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법의 해변
크로켓 존슨 글.그림, 김미나 옮김 / 자음과모음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상상력을 잃어버린 어른을 위한 동화 "마법의 해변"
아이들과 같이 동화를 읽고 토론하면 좋다는 걸 알면서도 동화책을 읽는 어른을 상상하면 조금은 어색합니다.
트리나 폴러스의 "꽃들에게 희망을" 책을 초등학교 2학년 딸아이가 읽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란 기억에, 마법의 해변 동화책을 신청해 보았습니다.
이야기는 책 읽기에 지루해진 아이들이 오두막을 떠나 해변을 산책하며 시작됩니다.

한참을 걸었던지 한 아이(앤)가 다리가 아프다고 짜증을 부리며 그냥 오두막에서 책 읽기가 더 좋았다고 후회를 합니다.
답답하고 지루한 평범한 일상이 어느덧 그리워진 우리의 모습은 아닐까요?
항상 떠나고 후회하는 어제가 더 좋았어, 퇴직한 회사가 더 좋았지...... 뒤늦은 후회를 해 보지만 이젠 돌이킬 수 없습니다.
돌이킬 수 없는 현실, 그럼 어떻게 할까요? 되돌릴 수 없다면 정답은 즐겨라~~! 입니다.
마음의 소리인 듯 아니면 솔로몬처럼 지혜자인 듯 다른 한 아이(밴)가
"만날 앉아서 읽기만 하면 뭐해. 그보다는 직접 이야기를 만드는 쪽이 훨씬 재미있지" 이야기를 합니다.
그 이후 아이들은 배고픈 현실을 벗어나기 위해 아이들은 마법의 해변에 먹고 싶은 음식의 이름을 적어나가기 시작합니다.
해변에 단어를 쓰는 행위를 영어 단어 "Spell" 입니다.
이 단어가 동사로 사용되면 '철자를 쓰다' 이지만, 명사로 사용될 때는 '마법'을 의미합니다.
아이들은 잼, 빵, 우유, 나무, 사탕을 만들어 냅니다. 그런데 갑자기 마법 왕국이라는 생각이 미치자 아이들은 왕을 만들어 냅니다.
왜 아이들은 왕을 만들어 냈을까요? 어린 아이들이지만 사회의 구조와 질서, 그리고 보호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을까요?
하지만 왕은 무기력하게 해변에서 낚시만 할 따름입니다. 아이들은 왕에게 어울릴 도시와 농장, 숲과 성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거기에 멀리 떨어진 성까지 왕을 편히 모실 수 있도록 말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아이들이 꿈꾸고 소망했던 바닷소리가 들리는 고둥을 남긴채 왕은 아이들을 해변에 남겨두고 혼자 성을 향해 달려갑니다.
어른들의 권력과 부를 탐하는 추악한 모습에 동심의 세계는 무너집니다.
아이들의 꿈꾸었던 바닷소리가 들리는 고둥을 찾은 아이들은 자기들이 마법으로 만들었던 세계를 하나 둘씩 파도 속에 뭍어 버립니다.

"밀물이야"
배신 당한 분노, 깨어진 현실같은 감정이 밀물이 되어 마법 같이 한 순간에 사라져 버립니다.
무릎 위까지 차오른 물속을 힘겹게 헤치고 나온 벤과 앤은 마지막 남은 힘을 모아 가파른 모래 언덕에 기어 올라갔습니다.
꼭대기에는 평평한 땅과 오두막이 있었습니다.
"행복한 결말을 위한 시간이 더 있었으면 어땠을까?"
그들은 마치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그저 평화롭게 펼쳐진 바다를 바라봅니다.
갑자기 앤이 자리에 벌떡 일어서며 "이 이야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어!"라고 외칩니다.
"우리가 해변을 떠나던 순간 거기서 그냥 멈춘 것뿐이라고!"
그러나 벤은 고둥을 귀에 대고 바닷소리를 듣고 있었습니다.
꿈꾸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