도록 돕는다.

감상

물리학출신에 NASA에서 로봇공학을 연구한 만화작가인 저자는 물리학적 원리를 만화로 그릴만큼

말랑말랑하며 과학의 원리를 설명하면서 독자들에게 웃음을 잊지 않게 한다.

미국인 특유의 개그들을 문장에서 발견하지만(웃음을 유발하려는 의도들) 전체적으로 매우 웃겨서 웃음을 유지하기에 두뇌가 말랑말랑해지며 피로하지 않는 듯하다. 평소에 궁금했던 일상의 현상들도 이해하게 되며 나의 직관과 달리 다른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들을 과학적 설명으로 이해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유인 우주선을 타고 최초로 달에 착륙한 닐 암스트롱이 6.25 한국전쟁에 78회 참전했던 놀라운 사실도 알게 되었다.

전문가도 달성하기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미션들이지만 그 미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원리들을 쉽게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