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내 몰래 비상금 3억 모으기 - 아름다운 은퇴를 위한
문석근 지음 / 파지트 / 2021년 11월
평점 :
비상금 3억?
직장 생활하기에도 벅찬데 과외 수입으로 3억 원을 만들다니 대단하다는 생각보다는 오히려 반감이 먼저 들었다. 40대 중반, 아직도 현역에서 바쁘게 일할 나이이지만, 더 좋은 조건으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는 보장할 수 없는 나이가 되었다. 은퇴 후 경제적인 독립을 꿈꾸는 모든 직장인들을 위한 경제 독립 프로젝트라는데... 그러고 보니 은퇴 이후의 삶을 생각해 본 적이 없다.
요즘은 50대에도 명예퇴직으로 직장에서 쫓겨나가는 상황인데 어쩜 이리도 준비를 못 했을까 자책해 보았다. 그럼 어떻게 아내 몰래 3억 원을 모을 수 있을지 궁금증이 솟아났다.
30년간 회사와 가족을 위해 쉴 틈 없이 달려왔다. 퇴직하면 여유가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여유는커녕 허무함과 황량함만이 밀려왔다. 회의감과 상실감에 휩싸였고, 어느 때는 좌절하기도 했다. 무엇보다 스스로 위축되는 느낌이 들었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없었고, 특별히 해야 할 일이 없어 당혹스럽기만 했다. 이것이 은퇴 후 일상이었다. 일자리를 잃고 나면 먼저 두려움이 찾아오고, 두려움은 우울증을 넘어 불안감으로 이어진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결국 은퇴가 불안한 이유는 모두 경제적인 문제로 귀결된다. 그렇다면 은퇴 후 필요한 자금은 얼마나 될까? 7~10억은 있어야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뭐? 7~10억! 직장 생활만으로는 불가능한 금액이다. 그렇다면 저자는 어떻게 아내 몰래 3억 원이란 큰돈을 마련했을까?
사실상 월급만으로는 생활하기가 힘든 시대이다. 따라서 월급 외에 다른 수입원을 만들어 두면 좋다. 그렇다면 투 잡? 아니 쓰리 잡?
그런 게 아니라 업무와 관련된 전문성을 키워 사내 강사나 외부 강사를 통한 여분의 수입을 마련하는 게 좋다고 조언한다. 특별히 어떤 게 답이라는 것은 없지만 월급 이외에 과외 수입원을 만들라는 것은 투자를 위한 종잣돈을 모으기 위한 것이다. 급여 이외의 수입이 있으면 더욱 좋겠지만 그게 안 될 경우에는 급여의 10%를 활용하여 계속 투자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다.
투자? 그렇다면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까? 저자는 주식 투자를 추천한다.
주식은 우측으로 상향하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물론 중간에 오르막도 있고 내리막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우측으로 상향하는 것이 분명하다. 이 말은 좋은 주식을 골라 오랜 기간 보유만 하면 주식 투자로 성공한다는 의미다. 주식 위험하지 않아? 맞다! 투자에는 위험성이 뒤따른다. 어떡하면 주식에 성공할 수 있을까?
- 최소 10년, 최대 30년 이상 장기 투자해야 가능하다.
- 삼성전자와 같은 우량주를 선택해야 가능하다.
- 일정 금액을 지속적으로 투자해야 가능하다.
- 주식 투자로 올린 수익을 우량주에 재투자해야 가능하다.
- 주식 투자로 발생하는 배당금 역시 재투자해야 가능하다.
주식 시장에서 수익을 올리는 사람은?
1. 여유자금을 가지고 있는 사람
2. 좋은 주식을 고르는 사람
3. 기다릴 줄 아는 사람
좋은 주식이란?
성장성이 뛰어난 주식, 시장의 흐름에 선도하는 주식, 회사의 실적이 뒷받침되는 주식이어야 한다.
- 미래 비전을 제시하고 뚜렷한 경영철학을 가진 CEO가 존재하는가.
- 기업 가치와 이념에 맞는 우수한 인재 확보 여부
- 매출 규모와 꾸준한 성장성
- 제품, 서비스의 경쟁력
- 기업의 펀더멘탈 유지 정도
- 좋은 자회사를 황금알처럼 품고 있는가?
- 불황 속에서 실적이나 주가 등이 반짝이는 주식인지?
깍두기 교수의 주식 투자 원칙
1. 중 ·장기 투자 원칙
2. 우량주 투자 원칙
3. 적금처럼 꾸준히
4. 세상을 움직이는 미래형 주식
5. 미국 주식을 참조하라
6. 시시각각 주식시세를 보지 마라.
궁색하지 않은 아름다운 은퇴가 목적이라면, 조금이라도 젊을 때 더 빨리 투자를 시작해 볼 것을 권한다. "주식은 매도하는 것이 아니라 기다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